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양인태, 김응남 (1999), 근적외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수목의 NDVI추출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9권, 제III-1호, pp. 49-57
|
2 |
이승호, 김철민 (2001), Landsat TM영상을 이용한 산불발생지역의 탐지, 대한원격탐사학회 춘계학술대회
|
3 |
최승필,유영걸,김응남,양인태 (1998), GSIS에 의한 산불피해 지점의 공간분포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V), pp. 485-488
|
4 |
NASA(1998),http://Itpwww.gsfc.nasa.gov/IAS/handbook
|
5 |
강릉시 (2001), 2000년 강릉상불백서, 강릉시청, pp. 131-171
|
6 |
Michael A.Wulder and S. E. Franklin (2003), Remote Sensing of Forest Environment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82-197
|
7 |
後藤惠之轉 (2003), 2002 韓國豪雨被害の現地調査と衛星 リモ-トセンシング, 2002年朝鮮半島における豪雨洪ホ 土砂災害に關する調査硏究 戚果 報告書, pp.53-66
|
8 |
Key,C.H. and Benson, N.C. (1999), The Normalized Bum ratio, a Landsat TM radio metric index ofburn severity incorporating multi-temporal differencing (http://nrmsc.usgs.gov)
|
9 |
Markham.B.L and L.J.Barker (1986), Landsat MSSand TM Post-Calibration Dynamic Ranges, Exoatmospheric Reflectances and At-Satellite Temperatures, EOSAT Technical Notes, pp. 3-8
|
10 |
원강영, 임정호 (2001), 단일시기의 Landsat 7 ETM+ 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지도 작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86-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