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asonal Fluctuation of Mineral Contents in Mulberry Trees(Morus)

뽕나무 체내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소장에 관한 연구

  • 최영철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
  • 유근섭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중앙대학교 산업대학)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nges in mineral contents of mulberry trees. The shoot barks and the leaves of three mulberry varieties(Kaeryangppong, Shinilppon, Yongcheonppong) were analyzed every 10 days during the year from January to December of 1993, Phosphorus content of the shoot barks and leaves gradually decreased until October in three varieties and increased thereafter. Especially, that of Yongcheonppong decreased 0.18% from 1.33% in January to 1.15% in October. Potassium content of the shoot barks increased 0.7~1.1% from April to August but decreased 0.7~0.9% during winter. That of leaves increased from May to October. Magnesium content of the shoot barks increased until August but decreased after then. And it increased again after October. That of the leaves decreased from May to October. Calcium content of the shoot barks decreased 0.4~0.6% from January to September but increased 0.1~0.4% from October. That of the leaves increased from May to October.

뽕나무 체내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알기 위하여 199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개량뽕, 신일뽕 및 용천뽕의 가지 피층부 및 뽕잎에 함유된 주요 무기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가지 피층부의 P함량은 각 품종 모두 10월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용천뽕은 1월에 1.33%에서 10월에는 1.15%로 0.18% 감소하였다. 뽕잎중에서는 5월부터 10월까지 생육기 동안 각 품종 모두 감소했다. 2. K은 가지 피층부에서 4월부터 8월까지 0.7~1.1% 정도 증가를 했으나, 월동기간 중에는 0.7~0.9%정도 감소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Mg은 P와는 달리 가지 피층부에서는 8월까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Ca과 같이 10월 이후에는 다시 증가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Ca은 1월부터 9월까지 가지 피층부에서는 0.4~0.6% 감소하는 경향이었나, 10월 이후는 오히려 0.1~0.4% 정도 증가했다. 뽕잎 중에서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