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이토카인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4초

섬오가피 추출물의 항암관련 사이토카인 분비활성 (Effects of Acanthopanax koreanum Extracts on Anticancer Related Cytokine Secretions)

  • 유수연;박원봉
    • 약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32-239
    • /
    • 2010
  • Stems and roots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treated on immune cell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immunomodulatory activites. Various Th-1 type cytokines were measured using ELISA including interleukin (IL)-2, IL-12, interferon-gamma (IFN-$gamm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secreted by dendritic cells, T-cells, intestinal epithelial cells, natural killer cells, and macrophage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L-12 and IFN-$\gamma$, secretion,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secretion of TNF-$alpha$. Additionally T-cells slightly increased the secretion of IL-2,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IL-2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A. koreanum Nakai may act as an immunomodulator by stimulating the cell-mediated immunity which can help the immune system defend against infections or cancer cells.

인삼 사포닌이 인간면역계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Human Immune System)

  • 박종욱;한인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5-22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inseng,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proliferation and cytosine gene expression of human ph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 In the PBMC proliferation assay, total saponin exhibited proliferation inhibition on the PBMC or phytohemagglutinin(PHA)-stimulated PBMC in a dose-dependent fashion.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inseng were further investigated using the cytokine gene expression as the indicators. In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est, interleukin (IL)-1, IL-2, IL-3, IL-4, IL-6, IL-13,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tumor necrosis factor (TNF), migration inhibitory factor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genes were expressed in the PHA-stimulated PBMC 48 hrs after cell culture. Among expressed cytokines, total saponin could increase the expression of IL-1 and TNF of PBMC without stimulation of PHA. All of ginsenosides, $Rb_1$, $Rb_2$, $Rg_1$, Rc, Re, incresed TNF gene expression. Especially, Rb2 (20 g/ml) showed most prominent effect on TNF gene expression and it also slightly increased IL-1 gene expression of PBMC.

  • PDF

주요우울증에서 스트레스, 염증반응, 신경조직발생 (Stress, Inflammation and Neurogenesis in Major Depression)

  • 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8권4호
    • /
    • pp.169-175
    • /
    • 2011
  • Stress, a risk factor of major depression induces cytokine mediated inflammation and decreased neurogenesi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significant increase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have been consistently reported.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can stimulate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to release glucocorticoids. In the brain, microglia and play a role of immune activation in response to stress. Increased pro-inflammatory cytokine play a role in restricting neurogenesis in the brain. Although neurogenesis may not b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t may be required for clinically effective antidepressant treatment. Hence, stimulation of neurogenesis is regarded as a promising strategy for new antidepressant targets. This review introduces changes in neurotransmitter, cytokine and neurogenesis in major depression and explores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eurogenesis related to stress in major depression.

단천환가감이 중풍 환자의 말초 단핵구에서 LPS 및 DFX 유도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chunwhangagam on LPS or DFX-induced Cytokine Production in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of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 이성근;이기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29-935
    • /
    • 200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hunwhangagam(DCWGG)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PBMCS) from Cerebral infarction(CI) patients. Methods: We examined that the inhibition rate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interleukin(IL)-1{\alpha},\;IL-1{\beta}$, IL-6, and IL-8 productions in DCWGG pretreatment PBMCs culture supernatant in the lipopolysaccaride(LPS)- or Oesferrioxamine(DFX)-treated cells compared to unstimulated cells. DCWGG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TNF-{\alpha},\;IL-1{\alpha},\;IL-1{\beta}$, IL-6, and IL-8 induced by LPS in a dose-dependent manner DCWGG might have regulatory effects on LPS or DFX-induced cytokine production, which might explain its beneficial effect in the treatment of CI.

염증가설에 근거한 비만성 질환제어 (Modulation of Obesity-Related Pathologies Based on Inflammation Theory)

  • 유리나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10권3호
    • /
    • pp.5-9
    • /
    • 2005
  •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그리고 암을 비롯해 각종 질병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비만은 낮은 수준의 전신성 염증상태로 간주되며, 비만시 증가하는 염증성 분자는 제2형 당뇨병 또는 동맥경화등의 비만성 질병 발생과정에 깊이 관여한다. 따라서, 염증제어는 비만성 질환제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지방세포 비대에 따른 지방세포 기능이상은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 이상을 초래하고, 비만성 질환의 발생 및 촉진자로 작용한다. 비만환자에게서의 MCP-1과 같은 염증성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 제어는 비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또는 질병 발생 및 진행을 지연시키는 전략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케모카인 가운데 MCP-1은 비대한 지방조직내로의 대식세포의 침윤 및 활성화를 유도하며, 특히 비대한 지방조직에서의 염증반응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MCP-1은 내 장지 방조직에서 특히 그 분비량이 높았고, 따라서, 복부비만 관련 질환의 타겟분자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CP-1 작용을 저해하는 항염증성 phytochemical은 비만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즉 예방적인 차원에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설 : 치과위생사가 알아야 할 골다공증과 골 관련 사이토카인 (Osteoporosis and Bone-related Cytokines in Dental Hygiene)

  • 김훈;황수정;김도경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6
    • /
    • 2020
  • Dental hygienists handle periodontal tissue every day. Since periodontal tissue contains hard and soft tissue, dental hygienists need to cultivate scientific knowledge about bone tissue. This study introduces recent research results on cells and cytokines related to bone tissue. Recently,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has been reported,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esent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 treatment drugs and their side effects in this study.

생체 기능 모니터링용 나노 소재 개발 및 응용 (Nanoparticles in Healthcare: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 이효진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6호
    • /
    • pp.13-25
    • /
    • 2019
  • 건강한 미래, 건강 사회 구현과 함께 질병 진단, 치료, 예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적시적기에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한 건강 검진용 바이오센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바이오센서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혈액 샘플을 기반으로 한 검진 방법이 보편적이지만 최근에는 고감도 센서 개발에 따라 소변, 침, 눈물 등과 같은 체액으로도 검진이 가능한 환자 친화적 비침습 센싱 방법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 시장 패러다임의 변화 및 급속한 발전은 마이크로, 나노 재료 제작과 분석 기술 발전으로 체액 내 존재하는 나노 크기의 바이오 마커(단백질, 유전자, 펩타이드, 사이토카인)를 검출하는 소형화된 고감도의 센서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화학, 물리, 재료, 의약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활발히 보고되었다. 본 기고문에서는 바이오센서용 소재 중에서 나노입자에 집중하여 첨단 센서 구현을 위해 사용된 입자의 종류, 센서 내에서의 입자의 역할을 소개하고 나노입자의 광학적, 물리적 특성에 따른 타겟 물질 검출 방법 및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천년초의 융합발효를 통한 특성 연구 (The Characterization of L. plantarum-fermented Opuntia humifusa)

  • 정영미;이동섭;권기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07-114
    • /
    • 2017
  •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우수한 천년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L. plantarum를 이용한 발효과정을 통해 얻은 추출물을 천년초의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특성을 확인하였다. 점성분석, 총폴리페놀, 아미노산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항박테리아 활성 및 사이토카인 분석, zymography 등을 통해 발효추출물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천년초 이용도를 절감시키는 점성도가 거의 절반 감소되고, 비타민 C의 양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발효과정 동안 거의 유지되는 것으로 보이며, 총폴리페놀, 아미노산 총량 및 생리활성 주요 무기질 성분은 발효를 통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고, 염증관련 사이토카인류와 MMP-9 활성도를 확인한 결과 천년초의 열수추출물에 비해 L. plantarum-발효 천년초에서 염증 억제 및 조직 파괴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천년초를 기능성을 부가한 소재로 활용하는데 있어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에서 분리된 조다당의 큰포식세포 면역 활성 조절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in macrophage)

  • 조은지;김이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11-516
    • /
    • 2018
  • 본 연구는 꾸지뽕 열매로부터 분리한 조다당류(CTPS)가 초기 면역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큰포식세포에서 활성화를 유도하는지에 관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큰포식세포에 CTPS를 처리하여 세포 증식률, 산화질소 분비능 및 사이토카인($TNF-{\alpha}$ 및 IL-6) 분비능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화된 큰포식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탐식세포의 항원 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 class I 및 II)의 발현이 CTPS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산화질소 분비능과 사이토카인의 증가 원인에 관한 면역기전 분석 결과, MAPKs의 인산화와 $NF-{\kappa}B$의 핵 내 이동성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 대한 와송 핵산추출물의 AP-1과 IRF3 전사인자의 억제에 의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감소 효과 (Orostachys japonicus Hexane Fraction Attenuates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activated Macrophage Cells by Suppression of AP-1 and IRF3 Transcription Factors)

  • 이형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0-315
    • /
    • 2020
  • 본 연구는 와송에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항염증 활성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기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식세포에 와송 hexane 추출물을 전처리하고 LPS로 염증을 자극하여 염증과 관련한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식세포에 와송 hexane 추출물은 LPS 자극에 의해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ROS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IL-1β, IL-2, IL-6, IP-10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탁월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는 상위 전사인자인 AP-1과 IRF3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들을 단백질 수준에서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c-Jun, c-Fos, IRF-3의 인산화 억제로 핵 내 전사활성이 제한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볼 때, 와송 hexane 추출물은 염증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