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늘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19초

열수 및 효소적 가수분해로 제조된 틸라피아 비늘 젤라틴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 활성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s of Gelatin Hydrolysates Prepared from Tilapia mossambica Scales by Hot Water and Enzymatic Extraction)

  • 안용석;이원우;이승홍;안긴내;고창익;오창경;오명철;김동우;전유진;김수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26-433
    • /
    • 2009
  • Fish scales have potential in functional food preparation due to their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properties. We investigated th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Tilapia mossambica scale extracts. Hydrolysates of tilapia scales were prepared by enzymatic extraction using five proteases (${\alpha}$-chymotrypsin, Alcalase, Kojizyme, Protamex and trypsin) after scales were treated with hot water for 3 hr. Scale enzymatic hydrolysates prepared using both hot water and enzyme treatments exhibited elevated hydrolysis (about 25%-55%) compared to only enzyme treatment (about 15%-45%). Enzymatic hydrolysates (1 mg/mL) prepared by both hot water and enzyme treatments also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CE inhibitory activities from about 20%-75%. The pattern of ACE inhibitory activities was similar to the degree of hydrolysis. Alcalase and ${\alpha}$-chymotrypsin hydrolysates displayed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ies ($IC_{50}$ = 0.83 mg/mL and 0.68 mg/m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CE inhibitory effects of $IC_{50}$-chymotrypsin hydrolysates increased with decreasing molecular weight (5 kDa>, 10 kDa> and 30 kDa>), with the 5 kDa> fraction displaying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about 89.9% and $IC_{50}$ = 0.1 mg/mL). We suggest that the peptide compounds of enzymatic hydrolysates prepared from tilapia scale enhances ACE inhibitory activity and might be useful as an antihypertensive material.

옥돔(Branchiostegus japonicus) 비늘 유래 젤라틴의 가수분해 및 가수분해물의 기능성 (Processing and Biological Activity of Gelatin Hydrolysate from Branchiostegus japonicus Scales)

  • 안용석;이원우;이승홍;안긴내;고창익;오창경;오명철;김동우;전유진;김수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17-425
    • /
    • 2009
  • The potential utility of fish scales to the functional food industry has been investigated due to its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gelatin hydrolysates processed from Branchiostegus japonicus scales, which are also high in protein content (about 46.1%). We prepared the enzymatic gelatin hydrolysates with four proteases (${\alpha}$-chymotrypsin, Alcalase, Neutrase and trypsin) from B. japonicus scale gelatin, which was prepared according to different reaction times, substrate/enzyme ratios and substrate concentrations. The enzymatic hydrolytic degrees of the gelatin increased time-dependently up to 6 hrs, while the Alcalase gelatin hydrolysates showed the highest hydrolysis degrees compared to the others. Furthermore, gelatin hydrolysates of Neutrase and ${\alpha}$-chymotrypsin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and $H_2O_2$ scavenging activities ($IC_{50}$ value; 9.18 mg/mL and 9.74 mg/mL), respectively. However, the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 (P<0.05). We also observed that the four gelatin hydrolysates significantly increased ACE inhibitory activities from approximately 20% to 60% (P<0.05), Among them, the Alcalase gelatin hydrolysates showed the higher ACE inhibitory activity ($IC_{50}$ value; 0.73 mg/mL) compared to the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zymatic gelatin hydrolysates prepared from B. japonicus scales may possess a potentially useful function as an ACE inhibitory agent. As such, the utility of B. japonicus scales should be given due consideration for application in the functional food industry.

참복과(복어목) 어류 속의 외부형태적 특징 (Generic Characters of the Fishes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Teleostei: Tetraodontiformes))

  • 한경호;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9-316
    • /
    • 1998
  • 참복과 (Tetraodontidae) 어류의 외부형태 형질 가운데 후각기관, 옆줄, 피부극. 체형 및 체색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9년 9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우리나라 20개 지점에서 10속 27종의 표본을 채집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복과 어류 가운데 참복속(Takifugu), 밀복속(Lagocephalus), 은띠복속(Plurancanthus). 불룩복속(Spheoides) 및 대치복속 (Feroxodon) 어류의 콧구멍은 2개이며. 수지복속 (Ephippion)과 청복속 (Canthigaster) 어류는 1개이고, 반면에 별복속 (Boesemanichthys), 꺼끌복속(Arothron) 및 첼로복속 (Chelonodon) 어류는 없다. 2. 밀복속, 불룩복속, 별복속, 꺼끌복속 및 대치복속어류의 옆줄은 몸의 옆쪽에 단지 1열로 잘 발달되어 있으며, 참복속과 은띠복속 어류는 2열이고, 첼로복속과 수지복속 어류는 꼬리자루 부분에서 2열로 융합되어 있다. 3. 청복속 어류는 옆줄 및 후각기관의 형태가 참복과의 다른 속 어류와 많은 차이를 보여 구별되었다 4. 수지복(Ephippion guttifer)의 피부극은 비늘이 완전하게 변형되어 등쪽과 옆쪽의 것은 딱딱한 나무껍질 모양을 하며, 꼬리쪽의 것은 긴 막대기 모양으로 특이하였다. 5. 피부극을 가지고 있는 종은 22종으로 밀복속 어류와 참복속의 까칠복 (Takifugu stictonotus) 및 꺼끌복속(Arothron)의 꺼끌복 (A. Stellatus)의 피부극은 등쪽의 것보다 배쪽의 것이 크고, 첼로복 (Chelonodon patoca)과 청복 (Canthigaster tivulata)은 등쪽의 피부극의 뿌리가 3개이었다. 6. 밀복속 어류의 대부분은 피부극을 등쪽과 배쪽에 가지고 있으나, 민밀복 (L. inermis)은 몸 전체에 피부극이 없는 점에서 밀복 (L. lunaris), 은밀복 (L. wheeleri), 흑밀복 (L.gloveri) 및 은민밀복 (L. laevigatus)과 구별된다.

  • PDF

Bluegill의 난발생과 자치어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RAFINESQUE)

  • 김용억;박양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4-32
    • /
    • 1987
  • 1985년 8월 17일과 24일에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지내마을에 위치한 저수지에서 낚시에 의해 채포된 bluegill을 실험실내에 설치된 수조에서 사육하여 1968년 7월 13일, 8월 2일의 2차에 걸쳐 자연산란된 것을 재료로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를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란은 난경이 $1.18\~1.30mm$로서 무색투명하며, 거의 구형이고, 난막이 점착성이 강한 분리심성 점착난이다. 사육수온 $24.3\~24.5^{\circ}C$(평균 $24.7^{\circ}C$에서 수정후 40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3.75\~4.05mm$(평균 3.94mm)로서 난황뒷쪽에 직경 0.4mm의 큰 유구 1개가 존재하며, 색소포는 아직 출현하지 않고 입과 항문도 열려 있지 않다. 근절수는 $10\~11+19=29\~30$개이다. 부화후 3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4.5\~4.9mm$(평균 4.73mm)로서 입이 열리고, 흑색소포가 처음으로 난황상, 막지느러미와의 경계부, 복강등쪽, 소화관 뒤쪽에 출현한다. 부화후 10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6.05\~6.35mm$(평균 6.20mm)로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고, 곧창자의 연동이 활발하다. 부화후 45일째의 치어는 전장이 25.20mm로서 D.X, 12, A.III, 11, V. I, 5, P.$13\~14$, C.18로 모든 지느러미 줄기수가 정수에 달하며, 체측에 비늘도 형성된다.

  • PDF

서해 태안연안의 어류상 (Fish Fauna of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in the West Sea of Korea)

  • 임환철;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5-222
    • /
    • 2000
  • 충남 태안 연안의 어류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5월부터 1999년 7월 까지 총 13회의 채집을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은 어부들에게 의뢰하거나, 정치망, 낚시, 손그물을 이용하였다. 채집된 표본들은 Nelson(1994)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모두 14목 40과 63속 73종으로 확인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우세하게 출현한 분류군은 조사 지점 1에서 별망둑 (Chasmichthys gulosus)과 점망둑 (Chasmichthys dolihcognathus), 조사지점 2에서 조피불락 (Sebastes schlegeli)과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사지점 3 에 서 는 민어과 어류 (Sciaenidae), 참서대과 어류 (Cynoglossidae),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 참돔 (Pagrus major), 왜도라치 (Chirolophis wui),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등 주로 정착성 유영 어류와 저서어류들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본 조사해역은 계절에 따른 난류의 영향보다는 연안냉수의 영향을 주로 받기 때문에 난대성 어류가 적게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며, 채집된 어류 가운데 농어목 Perciformes이 16과 30속 35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전체 출현종의 47.9%를 점유하였다. 본 조사의 정점 1에서 채집된 둑중개과(Cottidae) 어류 2개체는 미기록종 Porocottus sp.로 기재하였으며, 제1등지느러미 와 제 2등지느러미가 연결되어있고, 측선위에 미세한 비늘이 있는점, 몸 앞부분의 측선 위에 촉수모양의 물기물이 있는 점으로 둑중개과 실횟대속 Porocottus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되었다.

  • PDF

스텔렛 철갑상어 (Acipenser ruthenus)의 난 발생과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terlet Sturgeon, Acipenser ruthenus (Pisces: Acipenseridae))

  • 박재민;윤성민;서영석;한경호;유동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9-185
    • /
    • 2016
  • 스텔렛 철갑상어 Acipenser ruthenus의 양식기술 개발 및 분류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조사하였다. 친어는 2005년 6월에 PVC 원형수조 (Ø 5 m) 수온 $16.0{\pm}1.0^{\circ}C$에서 성숙시킨 암수 1쌍을 사용하였다. 난은 타원형의 불투명한 침성 점착란으로 크기는 $3.83{\sim}3.85(3.84{\pm}0.01)mm$ (n=10)였다. 난 발생은 건식법으로 인공수정 시켰고, 수정 1시간 후에 배반이 형성, 수정 31시간 후에 낭배말기에 도달하였으며, 수정 82시간 (50%) 후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10.1{\sim}10.3(10.2{\pm}0.11)mm$ (n=10)로 복부에 큰 난황을 달고 있었다. 부화 17일 후에는 전장 $26.2{\sim}32.4(29.3{\pm}4.39)mm$ (n=10)로 등지느러미 앞쪽이 11개의 굳비늘이 흔적 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50일 후에는 전장 $86.4{\sim}93.1(89.8{\pm}4.71)mm$ (n=10)로 지느러미 기조가 모두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한국산 점농어(Lateolabrax maculatus) 자치어의 골격발달과 비늘형성 (Early Osteological Development and Squamation in the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es (Pisces: Lateolabracidae))

  • 강충배;명정구;김용억;김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1-282
    • /
    • 2012
  • Early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skull, vertebral column, and fins, and squamation in the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es, were studied under extensive larval rearing conditions. The first ossification during cephalic skeleton development began with the premaxillary, dentary, and parasphenoid at 6.4 mm Total length (Notochord length 6.1 mm) and was completed by 25.2 mm TL (Standard length 20.3 mm). Ossification of the cartilaginous caudal complex started simultaneously in the urostyle and two preural centra at 12.2 mm TL (10.4 mm) and it was completely ossified by 32.0 mm TL (26.4 mm). The principal caudal fin rays, with a count of 9/8, began to ossify at 11.6 mm TL (10.2 mm) and the procurrent caudal fin rays, with counts of 4 (upper) and 3 (lower), started to ossify by 12.6 mm TL (10.9 mm). Ossification of these parts was completed by 21.4 mm TL (17.5 mm). Ossification of the vertebral column was first observed in the first to fourth centra at 8.3 mm TL (7.5 mm) and was fully completed by 21.7-35.0 mm TL (17.8-29.3 mm). The pectoral girdle started to ossify by 5.6 mm TL (5.4 mm) and was completed by 26.8 mm TL (21.8 mm). Eight pectoral fin rays were ossified at 11.6 mm TL (10.2 mm) and 16-18 rays were fully ossified by 13.8 mm TL (12.0 mm). Also, the dorsal, anal, and pelvic fin rays started to ossify at 12.2 mm TL (10.4 mm) and were completed by 12.8 mm TL (11.2 mm), 23.8 mm TL (19.4 mm), and 13.8 mm TL (12.0 mm), respectively. Ossification of the anal and dorsal pterygiophores initially occurred by 12.6 mm TL (10.9 mm) and 14.3 mm TL (12.2 mm), and was completed by 21.4 mm TL (17.5 mm) and 19.3 mm TL (15.9 mm), respectively. Squamation started at three centers of differentiation: the middle region of the trunk, the anterior of the caudal peduncle, and on the caudal peduncle at 23.8 mm TL (19.4 mm). The body was covered with scales, except the snout, at 57.2-60.2 mm TL (SL 47.1-49.2 mm).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종간 자연잡종 출현 (Occurrence of a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pseudosericeus and R. notatus in Sangcheon Stream of the Han River, Korea)

  • 곽영호;김근용;김근식;송하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75-285
    • /
    • 2020
  •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2개체를 채집하였다. 자연잡종 개체의 체색은 황갈색으로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지만, 전반적으로 떡납줄갱이의 특징이 두드러졌다. 계수 및 계측형질에서 등지느러미 기조수, 뒷지느러미 기조수, 종렬비늘 수의 3가지 형질은 hybrid index (HI) 값이 0으로 나타나 떡납줄갱이의 형질을 따랐다. 체장에 대한 등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4.6), 뒷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5.3), 배지느러미 기점 거리 (HI =77.6)는 한강납줄개의 형질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파수(HI=55.3), 체장에 대한 체고(HI=67.9), 두장에 대한 문장(HI=43.4), 양안간격(HI=44.8)의 4가지 형질은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형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가지 형질은 0과 100 사이를 벗어나 잡종개체만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냈다. Recombination activating gene 1 (RAG1) 분석결과 잡종개체는 부모종의 유전자가 중복되어 나타나 자연잡종으로 판별되었으며, cytochrome b gene (COB)를 분석한 결과 한 개체는 한강납줄개를 모계로, 또 다른 한 개체는 떡납줄갱이가 모계로 나타났다.

미야타흡충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Metagonimus miyatai metacercariae and adults)

  • Jong-Yil CHAI;Younh-Je KANG;Sung-Yil CHOI;Sang-Mee GUK;Jae-Ran YU;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17-225
    • /
    • 1998
  • 미야타흡충 (Metagonimus miyatai)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자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피라미 (Zacco platypus)의 비늘에서 분리하였고, 성충은 흰쥐에 피낭유충을 감염시킨 후 1-4주에 소장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의 전체적인 외형은 요코가와흡충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복흡반은 충체 중앙으로부터 오른쪽에 위치하였다.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형 감각유두 및 제II형 감각유두가 여러 개 관찰되었다. 복흡반 앞쪽에는 끝이 5-7분지된 피극들이 빽빽하게 덮혀 있었으며, 충체 후반부의 배설공 부근에는 2-3분지된 피극으로 덮혀 있었다. 감염 1주된 성충의 경우,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I형 감각유두 7개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구흡반 내벽에는 큰 제I형 감각유두가 1쌍씩, 작은 제I형 감각유두가 2쌍씩 좌우측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피극의 분포는 피낭유충의 경우와 비슷하였으나, 분화도는 증가하여 9-11분지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감염 2-4주된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감염 1주된 성충과 대동소이하였으나, 정자가 충체 배측 표면으로 개구된 Laurer's canal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미야타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요코가와흡충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피극의 분포 및 분화도, 구흡반 주변의 감각유두 분포 등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분류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PDF

인상(鱗相)에 의한 아시아계 백연어, Oncorhynchus keta(Walbaum)의 계통판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CIAL CLASSIFICATION OF ASIAN CHUM, ONCORHYNCHUS KETA(WALBAUM) BASED ON SCALE CHARACTERISTICS)

  • 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97
    • /
    • 1974
  • 북태평양의 백연어에는 카나다, 아라스카, 소련 및 일본의 네 계통이 있고, 소련과 일본의 아시아계는 경도$180^{\circ}$ 이서 해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태평양의 서방 해역의 백연어의 계통을 추적한다는 것은 공해상에서 어획된 백연어의 형질 측정치에 대해서 그것이 소련과 일본의 두 모집단의 어느 쪽으로부터 얻어진 것인가를 판별하는 문제에 귀착된다. 이 때 각 개체에 대해 관찰된 각 형질을 두 모집단간에 개별 비교한 결과를 종합하여 계통을 판별하는 것보다는, 이들 다수의 형질의 일차변환에 의해 각 형질에 나타나는 공통의 변동양상을 적절히 나타내고, 한편 두 모집단간의 차를 가장 확실히 표현하는 새로운 변량을 구하며, 이 새 변량에 의해 백연어의 계통을 판정하는 방법이 보다 높은 신뢰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일본의 혹가이도와 소련의 캄차카반도의 일곱 하천으로부터 총 476개체의 백연어의 산란군(Fig.1, Table 1)으로부터 채집한 비늘의 첫 해의 연륜에 있어서 폭과 성장선 수의 두 형질을 측정하여, 선형판별함수를 구해, 이것이 북태평양 서방 해역에 분포하는 백 연어의 계통을 분리하는 데에 있어서 얼마나 유효한가를 조사했다. 정확한 판별 분석을 위해서 두 형질이 두 모집단간에 있어서 동일한 분산 및 공분산을 가진 다변량 정규분포를 하고 있는가를 검토하여 두 형질이 판별 분석에 적합함을 확인했다(Table 2,3 및 4). 구해진 선형판별함수 $Y=0.4803\;X_{1}+0.01156\;X_2$($X_1$은 성장선의 수, $X_2$는 폭)는 북태평양 서방 해역에 분포하는 백연어의 약 $80\%$를 일본계와 소련계로 정확히 분리했다(Fig. 2). 두 형질중 성장신의 수만으로써도 두 형질로부터 구한 선형판별함수에 의했을 때와 거의 동일한 확률로 계통을 분리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