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천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9초

${\ll}$소문(素問).육미지대론(六微旨大論)${\gg}$ 에 대(對)한 연구(硏究) (The contents of Yuk Mee Jee Dae Ron(六微旨大論) are as follows.)

  • 박경;금경수;김남수;정동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3-252
    • /
    • 2000
  • The contents of Yuk Mee Jee Dae Ron(六微旨大論) are as follows. 1. The Yuk Mee Jee Dae Ron(六微旨大論) is one of the Wun Gi Chil Pean(運氣七篇) which are inserted in So Moon(素問) by Wang Bing(王氷) who compile the So Moon(素問) into 24 volume. Wun Gi Chil Pean(運氣七篇) are Chun Won Ki Dae Ron(天元紀大論), O Woon Heng Dae Ron(五運行大論), Yuk Mee Jee Dae Ron(六微旨大論), Gi kuoo Beun Dae Ron(氣交變大論), O Sang Jeong Dae Ron(五常政大論), Yuk Won Jeong KI Dae Ron(六元正紀大論), Gee Gean Yoo Dae Ron(至眞要大論). 2. It prescribe the Sa Chun(司天) Jae Chun(在泉) Jwa Gan Gi(左間氣) Woo Gan Gi(右間氣). 3. It prescribe the Pheo Gi(標氣) Bon Gi(本氣) Juoog Gi(中氣). 4. It prescribe the Youk BO(六步) and the Sheung Gi(承氣). 5. It prescribe the Hamg Hae Sheung Jae(亢害承制) which is feedback control system between each Yuk Gi(六氣). 6. It prescribe the Sae whae(歲會), the Chun Boo(天符) and the Tae Il Chun Boo(太一天符). 7. It prescribe the active time of Yuk gi(六氣) within a year and Sae gi Whae Dong(歲氣會同). 8. It prescribe the Gi Gieo(氣交) which human beings and all the creation are living on. 9. It prescribe the Bo(步) which are composed of Chun Gi(天氣) and Jee Gi(地氣). 10. It prescribe the Duk(德) Wha(化) Yooung(用) bean(變) which are created by quarrel of Yuk Gi(六氣). 11. It prescribe the outbreak of the Sa Gi(邪氣). 12. It prescribe the Sin Gi(神機) and Gi Rib(氣立). 13. It prescribe all the creations existence are up to the Seoung Gang Chul Ip(升降出入). Like the past, the Yuk Mee Jee Dae Ron(六微旨大論) is include very important concep of the medicine. So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with minute attention.

  • PDF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의한 고추장의 판별 (Discrimination of Kochujang by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김영수;오훈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1-566
    • /
    • 1994
  • 고추장의 유기산 함량, 향기성분의 GC peak area 및 관능검사에 의한 향미강도 측정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고추장을 분류하였다. 공시된 고추장은 재래식 51종과 시판 공장산 고추장 10종으로서 재래식 고추장은 순창지역의 찹쌀고추장 20종, 보은지역의 11종의 보리 고추장, 사천 지역의 밀 고추장 20종이었다. 유기산에 대한 정준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은 고추장은 다른 종류의 고추장과 쉽게 구분되었고, lactic acid는 고추장의 종류를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변수였다. GC peak area에 대한 판별분석법을 수행한 결과 재래식과 공장산 고추장을 4개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때 단계적판별 분석법에 의하여 기여도가 높은 변수는 2, 4, 8 및 11번 peak로 나타났다. 8종의 관능적 특성의 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정준판별분석을 실시한 바, 공장산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과 구분되어 질 수 있는데 이때 구수한 맛의 강도가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 PDF

재래식 고추장의 숙성 중 질소성분의 변화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김영수;신동빈;구민선;오훈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9-392
    • /
    • 1994
  • 순창의 찹쌀고추장, 보은의 보리 고추장, 사천의 밀 고추장을 현지에서 제조하고 180일간 발효숙성시키면서 질소성분을 측정한 결과 현저히 증가한 유리 아미노산은 고추장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methionine,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tyrosine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적으로 많은 유리 아미노산은 고추장의 종류에 관계없이 se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등으로 나타나서 glutamic acid는 속성에 따른 증가율 및 함량면에서 가장 구수한 맛이 영향력이 있는 유리 아미노산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유리아미노산 총량과 아미노태 질소 함량 간의 상관계수 r값의 범위는 0.87

  • PDF

영남지역 내 하위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Subregions in Yeongnam Region)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5
    • /
    • 2016
  • 본 연구는 영남지역 내 하위지역들을 구분하고 그 핵심부를 파악함으로써, 영남지역에 내재된 문화적 특성을 밝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인문환경 요소인 행정구역과 방언, 그리고 자연환경 요소인 하천유역과 기후 분포를 중첩하고, 계수관과 유사한 환경요소를 갖는 범위를 하위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요소들의 조합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구획은 1개의 시 군으로 이루어진 것에서부터 6개의 시 군으로 이루어진 것에 이르기까지 모두 27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은 안동, 상주, 경주, 대구, 김해, 진주 증 6개의 하위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각 하위지역은 유통에 장애가 되는 산줄기나 하천을 경계로 하며, 장애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에는 점이지대가 나타났다. 안동하위지역은 봉화와 예천, 영주, 의성, 군위, 영양, 청송, 영덕, 울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주하위지역은 상주와 구미, 김천, 문경을 포함한다. 경주하위지역은 경주와 영천, 포항 등을 포함하고, 대구하위지역은 대구와 칠곡, 고령, 성주, 경산, 청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김해하위지역은 김해와 양산, 부산, 울산, 창녕, 밀양 등을 포함하며, 진주하위지역은 진주와 합천, 의령, 사천, 고성, 통영, 남해, 함안, 거창, 함양, 산청, 하동, 창원, 거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PDF

모데미풀속과 근연속들의 형태 및 분포 비교 (미나리아재비과) (Comparison of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Megaleranthis Ohwi with those of its relative genera (Ranunculaceae))

  • 손동찬;조경진;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5-323
    • /
    • 2011
  •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monotype)의 외부형태학적 특징과 분포역을 조사하였다. 또한 근연속으로 알려진 금매화속(Trollius L.)과 Calathodes속(Calathodes Hook.f. et Thomson)의 질적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유집분석을 통하여 모데미풀속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데미풀은 금매화속, Calathodes속과 0.385의 낮은 유사도를 나타냈으며, 금매화속은 Calathodes속과 함께 유집되어 모데미풀속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모데미풀은 화피편이 존재하는 특징으로 Calathodes속 식물과 뚜렷이 구분되며, 금매화속 식물과는 꽃 아래에 경생엽 대신 한 매의 총포엽을 가지고 있고, 골돌의 맥은 분지되지 않는 특징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3속의 분포역에 있어서 금매화속과 Calathodes속 식물은 이들의 분포경계지인 중국의 사천성과 운남성지역에서, 모데미풀과 금매화속 식물은 이들의 분포경계지인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각각 부분적으로 중복되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이들 각각은 나름대로의 독립적인 분포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데미풀은 근연속들과의 외부형태학적 차이가 분명하고, 분포역을 비교해 볼 때 독립된 속으로의 처리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2002년 강릉지역 태풍 루사로 인한 산사태 연구 (II) - 확률기법을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및 교차 검증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nd validation using the GIS and Bayesian probability model in Boeun)

  • 이명진;이사로;원중선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1-48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산사태 발생원인을 근거로 산사태 발생 가능 지역에 대한 산사태 발생원인에 대한 등급값을 이용하여, 인접한 연구지역에 교차 적용하여 위험성을 평가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고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 사업, 국토개발 계획 및 건설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여름철 집중호우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정하였으며, 행정구상으로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리와 주문진읍 삼교리에 해당한다.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형도로부터 경사, 경사방향, 곡률, 수계추출을, 정밀토양도로부터 토질, 모재, 배수, 유효토심, 지형을, 임상도로부터 임상, 경급, 영급, 밀도를, 지질도로부터 암상을, Landsat TM 영상으로부터 토지이용도와 추출하여 격자화 하였으며, 아리랑1호 영상으로부터 선구조를 추출하여 l00m 간격으로 버퍼링한 후 격자화 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산사태 발생 위치 및 발생요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Frequence ratio를 이용하여 각 요소간의 분류를 산사태와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취약성도를 구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산사태 취약성 지수의 기존 산사태 발생을 설명하는 능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추정능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이를 교차적용 하여 산사태 취약성도를 각각의 경우에 맞게 만들었다 이러한 평가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 사업, 국토개발 계획, 건설계획 등에 기초자료로서 적용 및 활용될 수 있다.

  • PDF

연안 해저 재질 분석을 위한 초분광영상의 보정 방법 (Method of Correcting Hyperspectral Image for Seabed Material Analysis of Coastal Area)

  • 신명식;신정일;김익재;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7-116
    • /
    • 2016
  • 연안 해저 재질 조사에 있어 위성 및 항공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면 기존 현장조사 방법에 비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나, 물에 의한 빛의 흡수 특성으로 인해 동일한 조건이더라도 수심에 따라 영상에서 다른 반사도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영상을 연안 해저 재질 분석 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보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강원도 사천진항에서 경포해수욕장 일대이고, 사용한 초분광영상은 CASI-1500 영상이다. 수체 반사율과 수심 간의 회귀모델을 통해 밴드별 산란흡수계수를 추정하여 영상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수심보정 전 영상에서 매우 얕은 수심에 한정하여 판독이 가능하였지만 수심보정 후 상대적으로 깊은 수심까지 판독이 가능해지고, 수심에 따른 해저면의 반사율 변이가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한 국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Populations in Korea Using Polymorphic Allozymes)

  • 강성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5-243
    • /
    • 2001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의 유전변이가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집단들은 다른 기주, 지리적 위치, 그리고 시기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평균 이형접합자빈도($0.443\pm$0.013)는 파밤나방 전체 집단의 높은 유전변이를 나타냈다. 각 소집단들은 모두 Hardy-Weomberg 균형에서 벗어난 뚜렷한 동계교배 양식을 보였다. 이러한 높은 동계교배 효과는 지역고립에 의한 집단간 분화보다는 대부분 소집단 내 표본 추출 효과에 기인된 비임의교배에 의해 야기되었다. Wright($F_{ST}$ ) 와 Nei의 유전거리(D)는 소집단들간 유전적 분화가 낮음을 나타내지만, 일부 남쪽지역의 소집단들(해남과 사천)은 상대적으로 북쪽의 소집단들(안동과 군위)과 차이를 보였다. 유전적 거리를 기초하여 추정된 세대당 이주 개체수는 서로 다른 기주 집단간 5.9마리, 지역 집단간 10.6마리, 시기 집단간 31.8마리였다. 이러한 유전분석 결과들을 보아 국내 파밤나방은 이들의 탁월한 집단간 이주 능력 때문에 집단간 유전분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냈다.

  • PDF

뽕나무 유전자원의 과실적 특성 및 오디생산용 우량계통 선발 (Fru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 김현복;성규병;홍인표;남학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1
    • /
    • 2004
  •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전조생' 등 숙기가 이른 계통은 5월 27일부터 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휘카스' 등 수확시기가 늦은 만생종 계통은 6월 10일경부터 수확하여 6월 21일까지 오디를 수확하였다. 2. 계통에 따라 1∼6회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 가능 기간도 2주∼3주 계통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일뽕', '목상', '장소상', '수성뽕' 등의 오디는 2주 정도 수확이 가능한 반면, '사천금', '덕천상'의 오디는 3주 동안 수확이 가능하였다. 3. 그루당 10kg 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2002년에는 '수성뽕', '휘카스', 청노상', '목상', 절곡조생(충북)' 5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3년도에는 '수성뽕', '자산', '화조십문자', '청노상', '죽천조생 ', '수원노상', 강선', '절곡조생(충북)' 8계통을 선발하였다.

산불피해지역에서 정규산화율지수와 정규식생지수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Normalized Burn Ration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in Forest Fire Damage Area)

  • 최승필;박종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1-268
    • /
    • 2004
  • 위성영상자료를 통해 각 파장대별로 기록된 지표면에 대한 반사특성정보로 정규산화율지수(NBR)나 정규식생지수(NDVI)를 구하여 산림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이 발생한 강릉시 사천면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 발생이전 산림이 온전하였던 시기의 영상과 산불 발생 직 후, 발생 1년 후 그리고 2년 후의 영상으로 정규산화율지수와 정규식생지수를 각각 구하여 이 지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규산화율지수의 효용성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NBR영상간 차이가 NDVI영상간 차이보다 큰 범위의 동적변화를 보이고 있으므로 산불 피해강도나 식생회복상태 분석 시 NBR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산불피해 지역에서도 NBR 영상이 NDVI영상보다 산림피해강도나 회복상태를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