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포지셔닝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5초

파스퇴르의 브랜드 스토리텔링 캠페인 (Pasteur Brand Storytelling Campaign)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42-149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유가공(乳加功) 기업인 파스퇴르의 유산균 발효유 '쾌변 요구르트'에 대한 스토리텔링 캠페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파스퇴르의 스토리텔링 캠페인은 브랜딩과 포지셔닝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브랜딩과 포지셔닝은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전략을 수립하는 브랜드 스튜어드쉽 모델(Brand Stewardship Model;BSM)을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BSM 분석결과, '쾌변 요구르트'라는 브랜드 네임이 탄생되었는데 그 배경은 후발주자로써 단기간 동안 소비자 이익을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제품의 핵심가치인 '쾌변'을 브랜드화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파스퇴르는 '쾌변'이라는 신제품의 브랜드명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 짧은 기간 동안 브랜드 인지도를 확산시키기 위한 포지셔닝을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쾌변 요구르트'의 포지셔닝은 '안 나오면 쳐들어 간다'이다. 그 근거는, 소비자에게 익숙한 멜로디를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배변에 좋은 '쾌변'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것이다. 특히, 캠페인 초기 티저광고 형태로 집행된 '안 나오면 쳐들어 간다'는 신제품을 포지셔닝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즉, 파스퇴르 사례는 브랜딩과 포지셔닝 간의 전략적 조합이 스토리텔링 캠페인에서 얼마나 중요한가를 증명했다는 의미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한우 브랜드의 포지셔닝 분석 (Positioning Analysis for Branding in Hanwoo)

  • 김윤호;이나라;이상영;황성원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81-1216
    • /
    • 2013
  • 본 연구는 한우 브랜드에 대한 자산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차별화된 이미지를 포지션 시킬 수 있는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ward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시장을 3개로 분류하였다. A시장은 고학력, 고소득의 청장년층, B시장은 고학력 고소득의 중장년 계층, C시장은 저소득의 중 장년 소득계층으로 구분 되었다. 둘째 쇠고기 소비자들이 쇠고기 브랜드에 대해 느끼는 제품의 기능적, 정서적, 자아 표현적 편익 등의 지각 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포지셔닝 맵을 분석하였다(MDS). 그리고 브랜드 별 포지셔닝 맵과 속성벡터 맵을 연계하여 각 브랜드의 상대적인 위치와 세분시장의 경쟁구조를 분석하고 브랜드별 포지셔닝 전략을 도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횡성한우는 3개 시장 전체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A시장에서 고품격의 명품 가격 이미지,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에서 소비자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A시장을 목표시장으로 선정하였으며, 향후 경영개선을 위해서는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제고 활동이 필요 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점포개성 척도를 이용한 커피전문점 브랜드 이미지 포지셔닝 (A Study on Coffee Shop Brands Image Positioning by Store Personality Scale)

  • 이동한;이창주;이형근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4권1호
    • /
    • pp.25-53
    • /
    • 2013
  • 국내 커피전문점 시장은 지난 1999년 스타벅스가 매장을 개설한 시점으로부터 10여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양적으로도 급격한 성장을 지속하여 왔다. 최근에는 각 커피전문점 브랜드별로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맛이나 서비스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등 성숙기 시장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경쟁이 매우 치열해지는 성숙기 시장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차별화와 가격 프리미엄의 확보를 위해서는 차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숙기에 진입한 국내 커피전문점 시장의 주요 5개 브랜드에 대해 점포개성 척도를 사용하여 현재의 포지셔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국내 중소기업 전문브랜드와 외국 전문브랜드로 나누거나, 매장의 규모가 큰 매장이 다수인 브랜드와 소규모 매장이 많은 브랜드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소비자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브랜드의 점포개성은 신뢰, 세련, 매력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된 각 커피전문점의 점포개성 이미지 강약점을 토대로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포지셔닝 분석을 통한 국내 커피전문기업의 중국 베이징 지역 내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A Study on Competitiveness Improvement Strategies of Korean Coffee Franchisers in Beijing, China through a Positioning Analysis)

  • 곽영초;김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7-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중국 소비자들이 커피전문점을 이용할 때 고려하는 중요 선택속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커피 브랜드의 유사성과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각 커피전문점의 상대적인 위치를 포지셔닝 맵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우리나라 커피전문 브랜드들이 중국 커피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타 브랜드들과 차별화되는 선택속성을 강조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유효표본 268부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ALSCAL,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피전문점 선택속성 중 분위기가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로 청결 및 위생상태, 위치 및 교통의 편리성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원의 친절한 서비스, 커피의 맛, 가격과 메뉴의 다양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는 8개의 선택속성 중 가장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지셔닝 맵 분석결과, 만커피는 분위기, 청결 및 위생상태, 위치 및 교통의 편리성, 브랜드에서 가장 높은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우리나라 커피전문점들이 중국 베이징 커피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포지셔닝 향상을 위한 동일성과 차별성의 조화 (Balance between Point of Parity and Point of Difference for Positioning Improving)

  • 조혁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66-168
    • /
    • 2012
  • 브랜딩(branding) 또는 브랜드 마케팅이란 브랜드를 타사의 것과 차별화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포지셔닝(Positioning)의 두 가지 축은 동일성(Point of parity)과 차별성(Point of difference)이다. 동일성에 대한 연상을 소비자에게 심어주고 그 바탕위에서 차별성을 심어주어야 하는 것이다. 차별화와 동일성 양자는 모두 중요하며, 이것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 PDF

후발 건설업체의 브랜드 마케팅 전략 (A Marketing Strategy of the Apartment Brand for the Newly Jointed Apartment Construction Company)

  • 양수영;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543-548
    • /
    • 2002
  • 아파트 브랜드는 분양율과 분양이익뿐 아니라, 향후 부동산가치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아파트 경쟁력 제고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아파트 브랜드 시장은 몇몇 대기업이 강력한 인지도로 기선점하고 있어, 후발 건설업체의 시장 진입이 어려우며, 또 이미 진출한 건설업체도 대부분 소비자들에게 인식되지 못해 브랜드 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타산업 및 선발 건설업체의 사례 분석을 통해, 후발 건설 업체들의 아파트 브랜드 시장 진출을 위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으로 표적시장 및 포지셔닝 전략, 브랜드 네이밍 전략, 홍보 전략, 차별화 아이템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IT 거버넌스시스템의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스핀오프벤처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Brand Positioning of IT Governance System -Focused on Case study of Spin-off Venture-)

  • 천명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10-119
    • /
    • 2007
  • 최근 기업의 사업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거래 및 협력관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해관계자와의 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 관리와 기업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보안 등 정보기술의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에 따라 IT 거버넌스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IT 거버넌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간의 경쟁 또한 심화되고 있다. 특히 IT를 기반으로 한 벤처기업의 시장진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브랜드 관리를 포함한 마케팅 능력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스핀오프 벤처기업의 브랜드 명과 포지셔닝을 IT 거버넌스 솔루션을 개발한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하면 첫째, IT 벤처기업은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하는데 기업의 역량을 집중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에게 호감가고 독특하며 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놓으면 경쟁 제품의 공격으로 인한 범용품화의 위험을 극복할 수 있다. 둘째, 브랜드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의 기능적인 가치 이상을 창출하고 이를 전달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즉 하이테크 기업도 소비자의 기능적 욕구에만 머물지 말고 고객의 감성적, 상징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PDF

기아자동차 K5의 포지셔닝 성공사례 - 변화하는 시장을 이해하고 주도하다 - (Successful Positioning Strategy of KIA K5 - by understanding market needs -)

  • 서지영;이두희;이종호;전기흥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65-274
    • /
    • 2011
  • 본 사례는 중형차 시장의 선도 브랜드인 기아자동차 K5가 어떻게 중형차 시장에 성공적으로 포지셔닝 하였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기아자동차가 K5를 출시하기 전까지 쏘나타와 SM5는 각 브랜드를 선호하는 고객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중형차 시장에서 1, 2위를 다투면서 오랫동안 소비자의 사랑을 독차지해 왔다. 경쟁사들이 지속적으로 새 브랜드나 신 모델을 출시함에 따라 쏘나타와 SM5도 새로운 버전의 차를 출시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게 된다. 하지만, 시장의 새로운 트랜드를 따라 잡기위해 출시된 YF 쏘나타는 기존 디자인에 비해 너무나 달라 이질감을 느끼게 하였으며, New SM5는 달라진 것이 거의 없는 구형차 라는 이미지로 받아들여졌다. 두 브랜드가 고객들을 제대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을 때, 기아자동차 K5는 중형차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기회를 포착하고 중형차 시장에서 현재 제공되는 가치와 소비자들이 원하는 가치의 차이를 채워줌으로써 준중형 고객의 업그레이드 수요와 중형차 대체 수요를 만족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K5는 고객들이 원하는 가치를 찾고 그 가치를 성공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사례는 포화상태에 있는 자동차 산업에서 성공적인 포지셔닝 전략을 통해 신 시장을 개척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기아자동차 K5의 성공적인 포지셔닝 전략을 크게 디자인 혁신, 시장분석, STP, 그리고 출시전략의 4가지 축으로 설명하고 있다. 기아자동차 K5의 성공적인 포지셔닝 전략은 신 시장 개척을 위한 포지셔닝 전략을 계획하고 있는 많은 기업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