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고관리방안

Search Result 90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ools for Accident Management (사고관리방안 평가도구의 연구)

  • 제무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95-300
    • /
    • 1998
  •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복잡해지고 위험해 가고있는 산업설비에는 사고의 리스크가 잠재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설비와 위험시설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중대한 사고의 경우 그 사고의 예방과 피해최소화를 위해서 사고관리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그 방안을 수행할 절차서의 개발이 이루어 져야하고 개발된 절차사에 대한 사용교육과 훈련이 병행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어떠한 사고관리방안이 최선인지를 평가하는 사고관리 방안의 평가가 필요하다. 사고관리 방안평가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의 모델링에는 의사결정수목 (Decision Trees) 영향도 (Influence Diagrams)의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고관리방안 평가를 위한 도구 (Tools)을 개발하여 사고관리방안 평가체계를 세우고 아울러 개발 된 평가체계의 실현성과 적용가능성을 보이고자한다. (중략)

  • PDF

사고관리 방안의 정량적 평가 방법론 및 공동범람 방안 평가

  • 김재환;유동한;서균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487-492
    • /
    • 1996
  • 이 논문은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를 중지 또는 완화시키기 위하여 제시된 사고관리 방안의 실현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 방법론은 사고관리 방안의 수행실패 요인으로 운전원 진단 및 의사결정 오류, 운전원 수행오류, 관련기기 실패로 인한 오류, 수행지연으로 인한 오류 등으로 나누고, 각각에 대하여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운전원 진단 및 의사결정 오류 평가시 고려하여야 할 주요 인자들을 제시하였으며, 수행지연으로 인한 오류 평가시에는 시스템 가용시간과 방안 수행 소요시간을 정의하고 각각에 대한 분포 획득 방법과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영광 3.4호기 공동범람 방안의 평가에 적용하였다.

  • PDF

원자력발전소 사고관리 방안의 인간 신뢰도 분석 및 오류 가능성 도출

  • 이용희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295-302
    • /
    • 1997
  • 본 논문은 원자력발전소 사고관리 방안의 평가를 위하여인간 신뢰도 분석(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을 수행하고, 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능한 오류에 대한 정성적인 인적오류 분석(Human Error Analysis: HEA)과정을 추가하였다. 인적오류 분석의 기본 체계(framework)를 기법들을 검토하여 사고관리 방안 평가에서 인적오류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절차와 대표적인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을 예시하였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Safety Management through Chemical Accident Investigations (화학사고 원인 조사를 통한 화학물질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 Yoo, Byung-T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3
    • /
    • pp.403-41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similar chemical accidents through accident investigations. Method: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s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evels were reviewed, Also, statistical data of chemical accidents occurred in the last 5 years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wo accidents with high accident risk were analyzed. Result: Chemical accidents that have occurred in the last 5 years were analyzed to occur in the order of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and concrete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through investigations of two cause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safety management plans in terms of technical and management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managing chemical accident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for Coastal Accidents in Korea (국내 연안사고의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 Song, Ch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7
    • /
    • pp.95-10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for domestic coastal accidents. The national coast was classified into five region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afety accid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problems of coastal accident safety management were derived and the improvement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3,116 coastal accidents in Korea, rock on the shore and central sea accidents accounted for 37.58% and 30.67%, respectively. 2) In order to improve domestic coastal safety management, five meas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cooperation governance were suggested.

A Study on Development of Gas Accid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GIS 기반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 Kim, Kye-Hyun;Kim, Tae-Il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06-112
    • /
    • 2002
  • 최근 급속한 도시의 팽창 및 신도시 건설과 산업의 발전으로 가스시설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94년 아현동 도시가스사고와 95년 대구 도시가스사고 이후로 도시 가스 시설물의 대한 안전 대책 및 시설물 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가스회사들은 GIS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에 수작업으로 관리되고 있는 가스시설 정보체계를 전산화하여 항상 최신의 현황을 유지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 방안 및 피해예측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이 중요시되는 가스시설물에 대하여 가스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 및 처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GIS 기반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GIS의 가스사고 관리시스템에서는 사고 발생시에 시설물 관리자가 사고 지점을 선택하여 우선적으로 공급을 중단해야 할 관로를 제시하고 사고지점을 검색하여 차단해야 할 밸브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대응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가스공급이 중단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피해범위를 산정하여 효율적인 사고 관리를 지원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와 함께 잔존가스량을 구하여 사고후의 대처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원격으로 가스 시설물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SCADA System)과 연계를 통하여 가스사고 후에 신속한 피해예측 및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제시 및 GPS를 활용하여 신속한 사고처리를 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연구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가스사고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사고 후의 긴급 대처방안 뿐만 아니라 잔존가스량을 이용하여 수용가에 가스의 신속한 재공급을 위한 정보의 제공까지 한 단계 발전된 시스템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남산지역에 대해 정사영상과 10m간격의 DEM을 제작하였으며 1:1000 수치지도를 통해 제작된 DEM과 비교한 결과 총 43990개 격자점의 표고 차이는 평균 5.98m였다.여재 높이 100 cm에서 원수를 하향류 및 상향류로 주입하면서 하향류 20, 40, 80, 100 cm, 상향류 20, 40, 60, 80, 100 cm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원수가 주입되는 부근 여재 높이 20 cm에서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상향류 보다 하향류로 원수를 주입했을 때 제거효율이 높았다. $Fe^{+++}$$Fe^{++}$로 환원하는 $O^{-}_{2}{\cdot}$의 작용을 대신할 수 있음을 증명하며 이와같은 ascorbate 의존적인 $OH{\cdot}$ 의 생성은 ascorbate가 조직손상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었다. 정확한 예측치를 얻기 위하여 불균질 조직이 조사야에 포함되는 경우 보정이 요구되며, 골반의 경우 골 조직의 보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불균질 조직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되며, 이는 CT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일전 $13.447\;{\mu}g/hr/g$, 섭취 7일중 $8.123\;{\mu}g/hr/g$, 절식 14일후 $10.612

  • PDF

A Study and Design on security ticket based CERT system for quantified incident management (정량적 침해사고 관리를 위한 Security Ticket 기반의 침해사고 관리시스템(CERT) 설계 및 관리방안 연구)

  • Kim, Sun-Tae;Jun, Moon-Seog;Park, Dea-Woo
    • KSCI Review
    • /
    • v.15 no.1
    • /
    • pp.141-150
    • /
    • 2007
  • There's been a difficulty for general corporate to adopt recent incident response study because those studies focus on nation wide CERT Coordination Center or large organization aspect. This study is focus on study and design on security ticket based CERT system through analysis Security management's threat element, attack element. response element and it also help general corporate establish incident response process that is adjusted on IT operation. Confirmed CERT model's effectiveness and effect of quantitative Security incident management wav that propose executing Security incident response experiment on the basis of this way. This study which Provides general corporate oriented CERT model can be used to improve corporate's capability of responding incident by quantified management technique and select incident response SLA indicator. Already, formation which operate CERT can heighten corporation's information protection level by measure Security incident response result as metrical and analyze and improve problem continuously.

  • PDF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Crash Severity and Safety Countermeasures Toward Safer Work Zone Traffic Management (공사구간 교통관리특성을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및 안전성 증진 방안)

  • YOON, Seok Min;OH, Cheol;PARK, Hyun Jin;CHUNG, Bong 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4
    • /
    • pp.354-372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crash severity at freeway work zones. A nice feature of this study wa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work zone traffic management in analyzing traffic safety concerns. In addition to crash records, vehicle detection systems (VDS) data and work zone historical data were used for establishing a dataset to b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based on an ordered probit model. A total of six safe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freeway work zones, including traffic merging method,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speed management, warning information systems, traffic safety facility, and monitoring of effectiveness for countermeasures, were also proposed.

사고관리방안의 평가를 위한 인적오류분석 기법 요건과 방향

  • 이용희;하재주;정원대;김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844-849
    • /
    • 1998
  • 사고관리 방안의 타당성에 대한 면밀한 정토를 위하여 제안된 방안에 대한 운전원의 수행 가능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있다. 수행 가능성의 평가에서 기존의 적용 사례와 인적 오류 분석 기법들을 검토하여 기존의 인간 신뢰도 분석 기법을 활용하는데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를 점토하고 새로운 기법의 요건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안전관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AD(industrial Accident Dynamics)를 기반으로 인적오류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Response System of Forest Fire Accidents (산불사고 현황과 대응체계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 Jeong, Kyung-ok;Kim, Dae-j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457-46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by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fire accidents that are becoming larger throughout the year and the problems of the response system. Metho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urvey and statistics of recent forest fire accidents by Statistics Korea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use, number of damage,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forest fire safety management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forest fire response systems. Resul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recent wildfires and overseas response cases,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of wildfires in terms of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were derived. Conclusion: The plan to improve forest fire safety manage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and presented, and it should be embodied through further relate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