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뽕나무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2초

뽕나무 식재거리 및 원가지길이가 오디 수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acing and Main Branch Length on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ruits and Growth of Mulberry)

  • 성규병;홍인표;김현복;남학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
    • /
    • 2005
  • 오디 생산을 위한 재배법 개발을 위하여 원줄기 길이 1m로 하여 원가지를 3~5개 정도로 유지하는 중간만들기 수형으로 유지하였다. 이 때 뽕나무 재배에 적합한 식재거리는 2${\times}$1 m(500주/10a)로 하는 것이 2${\times}$1.5 m(333주/10a)에 비하여 주당수량은 약간 적으나 식재 주수가 많아 단위면적당 수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지 길이를 30, 50, 70 및 90 cm로 한 경우 90 cm 처리구에서 오디의 수량이 가장 많았다. 원가지 길이별 주당 가지수는 원가지 길이가 길수록 가지수가 많았으며, 10a당 가지량 및 엽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식재 거리별 주당 가지수는 식재거리가 넓을수록 가지수가 많았고, 10a당 가지량 및 엽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뽕나무의 춘기 수액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ap Movement in Mulberry (Morus species) Stem in Spring)

  • 이원주;민영상;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5-88
    • /
    • 1990
  • 춘기 뽕나무의 수액이동 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1년, 1982년 그리고 1990년 3년에 걸쳐 3월중순부터 4월중순까지 1개월 동안 3일 간격으로 개량뽕, 청올뽕 그리고 홍올뽕의 가지를 채취하여 피부와 목부의 수분율을 측정하였다. 1. 수액이동은 1981년 지표 20cm, 지온이 10.1$^{\circ}C$인 4월 8일경에, 1982년 8.3$^{\circ}C$인 4월 2일경에, 1990년에는 8.7$^{\circ}C$인 3월 25일경에 일어나서, 해에 따라 1.8$^{\circ}C$ 15일 차를 보였다. 2. 지표 20cm 지온 8$^{\circ}C$ 이하로 떨어지면 목부의 수분율은 감소하거나 피부의 수분율은 현상유지 내지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뿌리로부터 수분 흡수가 감소되면 목부의 수분이 피부로 이동.보충되는 것으로 보인다. 3. 수액이동은 3월 1일 이후 지표하 20cm의 지온이 영상으로 올라간 때부터 합산하여 적산온도가 18$0^{\circ}C$ 정도 되는 시기에 일어났다.

  • PDF

Fusarium spp. 균에 의한 뽕나무신소썩음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ulberry Shoot Rot caused by Fusarium spp.)

  • 윤형주;김영택;진경식;박인균;양성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1
    • /
    • 1995
  • 축엽세균병으로 알려진 피해뽕나무에서 진균인 Fusarium spp. 균이 분리되어 이를 구명하고 그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1. 신소썩음증상은 세로로 긴 갈색의 병무늬가 시간이 경과할 수록 암갈색으로 변하고 흰곰팡이가 생기며, 축엽세균병증상은 잎이 말리고 신소에 수침상의 병반과 bacterial ooze가 보인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 구분이 어렵다. 2. 신소썩음증상의 피해율은 7.5%, 축엽세균병의 피해율은 4.4%였다. 3. Fusarium spp. 균의 분리는 신소썩음증상에서 높았고, Pseudomonas균의 분리는 축엽세균병 증상에서 많았다. 또한 병원성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4. 수원 등 3지역 모두에서 부위별 병원성 Fusarium spp. 균의 분리율은 병반에서 30cm 부위에서 보다 병진전부위에서 더 높았다. 5. 수원 등 3지역 모두에서 개량뽕의 신소썩음증상 피해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청올뽕의 신소썩음증상 피해는 조사 품종중에 가장 적었다.

  • PDF

뽕나무 유합촉진 고조삽목에 관한 연구 II. 삽목온도가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Hardwood Cutting with Callusing in the Mulberry(Morus bombycis Koidz.) II. Effect of Callusing Temperature on Root Formation and Growth)

  • 김호락;최승운;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8-71
    • /
    • 1991
  • 뽕나무 고조삽목에 있어서 신광뽕을 삽수로 하고 15일간 온도를 15, 20, 25 및 3$0^{\circ}C$로 달리하여 유합촉진시킨 후 3$0^{\circ}C$ 온실베드에 삽목하였을 경우 온도별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유합촉진온도가 높으면 발아가 촉진되어 25 및 3$0^{\circ}C$의 겨우 각각 삽목 6일과 4일후부터 발아하기 시작하여 15일과 10일 후에 100% 발아하였다. 그러나 15 및 2$0^{\circ}C$에서는 8일후부터 발아하기 시작하여 15일 후에 각각 85%, 92% 발아하였다. 2. 높은 온도에서는 조기에 높은 발근율을 나타내어 삽목 15일 g수에 25-3$0^{\circ}C$에서 97-100%이었고 그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93%로서 비교적 낮았으며 35일 후에도 같은 경향이었다. 3. 삽목 15일 후에 뿌리수 및 길이는 온도가 높은 만큼 증대하였으나 35일 후의 뿌리수 및 무게는 2$0^{\circ}C$ 이상에서 차가 없었다.

  • PDF

뽕나무 유합촉진 고조삽목에 관한 연구 I. 발근촉진제 농도가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Hardwood Cutting with Callusing in the Mulberry(Morus bombycis Koidz.) I. Effect of a Root-Promoting Substance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n Root Formation)

  • 최승운;김호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3-67
    • /
    • 1991
  • 뽕나무(품종:신광뽕)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를 NAA 농도를 달리하여 2주간 유합촉진한 후 온실에 삽목한 경우 농도에 따른 발아 및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삽수동아의 발아생장은 NAA 농도가 높아짐에 EK라 삽목후 10일까지는 억제되어 지연되었다. 그러나 유합촉진 2주후에는 150ppmrn를 제외하고는 93% 이상 대부분 발아되었다. 2. NAA 농도별 발근은 삽목 15일 후 높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어느 농도에서나 증가하여 35일 후에는 매우 높은 농도(150ppm)에서 낙해발생으로 인한 다소 낮은 발근율을 제외하고는 그 이상 농도에서 100%의 발근율을 나타내었다. 3. 평균 뿌리길이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적었으나 주당 뿌리수, 뿌리길이 및 무게는 50ppmrn가 가장 많았다.

  • PDF

추기의 가지뽕 수확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arvest Methods for the Branch-rearing in Autumn)

  • 김문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5
    • /
    • 1974
  • 추기에 있어서의 가지뽕 수확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초추잠기에는 누애의 사육양에 따라서 왜소지 또는 정상지조를 1∼2본간벌수확을 하거나 지조하부에서 일부적엽수확을 하는 것이 좋다. (1) 4영기에 있어서는 왜소지간벌, 정상지조의 일부간벌 또는 중간벌채, 지조하부에서의 적엽 등 어떤 방법이나 수양에는 별 영향이 없기 때문에, 엽임, 노력관계들을 참작하여 이들 방법으로 수확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3) 5영기에는 수량도 적지 않고 노력이 적게드는 수확방법, 즉 뽕밭의 한쪽부터 차례로 각주의 지조전부를 중간벌채수확 해가는 방법으로 수확을 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다. (4) 추잠기 또는 만추잠기에 가지뽕으로 중간벌채수확을 한 후의 잔조에서 적엽을 할 때에는 여름베기를 한 뽕나무나 봄베기를 한 뽕나무나 가리지 않고 노력이 덜 들고 간편한 훑어 따기로 하여도 무방하다.

  • PDF

Dienes 염색법을 이용한 마이코플라스마성 식물병의 진단과 몇가지 염색방법의 개선 (Use of Dienes' Stain in Diagnosis of Plant Mycoplasmal Diseases and Modification of Diagnostic Procedure)

  • 신현동;나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5-220
    • /
    • 1984
  • Dienes 염색법을 국내에 발생하는 마이코플라스마성 식물병의 진단에 적용해 보면서 본 염색법의 보다 효과적인 이용을 위한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ienes 염색법을을 통한 식물 마이코플라스마병의 진단방법은 일일초와 뽕나무에서만 지정적이었고, 대추나무, 오동나무 및 붉나무에서는 부정적이었다. 2. Dienes 염색액의 $0.2\%$$0.4\%$ 수용액이 일일초와 뽕나무에 각각 적합했으며, 염색시간은 $5\~10$분 그리고 탈색시간은 $10\~20$분이 좋았다. 3. 정확한 현미경적 관찰이나 선명한 사진을 위해서 절편의 두께는 $50\~100{\mu}$가 적당하였다. 4. 공시식물의 각 부위중에서 줄기 정부 바로 밑의 부위가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엽병이나 중륵도 거의 동등한 결과를 나타냈다. 5. 이병식물에서 염색반응의 정도는 병세와 비례했으며, 병징발견 초기의 시료는 건전시료와 염색반응에 있어서 쉽게 구별되지 않았다. 6. 시료를 종절할 경우 대부분의 관요소들이 상처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관찰이 용역하므로 시료를 횡절할 경우보다 효과적이었다. 7. 염색된 시료를 현미경 관찰할 경우 filter를 사용하지 않고 텅스텐 적색광을 그대로 사용하면 사관요소와 도관요소 간의 색갈 대비를 증가시키며 정확한 해석에 도움을 주었다. 8. 시료를 고정액에 고정시키면 염색반응이 방해되었으며, 시료는 신선한 것일수록 염색반응이 뚜렷하였다.

  • PDF

뽕나무 체내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소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sonal Fluctuation of Mineral Contents in Mulberry Trees(Morus))

  • 최영철;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9-92
    • /
    • 1993
  • 뽕나무 체내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알기 위하여 199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개량뽕, 신일뽕 및 용천뽕의 가지 피층부 및 뽕잎에 함유된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가지 피층부의 P함량은 각 품종 모두 10월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용천뽕은 1월에 1.33%에서 10월에는 1.15%로 0.18% 감소하였다. 뽕잎중에서는 5월부터 10월까지 생육기 동안 각 품종 모두 감소했다. 2. K은 가지 피층부에서 4월부터 8월까지 0.7~1.1% 정도 증가를 했으나, 월동기간 중에는 0.7~0.9%정도 감소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Mg은 P와는 달리 가지 피층부에서는 8월까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Ca과 같이 10월 이후에는 다시 증가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Ca은 1월부터 9월까지 가지 피층부에서는 0.4~0.6% 감소하는 경향이었나, 10월 이후는 오히려 0.1~0.4% 정도 증가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뽕나무 화아의 기내배양에 있어서 생장조절물질이 기관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substances on Organ Regeneration from in virto cultured Flower Buds of Mulberry(Morus alba L., Morus bombycis Koidz.))

  • 남혁우;문재유;김호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88
  • 뽕나무의 화아의 기내배양을 실시할 경우 배지종류 및 생장조절물질의 농도가 각 기관의 생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urashige and Skoog 배지는 Greshoff and Doy 및 Wolter and Skoog 배지에 비하여 자웅화아의 생장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자화의 성장은 2.0ppm BAP 농도에서 양호하였다. 2. 자화 및 웅화의 화아를 가지고 있는 삽수를 7일간 삽목하여 발아시킨 후 배양한 구가 삽목을 하지 않고 직접 치상한 구보다 화아의 발육이 양호하였다. 3. 고농도 Kinetin과 저농도 IAA를 혼용 첨가한 M.S.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여 발화되었고 건전한 주두 및 약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울릉도의 균류상 (IV) -수종 주름버섯류에 대하여-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IV) -on some agaric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4-72
    • /
    • 1993
  • 1989년 10월부터 1991년 9월까지 도합 5차례에 걸쳐 채집한 98점의 주름버섯류 표본을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이들 표본의 약 4/5가 최종적으로 동정되어 주름버섯목의 10과, 22속, 30종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3종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우리나라의 균류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귀버섯과의 땅귀버섯 (신칭(新稱), Crepidotus geophilus)과 송이과의 긴대애주름버섯 (신칭(新稱), Mycena elegans) 및 큰애주름버섯 (신칭(新稱), Mycena carolinensis)이었다. 동정된 균류중 가장 흔한 종류는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졸각버섯 (Laccaria laccata), 뽕나무버섯 (Armillariella mellea), 긴대 애주름버섯 (신칭(新稱), Mycena elegans), 그리고 갈색먹물버섯 (Coprinus micaceus)등 5 종이었으며 이들이 울릉도 주름버섯류의 우점종을 이루고 있었다. 많은 종류의 주름버섯류들이 부식토, 토양, 또는 지면에서 자라고 있었으며 일부는 활엽수의 둥치, 밑동, 기부, 뿌리, 통나무, 또는 가지의 죽은 목재에 서식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 (Fagus cenata var. multinervis)와 마가목 (Sorbus commixta)은 느타리 속 (Pleurotus), 귀버섯속 (Crepidotus), 부채버섯속 (Panellus), 먹물버섯속 (Coprinus), 및 개암버섯속 (Naematoloma), 혹은 뽕나무버섯속 (Armillariella)과 같은 목재서식 주름버섯류의 가장 좋은 숙주였으며, 우산고로쇠 (Acer okamotoanum)와 소나무 (Pinusdensiflora)도 먹물버섯속 (Coprinus), 무당버섯속 (Russula), 및 비단그물버섯속 (Suillus)과 같은 토양서식 주름버섯류의 생장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었다. 육지의 주름버섯류 균류상에 비하여 울릉도의 균류 다양성은 매우 적었으며 일부 우점종들이 섬전역을 통하여 광범위하게 분포히는 반면에 미기록종을 포함한 일부 고유종들이 울릉도 균류상의 특정을 규정짓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