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유형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8초

명품브랜드 선호도 유형에 따른 위조브랜드 품질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rged Bran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ypes of Preference of Luxury Brands)

  • 손종원;장석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7-353
    • /
    • 2013
  • Purpose: As there are more cases of forged brands, change of awareness is urgently required at the governmental, corporate and consumer leve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ositively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orged bran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s perceived by consumers based on types of preference of luxury brand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derived a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forged brand quality, preference of typified luxury brands, and purchase intentions. SPSS 20.0 was applied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a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basic data and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through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nly utilitarian quality positively (+) affected non-intrinsic preference while its impact on intrinsic preference was negative (-). On the other hand, hedonic quality was significantly positive (+) but the impact was not significant.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qualiti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s on the intentions to purchase forged brands with the impact of hedonic quality relatively higher. Conclusion: These results clarified that the overall consumption of Korean consumers had not entered its maturity, yet. Also, Korean consumers regard forged brands as alternatives to luxury brands mostly because of hedonic quality. As hedonic quality is added, Kore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became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measures to be taken for the country to develop into an advanced country in the luxury market which is becoming more global and overcome the barrier of its old trend in imitation at the four levels of manufacturers, distributors, government, and consumers.

소비자 자기관, 의류 브랜드의 가격과 가격할인 판매촉진유형이 여성복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Construal, Prices of Apparel Brand, and Price Discount Sales Promotion Type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조규빈;황선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5호
    • /
    • pp.16-29
    • /
    • 2016
  •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s of types of consumer's self-construal, prices of brands, and types of discount-based sales promo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this study, a three-way mixed factor method was applied based on a formula, types of consumer's self-construal x prices of brands x types of discount-based sales promotion. The subjects were 218 females in their 20s to 30s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areas. For data analysis, three-way variate analysis, analysis of simple interactions and analysis of simple main impacts were conducted through use of the SPSS program. First, based on the impacts of types of consumer's self-construal, prices of brands, and types of discount-based sales promotions in the favor of consum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er and lower-priced brands. Second, comprehensive discounts rather than monopolistic discounts corresponded to higher favoring by consumers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s for monopolistic discount, lower-priced products corresponded to higher favor than higher-priced on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Fourth, comprehensive discount, rather than monopolistic discount, corresponded to higher purchase intention regardless of prices of brands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중국 10대 월병 포장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Consumer Preference of Top Ten Mooncake Packaging Design in China)

  • 한지에펑;서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0-129
    • /
    • 2019
  • 월병은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 특히 중국 중추절의 중요한 전통 음식이다. 중국의 디자인이 발전하면서, 월병 포장 디자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CNPP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 말, 86.17%의 사람들이 월병을 구매한 이유는 포장 디자인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월병의 포장 디자인을 중심으로, 월병 포장 디자인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선호를 분석하고, 월병 포장 디자인에 대해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NPP의 시장 보고서에 따른 중국 10대 인기 월병 브랜드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브랜드 로고, 색채, 형태, 재질이라는 4가지 포장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선호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라, 월병 포장 디자인 4개 요소 중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 유형을 분석해, 중국 월병 포장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했다. 본 논문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이는 월병 포장 디자인의 기초 자료가 되어, 앞으로 구체적인 포장 디자인 방안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 중국 10대 재스민 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ference Degree of Jasmine Tea Package Design in China: Focused on China's Top 10 Jasmine Tea Brands)

  • 티엔쥔;서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04-31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국내 판매되고 있는 재스민 차의 10대 브랜드 "장이위엔"(張一元), "우위타이"(吳裕泰), "이푸탕"(藝福堂), "수밍룬"(蜀茗潤), "티엔푸밍 차"(天福茗茶), "춘룬"(春倫), "징화"(京華), "비탄피야 오쉐"(碧潭飄雪), "샤오관차"(小罐茶), "중차"(中茶)를 중심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4가지 요소(로고, 칼라, 레이아웃, 형태)를 요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선호도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은 로고는 "샤오관차"이고, 총 6가지 칼라에서 가장 소비자의 인기를 얻은 칼라는 회색 계열이다. 재스민 차 패키지의 레이아웃 디자인의 8가지 레이아웃에서 가장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은 레이아웃은 유형2(세로 포장, 2통)이고 가장 큰 인기를 얻은 패키지 형태는 형태2(장방형)이다. 끝으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각 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광고에서 프레즌슨(Presence)과 플로우(Flow)에 대한 영향 연구 : 기억정보와 광고태도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Presence and Flow in VR Advertising: Focused Memory Information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한광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78-285
    • /
    • 2022
  • 본 연구는 VR 광고에서 현준감과 플로우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기억정보의 유형인 속성 관련 기억정보와 종합적인 평가적 기억정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실험은 3X2 피험자간 요인설계로 진행되었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VR영상으로 진행되었고 143명의 피험자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감정적 현존감이 가장 높을 때 광고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또한 인지적 현존감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은 플로우가 높을 때 제품 속성 정보 등의 ARM이 증가하였고 플로우 수준이 낮을 때는 GRM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우가 높을 때는 GRM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플로우가 낮을 때는 ARM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가상현실 광고는 기존의 광고로 브랜드 현존하는 브랜도여서 사전태도가 연구 결과의 가외 변인으로 작용되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가상의 브랜드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패션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적 유형 분석 - 한국 계정 어플리케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Types of Fashion Brand Application - Concentrating on Korean Application cases -)

  • 박민아;고현진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136-151
    • /
    • 2014
  •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ypes of fashion brand application focusing on accounts created in Korea. While referring to 'Chanel' which has developed a fashion brand app for the first time in August of 2008, not only for App store by Apple Inc. of the greatest market share but also for Android market, the one and only competitor of App store, the study examined cases of fashion brand app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which have been in service till August of 2013 since the year of 2008.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and a case review, categorizing the app by their distinctive functions which were Basic Information, SNS, AR, LBS, Entertainment, Mobile Shopping and Live Streaming. As for the first function, Basic Information, it was conside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 brand such as prices, sizes and colors of products which sh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unction of a fashion brand. The function would include look book, catalogues, photographs and others of products, helping users of the app with their understanding on images and concepts of the brand. Second, SNS function was considered useful for its mobility and communication and with the help of theirs, the users share fash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ird, AR function as in a filed of virtual reality would edit virtual objects to look real in an actual environment. This would eventually offer the users a chance to try for clothes virtually. The fourth function, LBS, would work with GPS to find a store closest from a present location. This would be a help when the users try to find stores holding promotion events or trails while hiking in mountains. The fifth Entertainment function would include all sorts of games and chances for the users to listen to music and keep fashion diaries. The sixth function, Mobile Shopping, would help the users purchase items online via the app as they would not visit a store in person. The seventh function, Live Streaming, would give the users chances to actually see fashion collections in real time, held all over the world in every season. Because of this function, not only fashion experts but also regular people have become able to enjoy the fashion show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discussed in the study will be a useful reference when any relevant fields try to design other new fashion brand application.

전형성과 온라인 쇼핑몰 -결정요인과 쇼핑몰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Typicality of On-line Shopping Malls)

  • 차태훈;채승원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1권
    • /
    • pp.1-19
    • /
    • 2003
  • 전형성(typicality)이란 하나의 제품이 하나의 범주를 대표하는데 적절하다고 인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형성은 브랜드 선호도, 인지도, 최초상기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기존의 전형성에 관한 연구들은 제품이나 브랜드 혹은 오프라인상의 점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제 인터넷쇼핑몰 산업이 성숙기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대부분의 인터넷이용자들은 인터넷쇼핑몰에대해 익숙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에 대한 연구는 시의적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전형성의 결정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노출빈도와 속성구조 접근법을 중심으로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인터넷쇼핑몰을 순수온라인 인터넷쇼핑몰과 오프라인 기반 인터넷쇼핑몰로 분류하여 이러한 차이가 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나아가서 전형성이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출빈도와 속성태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쇼굉몰의 유형에 따른 차이가 속성태도와 전형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전형성과 선호도, 구매의도와의 관계도 예상대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식품의 안전성요인이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 검정 (Differenciation Test on Food Safety Factor′s for Purchasing Rice)

  • 이순석;오상헌;이상용;박주섭;김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2-125
    • /
    • 2004
  • 본 논문은 브랜드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actor)들이 소비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1,00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부들이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11개 항목을 5점 리커르트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쌀의 잔류 농약 정도로서 4.12점이 나왔고, 영양가 높은 쌀(4.01점), 쌀알의 모양(3.96점) 및 쌀의 생산지(3.88접)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위해 고유치(eigen value) 값이 0.8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요인 수를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 특징은 유형적 차원과 무형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전자인 유형적 차원은 건강성 요인(잔류농약, 도정일자, 완전미 여부), 지역성(생산지), 외관성(크기, 모양) 및 가격성 등의 가시적 차원으로 소비자가 쉽게 판단하거나 쌀간의 비교가 용이한 특성이며, 후자는 심리적 속성이나 상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브랜드 상표와 품질 인증 마크가 가지는 신뢰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형적 차원인 식품의 안전성이 도시 주부 간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규성 검정 결과에 따라 독립 2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도시주부가 특성별로 두 집단으로 구분되는 기준은 자의적 분류보다는 공통적인 기준을 이용하고자 평균값(나이, 학력, 소득, 동거가족 수)을 기준으로, 그 외의 경우는 더미변수(주부직업 유무, 주거형태 및 거주지역)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식품의 안전성으로 추출된 요인 값의 평균에 대해 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주거형태가 1% 유의 수준에서, 주부취업 여부 및 거주지역이 각각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주부간의 나이, 학력, 소득수준 및 동거가족 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추정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식품의 안전성 요인을 포함하는 쌀의 마케팅 전략은 취업주부, 아파트 거주자 및 강남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판매활동 강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시 주부의 특성 변수들을 세밀하게 구분해서 분석하는 시장세분화 연구가 필요하다.

장신구의 의상분야 연계를 통한 전시유형 연구 (A Study on Ornaments' Exhibition Type through Connection with Costume Field)

  • 김태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8-65
    • /
    • 2021
  • 몸을 치장하기 위한 오브제는 인류가 시작된 원시시대부터 아주 중요한 문화였다. 사회적 지위나 부의 상징물, 또는 개인적 치장을 위한 장신구는 장식성, 화폐성, 희소성, 역사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지니며 발전해왔다. 그러나 귀중함을 중시하는 전통보다 지적 개념이 더욱 가치 있었던 20세기 후반부터 장신구 분야는 예술적 활동과 미적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작가중심의 표현주의적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 장신구는 소재나 기술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예술장르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표현주의적 성향은 예술성을 강조하면서 1960년대부터 장신구만을 위한 갤러리들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특히 이시기부터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많은 장신구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이처럼 장신구 전문 갤러리의 등장은 장신구가 예술의 한 장르로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장신구를 전시하는 데 있어 인체와 의상의 결합을 통한 두 가지 전시유형의 연구이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전시방식에서 벗어나 패션쇼를 갤러리에 끌어들임으로써 관람자와의 소통을 위한 적극적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두 번째는 장신구와 의상과의 소통을 위해 의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적극적 전시홍보를 위해 패션브랜드 매장에서의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광고유형 및 성별에 따른 광고효과와 정서반응 패턴: 스토리텔링, 이미지, 정보전달 광고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advertising type and gender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efficacy of storytelling advertising)

  • 정은경;최지은;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89-502
    • /
    • 2012
  • 스토리텔링 광고는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스토리텔링 광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기존 몇몇 활자형태의 내러티브 광고에 대한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광고가 정보전달 광고보다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상업용으로 제작된 광고들을 사용하여 스토리텔링 광고가 다른 광고 유형(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품유형과 브랜드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같은 제품에 대해 스토리텔링 광고, 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 모두가 제작되어 있는 광고를 탐색하였으며 최종 9개의 광고가 선정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광고효과, 광고후 감정, 각성정도, SAM이 측정되었다. 예비분석을 통해 광고후 감정은 크게 정서적 감정과 인지적 감정으로 나뉘어졌으며, 이를 대상으로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광고효과, 각성수준, 정서적 감정 모두에서 스토리텔링 광고와 정보전달 광고가 이미지 광고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스토리텔링 광고는 정보전달 광고에 비해 평균은 높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성별의 주효과는 각성수준에서 경향성만이 관찰되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각성수준을 보였다. 광고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감정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관찰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스토리텔링 광고에서는 남성이, 이미지 광고에서는 여성이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