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트 동기화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6초

타일드-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실시간 동영상 상영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Video Player on Tiled-Display System)

  • 최기석;유정수;최정훈;낭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4호
    • /
    • pp.150-15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대의 PC와 모니터를 연결한 타일드-디스 플레이(Tiled-Display)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실시간 동영상 상영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동영상 상영기는 하나의 동영상을 기가 비트(Giga bit) 폐쇄 이더넷으로 연결된 여러 PC에 UDP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전송하고 각 수신기는 받은 동영상 데이타의 압축을 푼 후 이미지를 자신의 영역에 분할하여 시간적인 동기화를 맞추어서 재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은 미디어 데이타의 전송 중 발생하는 패킷 손실 및 지터(jitter) 문제를 동영상의 비트레이트에 따라서 방송량을 결정하는 흐름 제어 방법과 필요한 만큼 미리 받은 뒤 재생을 시작하는 버퍼링 방법을 통하여 해결하였으며, 서로 다른 PC의 상영기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별도의 오버헤드 없이 시작 시간만 동기화하고 각 PC의 상영기들의 리퍼런스 클럭의 속도를 동일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실시간 스트리밍 및 상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여러 전송포맷 및 압축 포맷을 지원하기 위하여 Microsoft DirectShow 구조상에서 구현되었다.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에서 효율적 문자부호 전송을 위한 문자부호화 규칙 (Composition Rule of Character Codes to efficiently transmit the Character Code in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Protocol)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53-760
    • /
    • 2012
  • 본 논문은 데이터 통신의 전송효율 측면에서 OSI 표현계층에서 수행되는 문자의 원천부호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데이터링크 계층의 HDLC와 PPP 프로토콜은 프레임과 프레임간의 식별 및 수신기의 동기화 패턴용으로 프레임의 맨 앞뒤에 FLAG 바이트를 삽입한다. 이 FLAG 바이트는 "01111110"의 8비트열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데이터비트열에서 "0"비트 이후 "1"의 비트가 연속하여 5개 이상 발생될 경우 데이터비트열이 플래그(flag)로 혼동되어 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HDLC에서는 데이터 비트열에 "1"의 비트가 5개 이상 연속될 경우 5번째 비트 다음에 "0"비트를 인위적으로 추가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문자 부호에 연속 5개의 "1"비트열이 많이 발생하도록 부호화하게 되면 데이터 통신의 전송 효율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본문에서는 문자부호에 연속 5개 이상의 비트"1"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문자부호화 규칙을 제시하였다.

송신부 클럭을 이용한 기가비트 이더넷 PCS 수신부 동기화 처리 방법 (A Processing Method for Synchronization in 1000BASE-X PCS Receiver Using Transmitter Clock)

  • 이승수;고재영;송상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B호
    • /
    • pp.989-995
    • /
    • 2001
  • 흔히 전송매체와 연결되는 물리계층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열에서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가비트 이더넷에서는 PMA에서 PCS로 데이터열을 전송할 때 62.5MHz 두 개의 클럭에 맞추어 교대로 보내는 절차를 표준안으로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열을 처리하기 위한 125MHz 클럭을 생성해내는 PLL이 필요하다. 그러나 PLL은 구현하기가 어렵다. 다른 대안들로는 FIFO를 활용하는 방법과 62.5MHz 클럭을 이용한 이중 데이터열 처리 방법 등이 있다. FIFO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중 데이터열 처리 방법에서는 표준안과 다른 별도의 수신부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한 방법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표준안을 따르며 비용 효과적인 하나의 방안으로 송신부 클럭에 수신된 데이터열을 재정렬 시킬 수 있는 DSM(Divide-Select-Merge)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DMA이동망에서 점대점 프로토콜의 주소영역을 이용한 비주기적 동기 알고리즘 (A Non-Periodic Synchronization Algorithm using Address Field of Point-to-Point Protocol in CDMA Mobile Network)

  • 홍진근;윤정오;윤장흥;황찬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8호
    • /
    • pp.918-929
    • /
    • 1999
  • 동기식 스트림 암호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암호통신에서는 암/복호화 과정 수행시 암호통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이클슬립으로 인해 키수열의 동기이탈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오복호된 데이타를 얻게된다. 이러한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까지 암호문에 동기신호와 세션키를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동기를 이루는 주기적인 동기암호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CDMA(Cellular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망에서 데이타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되는 점대점 프로토콜의 주소영역의 특성을 이용하여 단위 측정시간 동안 측정된 주소비트 정보와 플래그 패턴의 수신률을 이용하여 문턱 값보다 작은경우 동기신호와 세션키를 전송하는 비주기적인 동기방식을 사용하므로써 종래의 주기적인 동기방식으로 인한 전송효율성 저하와 주기적인 상이한 세션키 발생 및 다음 주기까지의 동기이탈 상태의 지속으로 인한 오류확산 등의 단점을 해결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링크계층의 점대점 프로토콜(Point to Point Protocol)을 사용하는 CDMA 이동망에서 동기식 스트림 암호 통신방식에 적용시 동기이탈율 10-7의 환경에서 주기가 1sec인 주기적인 동기방식에서 요구되는 6.45x107비트에 비해 3.84x105비트가 소요됨으로써 전송율측면에서의 성능향상과 오복호율과 오복호 데이타 비트측면에서 성능향상을 얻었다. Abstract In the cipher system using the synchronous stream cipher system, encryption / decryption cause the synchronization loss (of key arrangement) by cycle slip, then it makes incorrect decrypted data. To lessen the risk, we have used a periodic synchronous cipher system which achieve synchronization at fixed timesteps by inser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session key. In this paper, we solved the problem(fault) like the transfer efficiency drops by a periodic synchronous method, the periodic generations of different session key, and the incorrectness increases by continuing synchronization loss in next time step. They are achieved by the transfer of a non-periodic synchronous signal which carries synchronous signal and session key when 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nalyzing the address field of point-to-point protocol, using the receiving rate of address bits information and flag patterns in the decision duration, in providing data services by CDMA mobile network. When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the synchronous stream cipher system using point-to-point protocol, which is used data link level in CDMA mobile network, it has advanced the result in Rerror and Derror and in transmission rate, by the use of 3.84$\times$105bits, not 6.45$\times$107bits required in periodic synchronous method, having lsec time step, in slip rate 10-7.

IEEE 802.11n 무선 LAN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하드웨어 구조 (Hardware Architecture of Timing Synchronization for IEEE 802.11n Wireless LAN Systems)

  • 조종민;김진상;조원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1A호
    • /
    • pp.1124-113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MIMO-OFDM 기반의 차세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 IEEE 802.11n 드래프트 표준의 시간 동기화 구조의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간 동기화 구조는 일반적인 대략추정과 상세추정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기 상관기를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대략추정에서는 자기상관함수의 최대치에서 발생하는 평탄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하였고, 상세추정을 위해서는 긴 훈련 심볼(L-LTS)의 공액복소수 대칭특성을 이용하여 연산구조를 단순화하였다. 또한, 제안된 구조에서는 기존의 시간 동기에서 필요한 상호상관이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곱셈 연산량이 감소되며 하드웨어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복소수 곱셈기를 부호비트만으로 양자화하여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제안된 시간 동기화 구조는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시간 동기화 실패 확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추후 IEEE 802.11n 표준의 주파수 동기 구조와 쉽게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일 Bit 동기화를 이용한 무선 LAN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인증 프로토콜 (An Efficient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Single Bit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LAN Environment)

  • 조혜숙;윤희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6호
    • /
    • pp.747-754
    • /
    • 2004
  • 오늘날 무선 LAN이 집안 또는 회의실, 교실 등과 같이 여러 장소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은 보안에 관한 관심을 증대 시켰고, 최근에 강력한 인증 메커니즘 기반의 VPN과 WEP이 같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VPN과 WEP이 같이 사용됨으로써 보안성이 증가해 지지만 인증 과정에 불필요한 중복이 생기게 되고 그로 인한 전력소비 증가, 인증 속도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증을 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간단한 인증방식, 모바일 스테이션의 적은 전력소비, 인증 스트림의 높은 이용율의 특징을 갖는 새로운 동기화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이 프로토쿨은 Access Point에서 각 프레임의 한 비트를 사용하여 인증하기 위한 동기화를 수행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새로운 동기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제안 방법이 기존의 비슷한 인증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인증 프레임 사용과 인증 속도 면에서 더 효율적임을 보이고 또한, AP측에서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바일 스테이션 측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짐을 보인다.

IEEE802.11a 무선 랜 적용을 위한 시간동기 시스템 제안 (Low-complexity Timing Synchronization System for IEEE802.11a Wireless LANs)

  • 하태현;이성주;김재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1B호
    • /
    • pp.965-97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IEEE802.11a 표준 무선 랜(WLAN)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시간동기(timing synchronization) 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IEEE802.11a표준을 이용한 WLAN에서는 수신된 신호와 상관계수들과의 상호상관을 이용하여 시간동기를 검색하는데, 이때 수신단의 시간동기를 위한 상관기의 상관계수는 짧은 훈련심볼(short training symbol)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시간동기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상관기의 상관계수를 2$^{i}$ 형태를 가지는 값들로 양자화 하여 사용한다(i는 정수값). 2$^{i}$ 형태의 양자화 값을 사용하면, 상관기를 구성하는 기능 중 곱셈기능을 i-비트 쉬프터(i-bit shifter)를 이용하여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비트 쉬프터와 덧셈기로 구성된 상관기를 이용한 시간동기 시스템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과 레일레이 페이팅(Rayleigh fading) 채널 하에서 기존 방식들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과 기존 방식을 비교한 결과 기존 방식과 비슷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방식에 비 해 90%가량의 하드웨어 복잡도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1 전송시스템 보호를 위한 ZS 동기 알고리듬 (A ZS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the Security of T1 Carrier System)

  • 이훈재;박봉주;장병화;문상재;박영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3-64
    • /
    • 1997
  •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T1 전송시스템에 동기식 스트림암호를 적용시 수신 데이터는 매우 긴 비트 간격 동안 연속해서 "0" 또는 "1"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클럭 복구가 어려울 뿐 아니라 통신규약을 위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T1 전송시스템에 동기식 스트림암호를 적용시 출력단에서 암호문의 연속 "0" 비트수를 k( $\geq$ 2) 이하로 억제하는 블록검출방식과 직렬검출방식(ZS, Zero Suppression)을 제안한다. 제안된 ZS방식들은 암호학적 비도를 유지하면서 스트림동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도를 유지하면서 스트림동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계층적 트리의 집합 분할 알고리즘(SPIHT)에 기반한 에러에 강하고 가변적인 웨이브렛 비디오 코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rror-Resilient, Scalable Video Codecs Based on the Set Partitioning in Hierarchical Trees(SPIHT) Algorithm)

  • 지인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7-43
    • /
    • 2023
  • 압축된 정지 영상이나 비디오 비트열들은 무선채널에서 채널 에러의 보호가 요구된다. Embedded Zero Coding(EZW)와 SPIHT는 낮은 복합도의 영상압축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여준다. 무선 채널의 전송상의 문제로 인해 비트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부호화와 복호화 사이의 동기를 잃어버리게 되어 심각한 성능의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웨이브렛 제로코딩 알고리즘은 에러에 매우 민감한 가변 길이 코드워드가 생성된다. 이 논문의 아이디어는 리프팅 계수들을 분할하는 것이다. 리프팅 변환들의 많은 분할이 무선채널의 채널 에러를 각 분할로 분배된다. 그래서 정지 영상이나 비디오 스트림에서 영상 왜곡을 야기 시키는 동기화 문제가 개선되었다.

MMT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타이밍 모델 설계 (Advanced Timing Model Design for MMT System)

  • 정태준;이홍래;서광덕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8-69
    • /
    • 2016
  • ISO/IEC 13818-1 MPEG2 시스템의 타이밍 모델은 인코더에 들어간 비디오와 오디오 샘플들이 일정한 딜레이가 지난 후 디코더에서 정확히 한 번씩 나타나는 식으로 구현된다. 해당되는 디코더는 타이밍 모델에 부합하여 대응되는 비트스트림을 전달받는다. 이를 통해서 적절하게 동기화가 이루어진 고품질 오디오와 비디오를 위한 디코더 구현을 쉽게 할 수 있다. 반면에, RTP 타이밍 모델은 실제 프리젠테이션 시간에 관한 타이밍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데이터 패킷의 타임스탬프는 상대적 타이밍을 제공하고, RTCP 송신자는 스트림 간 동기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RTP 수신기에서는 버퍼링의 량이나 패킷의 디코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 따라서 RTP는 유동적인 전송 지향적인 타이밍 모델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MPEG-2 시스템은 정확한 타이밍 모델을 수신측을 위해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2 시스템과 RTP의 타이밍 모델의 이점을 가져와 MMT 시스템을 위한 타이밍 모델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