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육밀도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17초

Pilot-scale 순환여과식 양식장에서 회전원판 반응기의 순환수 처리 및 산소전달 (Water Treatment and Oxygen Transfer by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in Pilot-Scale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근학;김병진;이정훈;김용하;이석희;김성구;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69-475
    • /
    • 2002
  • 사육조 용적 2.5m^3인 pilot-scale 순환여과식 양어장에 나일 틸라피아를 $5\%$$7\%$의 사육밀도로 사육하면서 회전원판 반응기의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와 같은 무기질소와 유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의 처리 능력을 점검하고자 하였으며 회전원판 반응기의 산소 전달 효율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총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속도는 사육밀도 $5\%$의 경우 $30\~80 g/m^3$$\cdot$day의 범위에서 변화하여 $39.4g/m^3{\cdot}day$ 정도의 평균 제거속도를 나타내었다. 사육밀도 $7\%$에서는 15일 이전에는 $30\~80g/m^3{\cdot}day$의 범위로 사육밀도 $5\%$와 유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제거속도가 $80\~170g/m^3{\cdot}day$의 범위로 크게 상승하여 평균 제거속도가 $86.0g/m^3{\cdot}day$ 정도로 나타났다. 회전원판 반응기의 평균 총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은 사육밀도 $5\%$의 경우 $24.5\%$였으며 사육밀도 $7\%$의 경우 $16.0\%$로 나타나 $5\%$의 사육밀도에서 더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성 질소의 평균 제거속도와 평균 제거율은 사육밀도 $5\%$$14.6g/m^3{\cdot}day$$8.1\%$ , 사육밀도 $7\%$$8.1g/m^3{\cdot}day$$10.1\%$로 나타났으며 질산성 질소의 평균 제거속도와 평균 제거끌은 사육밀도 $5\%$$-56.6g/m^3{\cdot}day$$-0.74\%$,사육밀도 $7\%$$-142.6g/m^3{\cdot}day$$-0.63\%$로 나타났다. CODcr,의 제거속도는 사육밀도 $5\%$에서는 평균 1,700g/m^3$\cdot$day, 사육밀도 $7\%$에서는 평균 $4,000g/m^3{\cdot}day$의 값을 나타내어 총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 속도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평균 $COD_Cr$, 제거율은 각각 14.5, $29.1\%$이었다. 회전원판 반웅기는 질산화와 유기물 제거에 소요되는 용존산소를 자체적으로 수급할 뿐 아니라 순환수에 용존산소를 더 공급하는 폭기시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었으며 사육밀도 $5\%$에서의 평균 폭기 속도는 $280g/m^{3}{\cdot}day$, 사육밀도 $7\%$에서는 $255g/m^3{\cdot}day$였다.

수온, 염분, 사육밀도 및 먹이공급이 왕우럭(Tresus keenae)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Rearing Density and Food Suppl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Larvae)

  • 강한승;김철원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7-73
    • /
    • 2018
  • 본 연구는 수온, 염분, 사육밀도 및 혼합 먹이생물 공급량과 같은 환경요인이 왕우럭 Tresus keenae의 유생사육 시 생존 및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왕우럭 유생사육의 최적 조건은 수온 20℃에서 24℃, 염분 30 psu, 사육밀도 1 ml당 5개체 및 먹이생물 I. galbana, C. simplex 및 T. suecica 혼합 공급량 10×104 세포/ml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왕우럭 유생 최적의 사육 환경요인은 빠른 성장 및 높은 생존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지렁이 개체군의 최적 사육밀도 추정 (Estimation of Optimal Stocking Rate of Earthworm Populations)

  • 이주삼;노진환;박상수;이희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9-383
    • /
    • 2012
  • 사육밀도를 달리 했을 때 지렁이 개체군의 생체량 증가를 위한 최적 사육밀도를 추정하려고 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육밀도 S-2과 S-3에서 상대증체량, 생체중 증가율과 유기물 전환효율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 지렁이 개체군의 최대 생체량을 얻기 위한 최적 사육밀도로 추정되었다. 이를 지렁이 생체중과 먹이량의 비율로 나타내면 1:32-1:48의 범위였다. 2. 사육밀도 S-1(1:16)에서 모든 조사시기의 분립생산량이 유의하게 많았고 분립비율도 유의하게 높았다($$P{\leq_-}0.05$$). 3. 사육밀도 S-3(1:48)에서 지렁이 생체중당 난포수와 분립생산량이 가장 많았다($$P{\leq_-}0.05$$). 4. 사육밀도가 높아지고 사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분립의 전 질소함량, 유효인산함량, 양이온치환능력(CEC) 및 양이온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유기농업에서 지렁이 분립은 상토 재와 토양개량제 및 작물보호를 위한 농자재로서 잠재적 유용성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케이지 사육시 사육밀도가 산란계의 깃털손상도, 계란품질, 혈액성상 및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the Feather Condition, Egg Quality, Blood Parameters and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of Laying Hens in Conventional Cage)

  • 손지선;김찬호;강환구;김현수;전진주;홍의철;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3-93
    • /
    • 2020
  • 본 연구는 케이지 사육 시 사육밀도가 산란계의 깃털 손상도, 계란품질, 혈액성상 및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란계(Hy-Line Brown) 700수를 공시하여 배터리 케이지에 750 ㎠/수 및 500 ㎠/수 사육밀도 처리구로 50 반복을 두어 32주부터 60주까지 총 28주간 실시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 급이 하였다. 사육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령이 증가할수록 깃털손상도가 증가하였으며, 등과 꼬리 부위의 손상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품질(난중, Haugh unit, 난각 강도 등)은 사육밀도에 따른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혈구 성분 및 혈액 생화학 지표는 사육밀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험종료 시점의 혈액과 깃털 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costerone 농도를 분석한 결과, 500 ㎠/수 사육밀도에서 사육 시 750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케이지에서 500 ㎠/수 사육밀도 사육은 산란계의 깃털손상도를 증가시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산란계의 행동과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육밀도가 토종닭 실용계 생산성 및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 Density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Chickens)

  • 김찬호;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
    • /
    • 2020
  • 본 연구는 토종닭 사육시 사육밀도가 생산성 및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종닭(Initial BW, 37.5±0.79 g)을 364수 공시하여 20개의 floor pen(가로 1.0 m, 세로 1.0 m)에 5개의 사육밀도 처리구 (14, 15, 16, 18 및 22 수/㎡) 및 4반복을 두어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사료와 물은 자유 급이하였다. 체중 및 증체량은 사육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중가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면에 사료 요구율은 사육 밀도에 따른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계육 일반성분(건물, 단백질, 지방 및 회분)은 사육 밀도에 따른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계육 색도, 보수력 및 가열감량 역시 사육 밀도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H 함량은 사육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22 수/㎡ 이상 사육 시 토종닭의 체중 등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과밀 사육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토종닭의 증체 등 생산성을 충분히 발휘하는데 제한적인 요소로 향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염분 조건에서 수온 및 사육밀도에 따른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 생존 및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rvival and Growth of whiteleg shrimp(Litopenaeus vannamei)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and Rearing Density in Low Salinity Conditions )

  • 김철원;강한승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3-220
    • /
    • 2022
  • 본 연구는 저염분 상태에서 수온 및 사육밀도와 같은 환경요인이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흰다리새우는 저염분 상태에서 전반적으로 수온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고,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생존율이 높아졌다. 사료효율에 관한 연구에서는 수온이 높을수록 증체량(WG)이 증가하였고, 사육밀도가 증가할수록 증체량은 감소하였다. 수온이 높을수록(수온 31℃) 성장 속도가 빨랐다. 또한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도의 평가에서도 사육밀도가 낮은 상태에서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흰다리새우의 최적 성장을 위한 적정 사육밀도 및 사육수온의 결정에 유용하게 적용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