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행 절차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5초

GNSS를 이용한 계기비행절차($RNAV_{GNSS}$) 설계 기술동향

  • 김필수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5권1호
    • /
    • pp.93-103
    • /
    • 2007
  • 3차원의 공간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항행은 조종사가 직접 지상의 지형지물을 참조하며 비행하는 시각비행과 지상의 항행안전시설로부터 무선신호를 받아 비행하는 계기비행으로 구분되어 발전되었다. 현재 계기비행을 수행하기 위한 계기비행절차 수립에 기반이 되는 항행안전무선시설은 기존의 VOR(VHF Omni-directional Range),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등의 지상기반 항행안전무선시설에서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한 위성기반 항행으로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항행체제 또한 기존의 Fix to Fix 항행체제에서 RNAV(Area Navigation) 체제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계기비행절차는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륙하여 항로로 진입하기 위한 계기출발절차(SID), 항로절차(Enroute), 항로에서 목적 공항의 지정된 활주로에 설정된 접근절차(Approach)로 인도하는 도착절차(STAR), 지정된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한 접근절차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문에서는 GNSS를 기반으로 하는 RNAV 절차(RNAVGNSS)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 설계요건 및 RNAVGNSS 계기비행절차를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절차이행모델, RNAVGNSS 절차 수립에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사항 등에 대하여 소개하도록 한다.

  • PDF

유도무기 비행시험 시스템을 위한 모델 기반 운용절차의 설계 및 개선 (Model-Based Design and Enhancement of Operational Procedure for Guided Missile Flight Test System)

  • 박웅;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79-488
    • /
    • 2019
  • 비행시험 운용절차는 유도무기 비행시험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위한 중요 산출물의 하나로서 비행시험 진행 단계별 임무계획, 수행방법, 안전대책 등을 포함한다. 유도무기체계 개발이 첨단화, 전략화 됨에 따라서 유도무기 비행시험은 점차 복잡화, 광역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험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비행시험 운용절차의 신뢰성 증대가 요구되었다. 특히, 새로운 개념의 비행시험 수행을 위해서 시험 전 불확실성을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비행시험 운용절차 설계에서 M&S 기법의 적용을 통한 검증이 필요하게 되었다. 관련 연구로서 비행시험의 최적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와 비행시험 프로세스 모델기반 개선 연구들이 발표되었지만, 상위 개념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결과로서 하위 수준의 비행시험 자원과 연동하는 비행시험 운용절차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구체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기존의 문서기반으로 구성된 비행시험 운용절차는 시험자원의 거동과 성능에 대한 분석능력의 한계로 시험자원의 중복과 누락, 직관적이지 않는 표현으로 운용자 간의 의사소통 저하, 그리고 다수의 비행시험에 적용하기 위한 확장성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델기반 시스템공학(MBSE) 기법의 적용을 통한 유도무기 비행시험 운용절차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전의 비행시험 정보를 기반으로 비행시험 진행 단계와 수행방안을 정의한 후, 요구사항으로부터 시험자원의 임무수행을 SysML 모델 기반으로 구성한 템플릿으로 제공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서 정상상황과 비상상황에 대한 최적의 수행절차를 도출하였으며, 사례 적용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험자원의 거동과 성능에 대한 분석능력의 증대로 신뢰성이 향상되었고, 다수의 비행시험에 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으로 효율성이 증대되었으며, 향후 개발 예정인 유도 무기 비행시험에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경비행기의 비행 시험 절차에 관한 연구 (Flight Test Procedures for Light Airplane)

  • 이정모;은희봉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30
    • /
    • 1997
  • FAR 23, AC 23-8, 그리고 Order 8110.7을 이용하여 경비행기의 비행 시험 절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공-91의 비행 시험을 통한 경험을 바탕으로 형식증명을 위한 주요 절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소형 비행기의 제작자, 항공관련 기술자, 비행 시험 기술자, 비행 시험 조종사, 그리고 관련 정부 관계자들에게 비행 시험에 관련된 기준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비행 시험 방법과 절차는 주로 소형 비행기의 형식증명에 관련된 것으로 관련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경비행기의 이착륙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akeoff and Landing Performance of Aircraft)

  • 김정환;황명신;이정모;김칠영;진일환;장욱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7-105
    • /
    • 1995
  • 본 연구는 창공-91 항공기의 비행 시험의 일환으로 수행된 것으로, 항공기의 이 착륙 성능 측정을 위한 비행 시험의 절차와 사용된 방법, 자료 처리 절차 그리고 비행 시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비행 시험은 FAR 부속서인 Advisory Circular 23-8A 의 비행 시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측정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설계시에 결정된 창공-91의 성능 자료를 만족함을 보였다.

  • PDF

계기비행절차 설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Design Program for Instrument Flight Procedure)

  • 송재훈;김혁;정홍기;이장연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2호
    • /
    • pp.185-19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계기비행절차 설계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품의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외산 제품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개발 요구조건 도출을 위하여 계기비행절차 설계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 및 시험평가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국내 비행종합시험을 위한 비행시험 및 안전관리 운영·절차에 관한 연구 (Study on Flight Test Safety Management Operations and Processes)

  • 목지현;이계림;고상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38
    • /
    • 2017
  • 항공 산업의 소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인증체계 및 비행시험 운영에 필요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국내 민항기 KC-100, 군용기 T-50 사례와 국외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CAAC(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기관의 비행시험 관련 문건을 바탕으로 개발 및 개조 중에 있는 항공기에 대한 성능검증, 시험평가 및 안전성 인증을 위한 비행시험 운영 절차와 안전 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항공기 비행시험 절차에 적용할 수 있는 FTSC(Flight Test Safety Committee)의 모범사례(Best Practices)를 조사 분석하였다.

항공촬영용 비행선의 자동비행장치 개발 및 비행시험 (Autopilot Design and Flight Test of an Unmanned Airship for Aviation Photograph)

  • 홍천한;김병수;박주원;제정형;이성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45-54
    • /
    • 2006
  • 일반적인 항공 촬영용 무인비행선은 GIS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체 조종사와 영상 장치 조종사가 필요하며, 좋은 영상을 위해서는 이들의 호흡과 정확한 위치로의 이동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인력의 소요를 줄이고 정확한 위치/고도의 사전 계획된 비행경로를 자동비행하는 11m급 무인비행선의 고전제어 기반의 자동비행 제어법칙을 소개한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위해 실시한 비행시험의 각 단계별 절차와 유의사항, 외란에 의한 추종 오차를 줄이는 LOS 가이던스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비행시험 결과를 통한 게인 튜닝절차를 소개한다.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의 비행 절차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of Flight Procedure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이현웅;이학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00-507
    • /
    • 2020
  • 본 논문은 기록된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혼잡한 공항의 비행 절차별 위험도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ADS-B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생성된 100일 치의 항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의 비행 절차별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위험도 분석은 DWC (detect and void well clear) 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행 절차별로 가장 높은 위험도가 나타나는 구간과 위험 발생이 잦은 구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인천국제공항의 표준계기출발절차 중 RNAV BOPTA 1L의 SI712 - RANOS Fix 구간에서 가장 높은 위험도가 나타났으며, 표준계기도착절차 중에서는 RNAV GUKDO 1N에서는 SI947-DANAN Fix 구간에서 가장 높은 위험도가 나타났다. 또한 김포국제공항의 표준계기출발절차 중에서는 RNAV BULTI 1X의 SS726 - SS727 Fix, 표준계기도착절차 중에서는 RNAV OLMEN 1D의 KAKSO - KALMA Fix 구간에서 가장 높은 위험도가 나타났다.

계기비행 시뮬레이터에서 비행 임무의 평가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Flight Tasks in Instrument Flight Simulator)

  • 황수찬;백중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1-22
    • /
    • 2000
  • 계기비행 시뮬레이터는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비하여 각종 계기의 판독 및 조작 방법과 비행 절차 등을 숙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시뮬레이터들은 실제 항공기와 동일한 환경의 구축에 주로 관심을 두었으나 비행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적인 임무와 이착륙 절차 등에 관한 체계적 훈련과 훈련 결과에 대한 자동적인 평가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기비행 시뮬레이터에서 비행 중 임무, 이착륙 임무, 항로 비행과 같은 각종 비행 임무의 구현 및 평가 방법을 제시하도록 한다.

  • PDF

비행안전구역 밖에서의 고도제한 (Study on height restriction with respect to zone beyond the imaginary surface area under the Military Aviation Law)

  • 하홍영;김해마중;홍상범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18권
    • /
    • pp.363-384
    • /
    • 2003
  • 군용항공기지법은 비행안전구역을 설정하여 각 구역별 표면높이 이상의 장애물설치를 금지하고 있다. 비행안전구역은 항공기의 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정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좁은 국토여건을 감안, 비행안전구역을 6구역까지만 축소 설정하여 계기비행절차와 관련된 비행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계기비행절차가 수립되어 있는 영역 중 일부에 대하여는 비행안전구역이 설정되지 않아 아무런 고도제한을 가할 수 없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출발점으로 삼아, 비행안전과 관련된 비행안전구역 외곽에서의 고도제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우선 군용항공기지법상의 비행안전구역과 각 국의 비행안전구역 설정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행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행안전구역 밖의 일정 영역에 대하여도 고도제한을 할 필요성이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방안 검토를 위해 비행안전구역 밖에서의 고도제한에 대한 입법례를 참조하였다. 그 결과 여러 가지 입법안을 상정해 볼 수 있었고 비행안전구역 밖의 일정 부분에서 일정높이 이상의 건축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비행안전심사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려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