• 제목/요약/키워드: 사회공포증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사회공포증 환자의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unctional Impairment in Social Phobia)

  • 오강섭;오명신;이시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72-78
    • /
    • 1999
  • 본 연구는 1996년 10월에서 1997년 7월까지 강북 삼성병원 신경정신과를 처음 방문하여 사회공포증으로 진단 받은 6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회공포증의 증상정도, 기능장애의 정도, 이환 기간, 아형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대상환자들에게 SPS(Social phobia scale), SDS(Social disability scale), LSRDS(Liebowitz self-rated disability scale)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1) 상당수의 사회공포증 환자들은 일, 여가, 가정, 사회생활 등 여러 영역에서의 중등도 이상의 기능장애를 보이고 있다. 2) 사회공포증 환자들의 기능장애는 여가, 일, 가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사회공포증 환자들의 기능장애의 정도는 이환 기간보다는 현재의 증상 정도와 관련성이 높았다. 4) 비가해형 보다는 가해형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타인에 의해 주시될 상황에 대한 주관적 두려움의 정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5) 비가해형 보다는 가해형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전반적인 기능장애의 정도가 심각하였으며 현재의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장애의 정도가 심해지는 양상이다. 결론적으로 사회공포증 환자들은 교육, 직업, 가족관계, 애정관계, 사회적 관계 등 전반적 생활영역에서의 기능장애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가해형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그 정도가 심각하였다.

  • PDF

한국어판 WHO-CIDI(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사회 공포증의 개발 :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CIDI(Composite International Dignostic Interview)-Social Phobia :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 서주원;오강섭;이시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191-200
    • /
    • 2000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판 CIDI(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사회공포증의 타당도,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의하여 사회공포증으로 진단한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CIDI-사회공포증을 실시하여 임상진단과의 일치도를 보았고 이중 20명에 대하여서는 두 명의 면담자가 각각 실시하여 면담자간 일치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50명에 대한 임상진단과 일치도를 통한 타당도는 0.74로 나타났으며 두 명의 면담자간 일치도를 통한 신뢰도(kappa)는 0.75로 나타났다. 결론 : 한국어판 CIDI-사회공포증은 높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반인구 및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사회공포증을 진단하기에 유용한 도구로 판명되었다.

  • PDF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난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저하 간의 관련성 연구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Perception Bias and Deteriorated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in Increasing the Level of Social Phobia)

  • 김상엽;정재범;남기춘
    • 감성과학
    • /
    • 제23권2호
    • /
    • pp.35-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공포증 수준에 따른 정서지각 편향성의 변화와 이 변화에 기여하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식 설문 검사인 사회공포증 검사(Korean version of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K-SAD)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와 UFOV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118명의 연구참가자가 참여하였고 응답을 성실하게 하지 않은 연구참가자들을 제외하여 107명(남: 94명, 여: 1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참가자들은 K-SAD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연구 결과, 정서지각과제에서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으며 UFOV 과제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부분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공포(Taijin Kyofusho) 증상에 미치는 영향: 편집 사고와 사회적 고립의 연속매개 효과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Taijin Kyofusho symptoms: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aranoid Ideation and Social Isolation)

  • 김민재;김은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4호
    • /
    • pp.637-655
    • /
    • 2018
  •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공포(Taijin Kyofusho)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편집 사고와 사회적 고립의 연속매개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33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남성 163명, 여성 171명) 내현적 자기애, 편집 사고, 사회적 고립, 대인공포증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적합도 분석 결과 이론적으로 가정된 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의해 잘 설명되었고, 경로분석에 서 편집 사고와 사회적 고립이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공포증 간의 관계를 연속 매개함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대인공포증을 이해하고 개입함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같은 성격적 변인, 편집 사고와 같은 인지적 과정 변인, 사회적 고립과 같은 행동적 변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제안한다.

사회공포증 경과중 타 정신질환이 발병한 환자들에 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f Patients Developing the Other Psychiatric Disorder During the Course of Social Phobia)

  • 이시형;신영철;양상중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1호
    • /
    • pp.79-84
    • /
    • 1996
  • We have studied 16 patients diagnosed of social phobia among the hospitalized patients for 1 year, from September 1994 to August 1995, to evaluate whether serial phobic symptoms are the prodromal symptoms of the other psychiatric disorder or concomitant disor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mean age of onset of social phobic symptoms was 17.3, and the mean age of inital hospital visit was 27.4. 2) The proportion of offensive type was higher than the simple type : 7 cases of the subjects classified as simple type, 9 cases as offensive type. 3)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phobia, they developed different type of psychiatric disorder. Majority of patients with simple type had final diagnosis of mood disorder. Patients with offensive type had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 such as schizophrenia, delusional disorder, and schizophrenia, personality disorder. 4) Social phobic symptoms have taken various courses according to the final diagnosis. In the patients who developed major depression and delusional disorder, social phobic symptoms have not been changed during the course. Patients with the final diagnosis of schizophrenia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have showed various social phobic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the final diagnosis of bipolar disorder, their social phobic symptoms disappeared with improvement of depression.

  • PDF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공포증 치료의 국내외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VR Technology in Phobia Treatment)

  • 김슬기;석혜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1호
    • /
    • pp.307-336
    • /
    • 2015
  • 가상현실 기술은 미래 우리의 생활에 미칠 파급효과가 큰 주목해야 할 기술 중 하나이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상현실 기술은 특히 의료분야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이다. 이 기술을 이용한 공포증 치료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치료 효과 면에서도 효과성을 인정받아 점점 그 입지를 굳혀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정신과 치료를 시도한 것은 공포증 치료가 처음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치료 중 가장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공포증 치료를 소개하고, 국내외의 치료, 연구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공포증 치료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보다 국외의 사용성이 더 활발하였다. 또한 국외 연구 현황에 있어 저널을 제한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량적인 면에서 약 2배 이상 차이가 났으며, 연구 주제에 있어 다각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양상의 차이는 국외의 경우 치료환경에 필요한 리소스를 정부로부터 제공 받고 이에 상응하는 연구와 치료가 이루어지는 형태로 정부 기관 연구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검증된 전통적 노출치료 기법을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해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심리치료에 대한 수요를 가늠하고, 정부는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한 건강염려증의 해소 방안 -인지치료적 접근- (Solution Method of Hypochondriasis through Focused Distraction)

  • 전요섭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229-239
    • /
    • 2023
  • 이 연구는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한 건강염려증의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문헌연구이다. 건강염려증은 우리말로 건강기우증, 건강불안, 질병공포, 질병불안장애, 건강염려성 신경증, 건강염려성 성격장애, 신체 증상장애 등의 용어로 불리워지나 이 연구에서는 건강염려증으로 명명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염려, 두려움, 불안 더 나아가 공포를 야기하여 가정, 직장 및 사회에서 삶의 질을 저하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건강염려증은 주로 중년기 성인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로서 자기자신에게 집중, 몰두하다가 이에 노출된다. 이 증상은 건강에 대한 지나친 염려로 인해 빈번한 건강검진 등 병원을 전전하면서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소비되고, 개인의 삶의 질이 저하되어 상담심리, 심리상담 분야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해주고, 심리적 평안을 회복하도록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강염려증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지 전략 가운데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하여 그 증상 해소를 모색해보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집중산만 전략은 일종의 인지적 '회피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지나치게 집중하는 인식, 주의를 회피,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키거나 '산만'하게 하는 것으로 건강염려를 약화시키는 것이다.

한방정신치료를 이용한 사회공포증 환자 치험 1례 (An Oriental Psychotherapy of a Patient Classified with Social Phobia)

  • 박세진;박상동;박영엽;이정훈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7-212
    • /
    • 2003
  • 본 증례는 대인기피, 대면시 안면홍조 손떨림 등의 증상이 있는 사회공포증 환자에게 한약 처방으로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을 투여하고 백회(百會), 소부(少府), 신문(神門), 합곡(合谷), 태충(太衝) 등 혈위(穴位)의 침치료와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 경자평지요법(驚者平之療法)의 한방정신요법을 사용하여 유효한 결과를 입증한 예이다.

  • PDF

사회공포증과 관련된 양육태도검사의 개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 REARING INVENTORY FOR SOCIAL PHOBIA)

  • 오강섭;이시형;허묘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198-208
    • /
    • 1998
  • 본 연구는 사회공포증의 원인과 관련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였고, 서울의 2개 인문계고등학교에서 표집한 392명을 대상으로 이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부모양육태도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서, 아버지의 양육태도 척도는 거부, 높은기대, 불안, 통제, 감정적 지지, 과잉타인의견염려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60문항이 선택되었다. 척도들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계수로 .76에서 .90으로서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척도는 요인분석결과 불안, 높은기대, 거부, 감정적지지, 과잉타인의견염려의 5개요인, 전체 61문항이 추출되었다. 척도들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계수로 .72에서 .91로서 역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 PDF

청소년의 자아상과 사회적 민감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자아상-우울-불안-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IMAGE,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 신민섭;소준현;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61-6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상과 우울, 불안, 그리고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자아상이 부정적인 청소년들이 자아상이 긍정적인 청소년보다 더 우울하고 불안하며 대인 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더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두번째로는 낮은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 아니면 낮은 자아상을 가진 청소년들이 우울이나 불안감을 더욱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지 그 인과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 여 학생 총 1,602명 (남자 697명, 여자 905명)에게 Offer의 자아상 척도와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하위 척도중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를 실시한 후, 자아상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상이 낮은 집단이 자아상이 높은 진단에 비해 우울.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점수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상과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LISREL로 분석한 결과,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기 보다는, 자아상이 낮은 청소년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사회적 불안과 대인 공포를 발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었고. 사회 공포증 청소년 환자에 대한 치료및 예방에 있어 임상적 시사점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