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용 강도

검색결과 13,835건 처리시간 0.049초

경사기능재료의 열응력 해석

  • 이종권;강기준;한지원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7-52
    • /
    • 1998
  • 최근에 세라믹-금속 접합, 열차폐코팅(Thermal Barrier Coating), 마모저항코팅등 이종재료접합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열차폐코팅의 경우, 고온환경쪽에 세라믹을 배치하여 내열성을 부여하고, 냉각환경쪽은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열전도성과 기계적 강도를 부여한다. 이 때 두 재료의 경계부에서는 열적, 기계적 특성 차이로 인하여 제조과정이나 사용중에 열적, 기계적 부하에 의하여 내부잔류응력이 생기게 되며, 이는 재료의 강도, 파괴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잔류응력의 감소기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중략)

  • PDF

섬유 폐기물을 이용한 복합소재 연구 (A study of composite material using Fiber wastes)

  • 이상철;신은철;김원주;박수민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9차 학술발표회
    • /
    • pp.17-18
    • /
    • 2008
  • 접착물질인 PP(Polypropylene)가 함유되지 않은 섬유 폐기물을 Niagara beater을 이용한 습식 분쇄하여 판상형태의 Sheet에 접착물질인 KSL 103과 KSL 203을 물과 1:1로 혼합사용 분무한 제품의 경우가 굴곡휨강도, 인열강도가 우수하였고, PP의 사용의 배제로 Press시의 온도를 $180^{\circ}C$에서 $130^{\circ}C$로 낮추어 작업이 가능하고 Texon에서 부여하기 힘든 굴곡휨강도와 굴곡강도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석회 및 화학첨가제에 의한 건설잔토의 안정처리 (Soil Stabilization with Lime and Chemical Additives)

  • 민덕기;황광모;박근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45-15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울산 삼산지역의 도시 개발로 인하여 다량 발생되고 있는 건설잔토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대상토에 생석회와 화학 첨가제를 혼합하여 안정처리를 할 경우 보조기층 및 노상용 재료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1가 이온($Na^{+}$, $K^{+}$)가 2가 이온(Ca$^{2+}$, $Mg^{2+}$), 염화물(Cl)과 황산염(So$_4$)으로 구성된 화학 첨가제의 첨가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를 비교한 결과, 1가 이온의 첨가시 장기강도 발현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염화물(Cl)은 첨가시 강도 발현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잔토에 생석회와 CaCl$_2$를 첨가하면, 생석회로 처리된 시료에 비해 2배~4배의 강도가 증가되어 생석회 안정화에 대한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시료토에 생석회, 생석회와 화학 첨가제로 안정처리하여 도로의 보조기층재료나 노상용 재료로의 사용여부를 평가한 결과, 생석회와 CaCl$_2$로 안정처리한 경우만이 시방기준 CBR 10%이상, 소성지수 10%이하를 만족시켜 노상용 재료로서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인공경량조골재(人工輕量粗骨材)를 사용(使用)한 무세골재(無細骨材) 경량(輕量)콘크리트의 물리(物理)·가학적(加學的) 특성(特性)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o-Fines Lightweight Concrete Using Synthetic Lightweight Coarse Aggregate)

  • 김성완;민정기;조성섭;성찬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39-50
    • /
    • 1996
  • 본 연구는 세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경량조골재로써 팽창점토와 경석을 사용한 인공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시멘트비는 팽창점토를 사용한 경우 31%, 경석을 사용한 경우는 33%로 나타남으로써, 인공경량골재에 따른 물-시멘트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2. 단위중량은 팽창점토를 사용한 경우 $1,635kg/m^3$, 경석을 사용한 경우는 $1,790kg/m^3$로, 경석을 사용함으로써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흡수율은 모든 사용골재에서 다 같이 10%이하로 작게 나타났으며, 팽창점토보다 경석을 사용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압축강도는 팽창점토와 경석을 사용한 경우 $203kg/m^2$$237kg/m^2$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인장강도와 휨강도도 압축강도와 마찬가지로 사용골재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5. 반발도는 압축강도가 클 수록 크게 나타났고, 압축강도와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특히 저강도 영역에서의 상관성이 크게 나타났다. 6. 초음파진동속도는 팽창점토와 경석을 사용한 경우 $3,884kg/m^2$, $3,922kg/m^2$로써 사용골재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중량 및 압축강도가 클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UV-B 조사에 의한 웨빙용 PET필라멘트의 취화 거동 (Degradation behavior in UV-B irradiation of PET filaments for webbing)

  • 김유겸;김갑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1-254
    • /
    • 2003
  • 자동차에 장착되어 폐차시까지 사용되는 안전벨트용 웨빙은 일정 수준이상의 인장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착용자를 사고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 제품이다. 그러나 차량에 처음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인장강도가 사용 기간 증가에 따라 점차 저하된다. 웨빙의 사용 시간 증가에 따른 인장강도 저하의 주요 원인을 구성 PET 필라멘트의 취화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웨빙의 구성 소재인 PET 필라멘트가 환경 요인에 의하여 취화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온도와 UV-B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가속실험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세라믹 폴베어링의 특성 및 기술동향

  • 김완두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7권1호
    • /
    • pp.7-15
    • /
    • 1991
  • 각종 회전기계류의 고속화, 고온화 추세로 고속, 고온에 사용될 수 있는 베어링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 오던 steel 베어링은 고온에서의 강도 저하 및 고속에의 전동체의 원심력 증가에 의한 급격한 피로수명의 감소 등으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고속화를 위해서 저밀도의 재질이 필요하며, 고온화를 위해서는 고온강도가 뛰어난 재질이 필요하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기계구조용 세라믹은 이 두 가지 특성을 모두 지닌 재질로서 베어리에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TFT-LCD 폐유리 사용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특성 (Properties of PHC Piles Using TFT-LCD Waste Glass)

  • 이승헌;이승태;민경산;전성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19-320
    • /
    • 2010
  • 시멘트 대체재로서 폐 TFT-LCD 유리분말을 사용하여 고강도 파일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물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를 근거로 폐 TFT-LCD 유리분말이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서 사용이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부가적 부식 과정이 단일 접착 과정 레진 시멘트의 접착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AL ETCHING PROCEDURE ON PUSH-OUT BOND STRENGTH OF ONE-STEP RESIN CEMENT)

  • 강순일;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5호
    • /
    • pp.443-451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접착 과정의 레진 시멘트인 Maxcem을 제조사의 지시대로 사용하는 것과 부가적인 산 부식과정을 추가하여 접착을 시도함에 있어 그 임상적 접착 강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치아 우식에 이환되지 않은 120개의 상하악 구치를 사용하여 간접 수복물 제작을 위한 와동을 형성하고 금인레이와 간접복합레진(Synfony) 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실험군은 수복물의 종류마다 사용한 시멘트의 종류와 방식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102개의 와동 시편에 수복물의 접착을 위해 Maxcem을 사용한 군, 인산으로 부가적인 산부식 후에 Maxcem을 사용한 군, 그리고 대조군으로 다단계 전-산부식 (total-etching) 시멘트인 Variolink II 를 사용하여 접착한 실험군으로 각 군 당 17개씩으로 분류하였다. 자체 제작한 만능시험기로 push-out 접착 강도를 측정하고 와동 접착 표면적으로 나누어 단위 면적당 결합력으로 산출하였다. SPSS 12.0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ne-way ANOVA와 95% 신뢰도의 Scheffe's Test로 각 실험군의 접착력를 비교하였다. 이 실험의 조건하에서는 Maxcem을 사용할 때, 간접수복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제조사의 지시 외에 부가적인 산부식 과정은 접착 강도를 감소시키는 역효과를 유발하였으며 더욱 강한 접착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다단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산부식 과정과 접착제 적용, 시멘트 도포 등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건조수축 특성연구 (A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rying Shrinkages of Recycled Concrete)

  • 이진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17-223
    • /
    • 1997
  • 재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할 때 그 양이 증가할수록 재생콘크리트의 조기 압축강도는 떨어졌다. 골재원에 따른 압축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적을수록,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엿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강도변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콘크리트의 휨강도 발현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하나, 휨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비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았다. 재생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특히 재령2주와3주사이에 건조수축량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고가도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장기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The Long-Term Strength and the Workability of High-Strength Fly Ash Concrete)

  • 김진근;박연동;성근열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07-115
    • /
    • 1991
  • 플라이애쉬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초기 및 장기 강도 특성과 작업성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도 수준이 다른 6종류의 기본 배합을 선정하고 각 기본 배합을 선정하고 각 기본 배합에 대하여 플라이애쉬 첨가량을 0, 10, 20, 30%로 변화시켜 가면서 그 특성을 실험하였다. 또한, 고강도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슬럼프 감소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4종류의 배합을 추가하여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제2종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플라이애쉬를 10%혼입한 콘크리트는 대부분 28일 이전에 일반 콘크리트보다 높은 강도를 발현하였다. 또한, 플라이애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값은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고유동화제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