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건 뷰티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비건 뷰티와 뷰티산업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gan beauty and the beauty industry)

  • 황제이;김금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5-49
    • /
    • 2021
  • 최근 환경오염과 동물실험에 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소비의 큰 축을 형성하며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는 비건 뷰티에 관해 알아보고 뷰티산업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비건 뷰티에 관한 인식, 특성 및 실태와 보완점을 중심으로 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한 결과 비건 뷰티에 관한 인식은 전체의 31.3%로 매우 낮았으나 특성은 단점(3.04)보다 장점(3.08)이 높게 나타났고 실태는 향후 구매의사가 81.7%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망 또한 87.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아직은 비건 뷰티가 대중화.보편화 되지 않았으나 보완점으로 요구된 가격절충, 제품의 보편화 및 다양성, 성능개선 등을 개선한 비건 뷰티는 미래뷰티산업 발전에 긍정적 전망을 제시하리라 사료된다.

코퍼스를 활용한 한국 사회 10년 비건 패션, 뷰티 변화 분석 (Ten-Year Change in Vegan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in Korean Society -A Corpus Analysis-)

  • 강소미;장하연;장주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25-645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newspaper articles from 2012 to the first quarter of 2021 to explore how interest in and response to veganism have evolved in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over the past decade. By analyzing keywords and word correlations, we discovered a steady increase in veganism-related articles in both English- and Korean-language newspapers published in Korea, especially since 2019. Since 2012, consumer interest in vegan fashion materials has grown, with fashion and beauty emerging in 2018 as significant vegan-related keywords. As a result, brands have adopted vegan certification systems and introduced vegan product lines, and new vegan brands have emerged. Since 2020, companies have been promotin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management practices and working toward eco-management that reflects vegan trends in all areas, such as cruelty-free product/packaging materials, brands, policies, and services. It is also notable that fashion/beauty consumers have been more actively starting to adopt eco-friendly lifestyles and participate in vegan-related movements since that time. Our findings offer important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veganism in Korea and can help researchers and industry practitioners to develop future business strategies in the vegan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비건(Vegan)인증 화장품 원료 7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 연구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Extract from the Mixture of 7 Different Vegan Cosmetic Ingredients)

  • 최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건 인증(Vegan) 화장품 원료 7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DPPH 실험에서는 105.74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85.31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7종 혼합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198.01±5.50 ㎍의 환원력을 보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30.19±0.75 mg/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12±0.36 mg/g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독성과 미백활성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20% 이하의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100 ㎍/mL 농도에서 34.70±2.97%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여 7종 혼합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클린뷰티 화장품에 나타난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Study of Integrated Brand Communication in Clean Beauty Cosmetics)

  • 이영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1-169
    • /
    • 2021
  • 코로나 시대 마스크 착용으로 유해 성분을 배제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클린뷰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국내 온·오프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클린뷰티 브랜드 36개를 추출하고 전문가 분석을 통해 적합한 브랜드 20개를 선정하였다.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분석을 위해 구성요소를 네이밍, 로고, 색채, 패키지, 웹사이트로 도출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네이밍은 자연, 건강 등을 연상하면 떠오르는 단어, 로고는 심플한 형태의 워드마크, 색채는 녹색이나 노란색계열, 패키지는 용기바디에 가운데 맞춤으로 구성된 심플한 형태, 웹사이트는 식물과 동물, 사람의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종합해 볼 때 자연, 깨끗한, 가벼운 이미지 등을 조화롭게 활용한 것이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를 선호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할랄 인증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트위터 텍스트 분석 (Consumer Perception of Halal Cosmetics : Insights from Twitter Text Mining)

  • 최영현;이규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1-494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perceptions and consumer responses of Halal cosmetics and compared them with vegan cosmetics, which is a term similarly used. Twitter API of Python 3.7 was used to collect the keywords '#halalcosmetics' and '#vegancosmetics'. First, the main perception of consumers on Halal cosmetics focused on the original concept, image, expected efficacy, and factors to consider before purchase, religious keywords, labels and packaging for Halal cosmetics. Second, the main consumer perception of vegan cosmetics was the product concept, expected efficacy, factors to consider before purchase, related vegan industry, image, and vegan cosmetic components. Third, the consumer perceptions of Halal cosmetics and vegan cosmetics were similar in multiple ways, and both concepts included the Cruelty-free concept. Fourth, consumer satisfaction factors included cosmetics color, brand's consumer service, efficacy, smell, packaging design, reasonable price, effects, and formulation of cosmetics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Halal certification, and satisfaction of Vegan consumers. Consumer dissatisfaction factors included smell, flavor, delay in shipping, dissatisfaction with formulation, discrepancy between actual color and computer screen, concern and distrust about the use of prohibited ingredients for Halal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perceptions and reactions to Halal and vegan cosmetics to create basic knowledge for niche markets that are emerging as an ethical beauty consumption tr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