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동기식통신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6초

음성/데이터 통합 전송을 위한 무선 CDMA ALOHA 시스템 구상과 그 트래픽 분석 (The wireless CDMA ALOHA System Concept for the Voice/Data Integrated Transmission and Its traffic Analysis)

  • 권기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173-179
    • /
    • 2010
  • 현재 통신 시스템은 무선화와 멀티미디어화의 두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전 시스템에 비해 커다란 전송 용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 서비스는 서로 다른 전송률과 특징을 가지는 두 개의 다른 서비스 형태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음성/비디오 서비스는 약간의 오류를 허용하나 실시간 전송이 돼야 하고, 데이터는 실시간성은 떨어지나 하나의 비트 오류라도 재전송을 해야 한다. 음성/데이터 혼합 트래픽의 갑작스러운 증가에 대해 오류가 허용되는 실시간 음성/영상 데이터에 대해 우선 전송하고 지연이 허용되는 일반 데이터는 BER이 낮아진 후에 전송하면 높은 쓰루풋을 갖게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동기 unslotted ALOHA CDMA 시스템을 가정하여 이 시스템에 대해 혼합된 음성/영상 및 컴퓨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 트래픽 용량의 계산식을 유도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이용하면 시스템의 트래픽 분석과 변화하는 트래픽에 대해 이론적 해석이 쉬워지리라 본다.

  • PDF

광학 카메라 통신기술을 활용한 공연장 내 위치 정보 획득 방법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in a Theater using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Technology)

  • 정은영;서봉석;김남태;신재모;유동호;김동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7-208
    • /
    • 2017
  • 최근 보급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들을 제공하고 있다. 실외 위치 측위 같은 경우는 기존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실내 위치 측위는 기존의 GPS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 중에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beacon)을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충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상기 단점들을 극할 수 있는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를 활용한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을 고려한다. 특별히 공연장 내에서 관객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동기식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위치정보들은 촬영한 영상과 함께 저장되어 다양한 시점을 제공하는 응용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WCDMA 이동통신망에서 이종간 네트워크 신호 정합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gnal Matching Module for Heterogeneous Network in WCDMA)

  • 유동주;김근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85-9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의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신형 원격 기지국(RRH)과 중계기간에 RF 신호가 상호 정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합 모듈 시스템 설계에 관한 것이다. 이 정합 시스템은 통신 중에 있는 모듈의 RF Gain을 제어하고 품질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또한 Network의 RF 환경변화에 따라 RF Gain을 적절히 조절하여 중계기의 수신 특성에 맞게 정합 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신형 기지국과 기존 중계기간에 상호 인터페이스 품질문제를 개선하였다.

나카가미 페이딩 환경하에서 다이버시티기법과 에러 정정부호화 기법을 채용한 MFSK-MDPSK/DS-CDMA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FSK-MDPSK/DS-CDMa System Employing Diversity Techniquies and Error Coding Technique in Nakagami Fading Environment)

  • 양원일;강희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53-56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DS-CDMA 시스템의 성능 열화의 주요 원인인 다중 경로 페이딩이 존재하는 이동통신 채널 환경에서 성능 개선 기법으로 MRC 다이버시티 기법과 에러 정정 부호화 기법을 채용한 경우의 MFSK MDPSK/DS-CDMA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수치해석에 의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려한 변조방식은 비동기식 MFSK와 MFSK에 기반한 MDPSK를 이용한 결합주파수 위상변조 방식이다. 결과에 의하면 MFSKM MDPSK/DS-CDMA 시스템과 기존의 MFSK/DS-CDMA와 MDPSK/DS-CDMA 시스댐을 비교하면 MFSK M MDPSK/DS-CDMA 시스댐의 성능이 우수함을 알았다. 또한. 나카가미 페이딩 환경하에서 MFSK-MDPSK/DS-CDMA 시스템은 다이버시티 가지수의 증가와 부호화의 이득에 의해 에러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

전압-주파수-구역을 고려한 에너지 최적화 네트워크-온-칩 설계 방법론 (Voltage-Frequency-Island Aware Energy Optimization Methodology for Network-on-Chip Design)

  • 김우중;권순태;신동군;한태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8호
    • /
    • pp.22-30
    • /
    • 2009
  • 네트워크 온 칩 (Network-on-Chip, NoC) 기술은 기존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 설계에서 IP 블록 수 증가와 이에 수반된 상호 연결 네트워크 복잡화 및 데이터 대역폭 제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설계 패러다임이다. 더불어 동작 주파수 증가에 따른 급격한 전력 소모 클럭 신호의 분배와 동기화 문제 역시 중요한 이슈이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광역적으로는 비동기, 국부적으로는 동기식 (Globally Asynchronous Locally Synchronous, GALS) 인 시스템 설계 방법론이 저전력 기술과 결합되어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모듈적인 설계를 위해서 고려되어 왔다 GALS 방식의 설계 스타일은 정밀한 시스템 수준 전력 관리를 적용하기 위해 최근 소개되고 있는 전압 주파수 구역 (Voltage-Frequency-Island, VFI) 의 개념과 매우 잘 어울린다. 본 논문에서는 VFI를 적용한 NoC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압선택을 통해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최적의 코어(또는 처리 소자) 전압과 VFI를 찾기 위해 통신량을 고려한 코어 그래프 분할, 통신-경쟁 시간을 고려한 타일 매핑, 전력 변화량을 고려한 코어의 동적 전압 조절 그리고 효율적인 VFI 병합 및 VFI 동적 전압 재 조절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설계 방법론은 기존 연구결과 대비 평균적으로 10.3%의 에너지 효율 향상이 있다는 것을 실험 결과를 통해 보여준다.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 버스티 트래픽에 적합한 MAC 프로토콜 (A Bursty Traffics Friendly MAC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진영;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72-778
    • /
    • 2018
  • 컴퓨팅, 통신, 그리고 미세 전자기계 기술의 최근 발달로 인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응용들이 군사용으로부터 물체 추적, 화재 탐지, 그리고 차량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많은 상업적인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어떤 응용들에서는 WSNs를 구성하고 있는 센서 노드들이 모니터링 지역에서 생산한 버스티한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인 싱크 노드까지 제한된 시간 내에 전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시간 내에 버스티 패킷을 전달해야 하는 응용에 적합한 BTF-MAC을 제안한다. BTF-MAC 프로토콜은 동기식 듀티 사이클 MAC 프로토콜이며, 슬롯 예약 및 데이터 트래픽에 적응적으로 동작 구간을 확대하는 메커니즘을 가진다. 성능 분석 결과 BTF-MAC 프로토콜이 관련 프로토콜인 DW-MAC이나 SR-MAC 등에 비해 에너지 소모나 전송지연 비교에서 훨씬 우수한 결과를 보여준다.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와 PC 클러스터 환경 타일 가시화 시스템의 효율적인 연동 (An Efficient Integration of 3D User Interface Device with Tiled Display System in PC Cluster Environment)

  • 오민환;김광식;최윤혁;양진오;조진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5-19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PC 클러스터에 기반한 타일 가시화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개발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에는 모델 자세조종 명령어를 비롯한 각종 메뉴가 포함되어있으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에서 발생되는 신호 잡음을 없애기 위해 박스형 필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타일 가시화 시스템과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신호 대기로 인해 발생하는 모델 운동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동기식 통신형태에 기반한 새로운 ‘통신 분리’ 알고리듬을 제안하였으며, 검증 테스트를 통해 제안된 방안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MPEG 입력 신호원의 트래픽 특성과 효과적 대역폭 추정 (Traffic characteistics and effective bandwidth estimation for MPEG sources)

  • 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490-1500
    • /
    • 1996
  •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채널 대역 효율을 최대화하는 문제 때문에 ATM망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의 중요한 사항은 효과적인 망입력 데이터들의 활용문제이다. ATM 망에서 MPEG 입력데이타의 효과적 대역폭 추정방식을 제안하였다. MPEG 데이터의 무작위, 대용량 특성으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전송 대역폭을 할당하는 문제는 일반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MPEG 트래픽 스트림을 서비스처리 속도, 버스트 입력율, 버스트간 입력율, 버스트 주기, 버스트 간격 주기으 5가지 트래픽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각 데이터 입력원의 전송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버퍼의 큐(queue)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이 추정된 대역폭을 동기식으로 적용하였다. 많은 수의 가상 회로 접속을 다중화한 고속 링크의 망모델에서 적응 대역 할당 방식의 성능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고정 대역 할당 방식에 비하여 큐잉 지연이 상당히 감소되었다.

  • PDF

GPS L1 신호추적 결과를 이용한 GPS L5 신호추적 기법 (GPS L5 Signal Tracking Scheme Using GPS L1 Signal Tracking Results)

  • 주인원;이상욱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9-104
    • /
    • 2012
  • 미국은 GPS 현대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주요 내용 중의 하나가 L5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1176.45MHz 대역의 L5 주파수는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할당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항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L1 주파수와 동시에 사용시 이온층 오차를 제거하여 보다 높은 측위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L5 신호의 코드길이는 L1 신호에 비해 10배가 더 길기 때문에 L5 신호의 획득시간도 L1 신호에 비해 더 길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호획득에 사용되는 상관기 갯수를 늘려야 하는데, 이는 상관기 구조가 복잡해지고 연산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GPS L1/L5 겸용 수신기에서 L1 신호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L5 신호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L5 신호획득 과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제안된 방법은 동일한 GPS 위성에서 전송하는 L1/L5 신호는 코드시작시점의 코드위상이 동기가 되어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L1 신호의 메시지 비트가 시작하는 시점에 L5 코드의 시작시점을 동기시킨다. 그리고, GPS L1 신호를 처리하여 산출된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여 캐리어 주파수간의 관계식을 통해 GPS L5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L5 신호의 코드시작시점과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면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상관기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L5 신호를 추적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론적 분석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40 Gb/s 광통신 수신기용 클락 복원 회로 설계 (Design of the Clock Recovery Circuit for a 40 Gb/s Optical Receiver)

  • 박찬호;우동식;김강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4-139
    • /
    • 2004
  • 40 Gb/s 광 수신기용 클락 복원회로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클락 복원회로는 전치 증폭기, 다이오드를 이용한 비선형 회로, 대역통과 필터, 클락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다. 40 Gb/s 클락 복원회로를 제작하기에 앞서 10 Gb/s 클락 복원회로를 제작, 측정하였다. 40 Gb/s 클락 복원회로에 -10 dBm의 40 Gb/s NRZ 신호를 입력하였을 때, 비선형 회로를 통과한 후에 40 GHz의 클락이 출력 전력 -20 dBm으로 복원되었다. 비선형 회로를 통과하여 복원된 클락은 협대역 필터를 통과하고, 증폭되게 된다. 제작된 클락 복원회로는 클락의 지터를 감소시키고, 더욱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 위상 동기 회로의 입력으로 사용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