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이

검색결과 32,527건 처리시간 0.051초

테트라사이클린 및 테트라사이클린-구연산 혼합젤로 처리한 치근면의 항미생물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oot Surfaces Treated with Tetracycline-Containing Gel and a Mixture of Tetracycline and Citric Acid-Containing Gel : In Vitro study)

  • 정희선;한수부;심장구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372-385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외과적 치주치료시 부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개발한 젤 형태의 테트라사이클린 및 테트라사이클린-구연산 혼합젤의 치근면에 대한 시간에 따른 활성도를 측정하고, 이를 용액 형태의 테트라사이클린 제제 또는 클로르헥시딘 들과 비교하는 것이다. 6명의 환자로 부터 18개의 발치된 치아를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며, 치아는 발치한 즉시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을 시행한 후 각 각 4개씩 4군으로 나누어 다옴과 같은 처치롤 하였다 ; 1) O.1% 클로르핵시딘 용액에 5분간 침전; 2) 50mg/ml의 테트라사이클린 용액에 5분간 침전; 3) 5% 테트라사이클린 젤에 5 분간 처리 ; 4) 테트라사이클린-구연산 혼합첼로 5 분간 처치; 5) 그리고 2개의 치아는 대조군으로서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5분간 처리하였다. 침전후 치아는 1ml의 tris-buffered saline이 담긴 용기에 옮겨 24시간 간격으로 탈착된 TBS용액올 교체하면서 실온에서 22일간 보관하였다. Porphyromonas gingivalis를 indicator organism으로 하여 microtiter assay를 이용하여 홉광도를 측정 함으로써 제거 된 용액 의 항 미생물 활성올 측정하였다. 1. 50mg/ml 의 테트라사이클린 수용액에 침전되었던 군은 생리식염수로 처리한 군에 비하여 17 일간 클로르헥시딘으로 처리한 군에 비하여는 16일간 항미생물 활성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테트라사이클린 젤과 테트라사이클린-구연산 혼합첼로 처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 각 4일과 3일 까지 활성올 보였다. 3. 0.1% 클로르핵시딘 용액으로 처리한 군은 생리식염수로 처치한 군에 비하여 24시간 밖에 활성을 나타내지 못했다. 4. 전반척으로 테트라사이클린-구연산 혼합첼로 처리한 군에 비하여 테트라사이클린 첼로 처리한 군의 활성이 높았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롤 보이지는 않았다.

  • PDF

사이버전을 위한 보안기술 현황과 전망

  • 서동일;조현숙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2-48
    • /
    • 2011
  • 전장의 양상이 물리적인 대량살상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재래전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사이버전으로 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비하기 위한 사이버전 공격 및 방어기술은 매우 중차대한 문제이다. 사이버전을 위한 보안 기술로는 암호 인증 인식 감시와 같은 정보보안 핵심원천 기술, 분산서비스거부공격 대응기술, 스마트 아이디 기술, 영상보안 및 바이오인식 기술, 부채널 공격 방지 기술 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사이버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매우 명확한 분야라 할 것이다. 또한, 사이버전 기솔로는 암호 인증 인식 감시와 같은 핵심 원천 기술 및 기존 보안 기술 분야를 포함하고 초경량 고비도 암호화 기술, 밀리터리 포렌식 기술, 사이버공격 근원지 역추적 기술, 사이버 공격 정보공유 협업관제 기술, 사이버 공격 무기 제작 기술 등이었다. 특히, 사이버전은 작은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비대칭 전력의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주요 선진국들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자위권 확보 차원에서 사이버전에 대한 기술적 제도적 준비를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다. 본 기고문에서는 이와 같은 사이버전을 위한 보안 기술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이버전의 역량평가 개선과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pability Assessment and the Plan for Enhancing Cyber Warfare Capability of Korea)

  • 박찬수;박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251-1258
    • /
    • 2015
  • 최근 사이버 무기의 발전으로 사이버전의 위협이 점점 더 증가되고 있다. 이미 사이버전을 경험한 국가들은 피해가 사이버상에서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피해까지 영향을 받게 되어 피해가 상당하다. 이렇기 때문에 각국은 사이버전에 대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하고 있다. 먼저, 사이버전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사이버전 역량이 파악되어야 하며, 비교 / 분석을 통해 사이버전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사이버전의 역량평가 방법에 대해서 비교 / 분석해보고, 향상점을 도출하여 사이버전 역량 평가 개선안을 연구하였다. 개선된 사이버전 역량 평가를 통해서 한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사이버전 역량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비교 / 분석함으로 한국의 사이버전 역량의 보완점을 도출하여 사이버전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유형별 효과에 개인특성 변수가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yp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

  • 주태욱;김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옥외광고매체인 디지털 사이니지에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관여도와 자기효능감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와 단순터치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가 단순터치형 디지털 사이니지에 비해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가 단순터치형 디지털 사이니지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유형 간의 효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여도는 디지털 사이니지 유형별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고객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유형별 효과에 조절초점과 자아해석이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and Self-construal on Digital Signage Advertisement)

  • 주태욱;김현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29-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광고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절 초점과 자아해석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와 상호작용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의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향상초점을 가진 개인의 경우, 상호작용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가 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예방초점을 가진 경우에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유형 간 효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적 자아해석을 하는 개인은 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비해 상호작용형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을 하는 개인에게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따른 효과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여 개인특성에 따른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의 동적 접촉 마찰 특성평가 (Estimation of dynamic interface properties between geomembrane and geotextile)

  • Kim, Dong-Jin;Seo, Min-Woo;Park, Jun-Boum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7-80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여 매립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의 동적 접촉 마찰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직응력, 진동 주파수, 건조/수침 상태의 영향에 대해서 평가하였으며, 또한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의 상대적인 미끄러짐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를 통해 전달되는 한계 가속도(limited acceleration)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의 동적 접촉 마찰각을 산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속도는 수침상태의 경우 건조상태보다 더 작게 산정되었으며, 변위의 경우 수침상태에서 더 크게 발생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조건에 따라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적인 미끄러짐의 정도가 다르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의 slip equation을 제안하였으며, 이 식을 통해 주어진 가속도와 주파수에서 지오멤브레인과 지오텍스타일 사이를 따라 발생되는 최대 미끄러짐의 정도를 예측 가능하게 하였다.

  • PDF

허리의 척수신경위치와 실리콘을 이용한 척추사이구멍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 (Spinal Nerve Posit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with Silicon Molds in the Cadaveric Lumbar Intervertebral Foramen)

  • 권순욱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31권4호
    • /
    • pp.151-158
    • /
    • 2018
  • 척추사이구멍은 인접한 두 척추뼈와 그 사이의 척추사이원반으로 구성된다. 이전의 척추사이구멍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이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리콘 주형을 이용해서 척추사이구멍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시신18구를 해부하여 허리의 척추사이구멍을 해부하였다. 첫째로는 척수신경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둘째로는 척추사이구멍을 덮고있는 모든 조직을 제거하여 척추사이구멍 단면의 가장 좁은 부위를 측정하였다. 조직이 제거된 척추사이구멍은 실리콘주형으로 채워졌다. 실리콘주형이 굳어진 다음에는 구멍에서 분리되었다. 단면으로 잘린 실리콘주형을 종이 위에 도장처럼 찍고, 그것을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척추사이구멍의 주형의 면적, 둘레, 높이, 폭이 컴퓨터에서 분석되었다. 허리의 다섯 개 척추사이구멍에서 면적과 둘레는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둘째에서 다섯째 허리뼈에 걸쳐서 높이는 낮아지는 경향, 폭은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높이와 폭은 다섯째 구멍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높이는 다른 구멍들 중에서 가장 낮았고, 폭은 가장 넓었다. 척수신경은 첫째에서 넷째허리뼈에서는 척추사이원반 근처를 지나갔고, 다섯째허리뼈에서는 척추사이원반 아래쪽으로 지나갔다. 이번 연구는 척추사이구멍의 3차원적 입체 구조를 실리콘주형으로 확인하였다. 기존의 평면적 연구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다른 성질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허리척추뼈에서 척추사이구멍의 면적과 둘레는 일정하였으나 높이와 폭은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사이니지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Analyzing Users' Perception and Attitude Associated with Usage of Signage)

  • 김항섭;김형준;이봉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4호
    • /
    • pp.291-302
    • /
    • 2013
  • 사이니지란 공공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해 주는 미디어 기기이다. 최근에 상황인지 기술이 적용되면서 사이니지는 개인별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순한 광고 플랫폼에서 새로운 차원의 미디어 기기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니지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그것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사이니지 인식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니지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와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한 후, Q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이니지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태도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제1유형을 '스마트미디어 사이니지 인지형', 제2유형을 '수동형미디어 사이니지 인지형', 제3유형을 '양방향미디어 사이니지 인지형'이라고 각각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사이니지 관련 학술연구와 R&D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실존적 불안, 사이존재로서 실존의 사이기분에 대한 철학적 분석 : 키에르케고어를 중심으로 (A Philosophical Analysis on an Existential Anxiety, Between-Mood of Existence as Between-Being: Focus on S. Kierkegaard)

  • 김선희
    • 철학연구
    • /
    • 제148권
    • /
    • pp.73-99
    • /
    • 2018
  • 이 글에서 논자는 오늘날 불안의 실존적 현상들을 살펴봄으로써 불안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철학적 근거를 드러내보고자 한다. 특히 불안의 근원을 심리적 차원과 더불어 윤리적 차원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심리적 현상으로서 불안의 철학적 근거를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능성과 현실성 '사이존재(Zwischesein)'로서 실존 그리고 존재의 분열과 봉합 사이의 순간이 수반하는 '사이기분(Zwischenstmmung)'으로서 불안을 드러낸다. 불안의 근거로서 실존이 지닌 '사이성(Zwischeheit)'에 대한 주목은 키에르케고어($S{\ddot{o}}ren$ Kierkegaard)에 의해 '종합' 개념 속에서 나타지만 '두 개 사이의 관계'로서 그의 종합 개념은 오히려 종합이라는 용어로 인하여 충분히 주목되지 못했다. 논자는 사이성에 대한 조명을 통하여 실존 개념이 지니는 보다 심층적 조건을 포착해본다. 그리하여 논자는 분열된 양자 사이의 종합이라는 결과보다는 그 양자 사이의 긴장이라는 과정에 주목해본다. 이 를 위해 실존철학의 선구자인 키에르케고어의 "불안의 개념"을 분석한다.

픽토그램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 미술 수업 (Art Class for Preventing From Cyberbullying By Using Pictogram)

  • 서정아;허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49-158
    • /
    • 2019
  • 디지털 기기가 보편화됨에 사이버 폭력 행위 중 하나인 사이버불링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불링 예방 의식 함양을 위하여 시각적으로 소통이 가능한 픽토그램을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에 총 5명의 중고등학교 남학생을 대상으로 총 6차시의 '사이버불링 예방 픽토그램' 제작 수업을 진행한 후 작품 분석과 사전 사후 인터뷰를 통해 미술 흥미도, 사이버불링 인지도, 공감 감수성, 메시지 시각화, 사회참여의 변화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를 진행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앱 활용을 통해 학습자가 미술표현의 부담감을 완화시켜 미술시간의 흥미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사이버불링의 문제 탐색 과정을 통해 사이버불링의 폭력성의 심각성과 사이버불링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학습자는 사이버불링 피해자의 고통을 공감하는 공감 감수성이 향상되었다. 넷째, 사이버불링 예방 픽토그램 제작으로 작품을 구체화하여 공유함으로 시각 이미지를 활용하고 읽고 해석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작품을 인스타그램에 게시하여 사회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을 행했다. 결론적으로 픽토그램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 미술 수업의 효과성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