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글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성견에 식립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임플란트에서 N-acetyl cysteine(NAC)의 탑재가 주위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The Effect of N-acetyl cysteine (NAC) loading on the bone formation surrounding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implants in the dog: A pilot study)

  • 서재민;김인주;배민수;이정진;안승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77-85
    • /
    • 2020
  • 목적: N-acetyl cysteine (NAC)를 탑재한 sandblasted and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임플란트를 성견에 식립한 후, 조직형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NAC가 SLA 임플란트 주위의 초기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NAC 탑재 여부에 따라 2개의 실험군으로 구성하였으며, SI 군은 NAC를 탑재하지 않은 SLA 임플란트로, NSI 군은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로 설정하였다. 4마리의 성체 비글 견에 두 실험군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각 군당 n = 8) 술 후 3주와 6주에 각각 2마리의 비글 견을 희생하여 식립된 임플란트 매식체와 주위 골 조직을 채취하였다.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조직형태학적 검사를 통해 골-임플란트 접촉률 및 골면적비율을 계산하였다. NAC 탑재 여부에 따른 각 실험군간 골-임플란트 접촉률과 골면적비율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α = .05). 결과: 3주차의 경우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가 일반 SLA 임플란트보다 약 1.5배 높은 골-임플란트 접촉률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51.79 vs 35.43%; P = .185). 골면적 비율에서는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가 일반 SLA 임플란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 값을 보였다(45.09 vs 37.57 %; P = .044). 6주차의 경우 골-임플란트 접촉률과 골면적 비율 모두에서 NAC를 탑재한 SLA 임플란트와 일반 SLA 임플란트가 비슷한 결과 값을 보였다(P > .05). 결론: 본 실험의 한계 내에서 NAC는 SLA 임플란트 주위의 초기 골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임플란트의 골유착기간을 단축시키고 하중 부담시기를 앞당기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비글개에서 발정 주기 및 교배 적기 동안 질세포상과 번식 호르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Vaginal Cytology and Reproductive Hormone during the Estrous Cycle and Optimal Mating Time in Beagle Dogs)

  • 이기창;강현구;천현미;김일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9-119
    • /
    • 2006
  • 비글개 6두에서 11회(임신견 7두, 비 임신견 4두)의 발정 주기 및 임신 기간 동안 질 상피 세포 검사 및 혈장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 농도를 측정하여 질 상피 세포상과 번식 호르몬의 관계를 조사하고 배란 및 교배 적기 판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신 예와 비 임신 예에 있어서 발정 전기, 발정기 및 발정 휴지기의 기간은 각각 $8.5{\pm}1.4(Mean{\pm}SD),\;10.0{\pm}1.4$$54.0{\pm}2.8$ 그리고 $7.9{\pm}2.1,\;9.5{\pm}0.7$$62.0{\pm}11.3$일이었다. 임선 예에 비해 비 임신견의 발정 휴지기가 길었으며, 발정 주기 사이의 간격은 임선 예가 $246.2{\pm}24.5$일, 비 임신 예은 $175.3{\pm}34.5$일을 나타내어 임신이 되었던 예가 임신이 되지 않았던 예보다 길었다. 발정 주기별 질 상피 세포상의 변화를 보면 발정 전기와 발정기에는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및 적혈구가, 발정 휴지기에는 parabasal cell, small intermediate cell, large intermediate cell 및 백혈구가, 그리고 무발정기에는 parabasal cell과 small intermediate cell이 주종을 이루었다. Cornification index(CI)는 발정 주기와 발정기에 유의하게 높았다. 발정 주기 중 혈장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의 농도 사이의 관계를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상승한 날을 기준(Day 0)으로 살펴보면,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발정 출혈 개시 일에 1.0 ng/ml 이하였으나 Day -2에 2.0 ng/ml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상승한 날은 최초 교배 허용 후 2일이었다. Day 20일 경에 임신 예 및 비임신 예 모두 40 ng/ml 이상으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Day 35 일까지 임신 예와 비 임신 예 사이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이후 임신 예가 비 임신 예에 비해 높게 유지된 기간이 걸었다. 혈장 estradiol-$17{\beta}$ 농도는 발정 출혈 개시 일에 9 pg/ml 이상을 나타냈으며 이후 급증하여 Day -2 에 26.4 pg/ml로 peak를 나타내었다. CI와 혈장 progesterone 및 estradiol-$17{\beta}$ 농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혈장 estradiol-$17{\beta}$ 농도는 최초 교배 허용 일(Day 0)에 peak를 나타냈고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Day 2에 4.0 ng/ml 이상으로 처음 상승하였다. CI 는 혈장 estradiol-$17{\beta}$ peak 이후 l일(Day 1)에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80% 및 90% 이상으로 증가한 날은 각각 Day -1 및 Day 1이었다. CI가 80% 및 90% 이상을 지속한 기간은 각각 Day -1에서 Day 8(10 일간 ) 및 Day 1에서 Day 6(6 일간)이었다. CI가 최고치를 나타낸 후 l일 (Day 2)에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처음 증가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비글개의 배란은 혈장 estradiol-$17{\beta}$ peak 이후 3일 및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처 음 상승한 날에 일어나며, 교배 적기는 CI가 90% 이상으로 증가한 후 2일 이후와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2{\sim}25\;ng/ml$인 시기로 생각된다.

개에서 Alfaxalone과 Remifentanil의 병용 지속주입 마취법 비교 평가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ith Alfaxalone and Remifentanil in Dogs Premedicated with Xylazine or Acepromazine)

  • 홍영옥;윤성호;이현;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28-434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xylazine 혹은 acepromazine으로 전마취된 비글 견에서 alfaxalone과 remifentanil의 병용 지속주입 마취법을 비교 평가 하였다. 10마리의 비글견을 각 5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었다. AAR군에서는 마취 유도 15분전에 acepromazine 0.02 mg/kg을 정맥 내 투여하였고 XAR 군에서는 마취 유도 5분 전에 xylazine 1.1 mg/kg을 정맥 내 투여하였다. Alfaxalone 2 mg/kg을 정맥 투여하여 마취를 유도하였으며, 6 mg/kg/hr의 alfaxalone과 0.05 ${\mu}g/kg/min$ remifentanil을 각각 정맥 내 지속주입하여 마취를 유지하였다. Bispectral index (BIS)는 마취 후 모든 시점에서 마취전과 비교해 감소하였으며 마취 중 급격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마취기 동안의 BIS와 근전도 값은 XAR군이 AAR군에 비해 확연히 감소되었다. Xylazine 혹은 acepromazine으로 전처치한 개에서 alfaxalone 과 remifentanil의 병용 지속주입 마취법은 적절한 진통작용을 나타내었다. XAR군에서는 호흡계 기능 저하가 있었고 AAR군에서는 빈맥이 유발되어 마취법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나 임상에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비글(Beagle)종 개 정액의 성상 및 보존성 (The Semen Property and Preservation in Beagle Dogs)

  • 박병권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1호
    • /
    • pp.25-28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pH, sperm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f the semen collected from Beagle dogs (age $24{\sim}48$ months, weight $10{\sim}15\;kg$) by using the method of digital manipulation of the penis, and the effect of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motility of fresh semen. Multiple ejaculates were collected from 4 male Beagles. The average volume, pH,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f the second fraction (contained with small volume of the third fraction) per ejaculation were $2.94{\pm}0.24(SD)\;ml$, $6.43{\pm}0.42(SD)$, $97.04{\pm}3.50(SD)%$ and $1.67{\pm}0.23(SD){\times}10^8\;cells/ml$, respectively. Average semen volume per ejaculate, semen pH, sperm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f the first fraction from the ejaculate were $1.24{\pm}0.20(SD)\;ml$, $6.03{\pm}0.26(SD)$, $1l.30{\pm}4.02(SD)%$ and $7.25{\pm}1.02(SD){\times}10^5\;cells/ml$. Those of second fraction were $2.52{\pm}0.32(SD)\;ml$, $6.32{\pm}0.31(SD)$, $96.25{\pm}3.52(SD)%$ and $2.35{\pm}0.35(SD){\times}10^8\;cells/ml$. Those of third fraction were $2.71{\pm}0.27\;(SD)\;ml$, $6.52{\pm}0.20(SD)$, $95.65{\pm}2.78(SD)%$ and $5.72{\pm}0.29(SD){\times}10^7\;cells/ml$. Motility of semen was higher at $17^{\circ}C$ preservation temperature than $5^{\circ}C$ or $36^{\circ}C$ during preservation period. When preservation temperature was $17^{\circ}C$, motility was $96.54{\pm}2.05(SD)%$ at 1 h, $90.20{\pm}3.90(SD)%$ at 6 h, $89.05{\pm}2.01(SD)%$ at 12 h, $78.21{\pm}3.50(SD)%$ at 18 h, $45.24{\pm}6.25\;(SD)%$ at 24 h and $30.75{\pm}17.24(SD)%$ at 30 h, respectively.

Weissella cibaria CMU 경구투여가 비글의 구취 저하에 미치는 효과 (Oral malodor-reducing effects by oral feeding of Weissella cibaria CMU in Beagle dogs)

  • 도경효;박호은;강미선;김종태;여지은;이완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7-94
    • /
    • 2018
  •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Weissella cibaria (W. cibaria) CMU on oral health in male and female beagles (n = 18) by measuring oral malodor and periodontal disease-related parameters (calculus, plaque, and gingivitis indices). Oral malodor and indicators of periodontal disease were assessed in five treatment groups: negative control (scaling and 0.24 mg of maltodextrin, n = 3), positive control (0.24 mg of maltodextrin, n = 3), and W. cibaria CMU groups (each n = 4) at low (CMU-L, $2{\times}10^7$ colony forming unit [CFU]), medium (CMU-M, $2{\times}10^8CFU$), and high (CMU-H, $2{\times}10^9CFU$) concentrations. After feeding with W. cibaria CMU for 6 weeks, total volatile sulfur compound concentrations in the CMU-L ($2.0{\pm}1.04ng/10mL$), CMU-M ($2.4{\pm}1.05ng/10mL$), and CMU-H ($2.6{\pm}1.33ng/10m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3.2{\pm}1.65ng/10mL$). Also, CMU-L ($1.4{\pm}0.83ng/10mL$) and CMU-H ($1.9{\pm}1.14ng/10mL$) groups had methyl mercaptan levels lower than that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2.4{\pm}1.21ng/10mL$) at week 2. The plaque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MU-H group ($4.5{\pm}0.28$) than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5.9{\pm}1.08$) at week 6. W. cibaria CMU could be useful as a novel oral hygiene probiotics for reducing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duction and inhibiting plaque growth in companion animals.

재식전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 의 적용이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적, 3차원영상 분석 (THE EFFECT OF EMDOGAIN. APPLICATION IN REPLANTED BEAGLE'S ANTERIOR TEETH : 3- DIMENSIONAL AND HISTOLOGIC ANALYSIS)

  • 엄찬용;최영철;박재홍;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07-618
    • /
    • 2008
  • 완전탈구된 치아의 구강외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재식치의 치주조직의 치유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10-13 kg의 비글 3마리의 상하악 12개의 전치를 발거하여 재식하였다. 구강외 건조시간은 15(I 군), 30(II 군) 및 60분(III 군)으로 분류한 후, 각 군은 Emdogain$^{(R)}$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을 두었다.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치주조직치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치과용 cone beam CT를 이용한 3차원적 영상과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재식 후 염증성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P<0.001). 2. Emdogain$^{(R)}$의 적용은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 군과 III 군에서 Emdogain$^{(R)}$ 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염증성 흡수의 감소가 나타났으나(P<0.01), II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치근의 흡수는 치근단 1/3 부위(절편 16, 15, 14순으로)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P<0.05, 0.001), 또한 치경부 1/3 부위(P<0.05)에서도 현저히 나타났다. 4. 치아의 장축에 직각인 절단면에서 관찰된 흡수는 주로 협설측 부위에 주로 발생하였다(P>0.01).

  • PDF

랫드와 비글에서 GC-100X 세정제의 독성에 대한 연구 (Toxicity study of GC-100X in rats and beagles)

  • 강경선;조성대;안남식;정지원;양세란;박준석;박기수;홍인선;서민수;조은혜;;이영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9-40
    • /
    • 2004
  • Because cleaning products are part of our everyday lives, it is essential that they should not present significant risks to health. However, many petrochemicals in most soaps and detergents can be absorbed through the scalp and skin and, over time, accumulate in the organs and tissues. This accumulation may result in brain, nerve, and liver damage. Therefore, it is interested in developing non-harmful detergent. According to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GC-100X may be non-harmful and non-corrosive alkaline ionic water (pH 12). It is composed of hydroxyl radicals and supplemented with xylitol. To evaluate influence of GC-100X on rats and beagles, GC-100X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25%, 50%, and 100% solution respectively). Each of diluted GC-100X was daily treated per oral. In body weight analysis, urinary analysis, ophthalmological test and autopsy,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ce, but in serum biochemical analysis and hematological analysis, we found some significances in middle dos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significances in serum biochemical analysis and hematological analysis may be not induced by GC-100X, because 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from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us, it is concluded that NOEL(No Observed Effect Level) of GC-100X may be higher than all treatment doses used in this study, and GC-100X may be a non-toxic detergent.

개에서 실험적으로 복수를 유발한 후, 컴퓨터 촬영술과 필름 촬영술을 이용한 복수량의 정량적 비교 (Quantitative Comparison of Computed Radiography and Film Radiography in Detection of Peritoneal Effusion in Dogs)

  • 김주형;김태훈;장진화;장동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4-28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에서 실험적으로 복수를 유발한 후, 컴퓨터 촬영술과 필름 촬영술을 실시하여 복수의 정량적인 비교를 한 것이다. 건강한 4 마리의 비글견과 1 마리의 말티즈 견을 사용하였으며, 각 개체마다 무균적으로 복강 내로 멸균 생리 식염수를 6 ml, 8 ml, 12 ml, 15 ml, 그리고 18 ml 을 주입하였으며, 우외측상과 복배상으로 컴퓨터 촬영과 필름 촬영을 실시하였다. 총 5명의 평가자에게 복수량에 따른 컴퓨터 촬영 사진과 필름 촬영 사진을 보였주었으며, 각 사진마다 복수량에 따라 5 가지의 점수를 순차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0 =복수 없음, 5 =중등도의 복수가 있음). 5명의 평가자가 평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ROC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두 진단 모델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복수의 양을 평가하는데 있어 두 진단 모델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RCO 분석 방법을 통해, 컴퓨터 촬영술이 필름 촬영술에 비해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각 평가자 간에도 복수의 양을 평가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컴퓨터 촬영술이 우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에서 Histamine으로 유발한 피부소양증에 대한 보툴리늄 톡신의 항소양 효과 (Anti-pruritic Effect of Botulinum Toxin Type A against Histamine-induced Pruritus on Canine Skin)

  • 정병한;김태완;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3-279
    • /
    • 2011
  • 보툴리늄 톡신(BoNT/A)은 사람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주름치료제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름치료효과 이외의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 피부에 히스타민을 피하 주입하여 소양증을 유발한 다음 보툴리늄 톡신의 항소양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5 마리의 비글을 이용하여 우측 배측 흉부 피부에 보툴리늄 톡신 0.05 ml (5unit)를 주입한 처치부위와 좌측 배측 흉부 피부에 0.05 ml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대조부위를 비교하였다. 보툴리늄 톡신 투여 전, 투여 후 1, 3, 7일에 Histamine 을 피내주입하여 소양증을 유발하였다. 소양증의 정도, 팽진의 지름과 두께, 홍반수치 및 피부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보툴리늄 톡신 주입 효과를 평가하였다. 소양증의 정도는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팽진의 지름과 두께도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p < 0.05). 홍반수치는 최초 히스타민을 피내투여한 직후에 처치부위와 대조부위에서 모두 증가했으나 대조부위에 비해서 처치부위에서 적게 증가하였다. 피부표면온도는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본 연구결과 보툴리늄 톡신은 개 피부에서 히스타민에 의한 소양증에 대한 항소양 효과를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극심한 국소 소양증을 보이는 피부질환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의 안검에 존재하는 내검판선 및 외검판선에서 발생한 선암종 (Adenocarcinoma of Meibomian Glands and Moll Glands in the Eyelid of Canine)

  • 위엔동웨이;구문정;양해걸;홍일화;기미란;박진규;이혜림;유성은;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4-417
    • /
    • 2008
  • 본 증례는 4년령의 암컷 비글종에서 발생한 것으로 점진적인 안구돌출증을 비롯하여 왼쪽 하안구 부속기에 발생한 직경 1.4 cm 의 종양을 가지고 있었다. 종양의 병리조직학적 검경에서 증생된 종양 세포들이 소엽 및 섬유성 격벽으로 구분되는 관통상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었다. 잘 분화된 피지선은 다양한 크기의 소엽을 형성하고 있으며 비만세포 및 단핵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관강 내에는 이러한 관성구조의 정점부위에서 탈락되어 나온 호염성 불질이 관찰되었으며 일부 관성구조는 경도의 화생을 나타내고 있었다. 조직면역염색에서 세포집단은 ${\alpha}-SMA$와 vimentin에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원발성 종양은 안검에서 발생한 내검판선 및 외검판선 유래의 선암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침윤되고 있는 안구내 종양은 악성 혼합종으로 진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