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Jewelry Object to adorn a body with has been a very important culture since the primitive age when history of human beings started. Ornaments for social status or wealth's symbolic icon otherwise for private embellishment have been developed with various properties such as decorative, monetary, scarce, historic ones. However, since the latter 20th century, when intellecture concept was more valuable than the tradition laying emphasis on preciousness, with counting of artistic activities and aesthetic values, they have had expressionistic tendency centered on artists. In this manner, modern ornaments have been developed as an artistic genre deviating from traditional way in which material or technology was emphasized. While this expressionistic tendency emphasized artistic value, galleries only for ornaments have been started since 1960s and especially from this period, a lot of experimental and revolutionary ornaments works deviating from traditional way have been exhibited. The appearance of galleries specialized in ornaments as described abo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ornaments' development to an artistic genre. This study is the one in respect of two exhibition typ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human body and clothes in displaying ornaments. The first one represents active displaying way for the communication with audience by introducing fashion show to galleries deviating from general exhibition way. The second one plans to run a project collaborating fashion brand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ornaments and clothes and represents displaying way in the shop of fashion brand for active exhibition publicity.
몸을 치장하기 위한 오브제는 인류가 시작된 원시시대부터 아주 중요한 문화였다. 사회적 지위나 부의 상징물, 또는 개인적 치장을 위한 장신구는 장식성, 화폐성, 희소성, 역사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지니며 발전해왔다. 그러나 귀중함을 중시하는 전통보다 지적 개념이 더욱 가치 있었던 20세기 후반부터 장신구 분야는 예술적 활동과 미적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작가중심의 표현주의적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 장신구는 소재나 기술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예술장르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표현주의적 성향은 예술성을 강조하면서 1960년대부터 장신구만을 위한 갤러리들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특히 이시기부터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많은 장신구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이처럼 장신구 전문 갤러리의 등장은 장신구가 예술의 한 장르로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장신구를 전시하는 데 있어 인체와 의상의 결합을 통한 두 가지 전시유형의 연구이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전시방식에서 벗어나 패션쇼를 갤러리에 끌어들임으로써 관람자와의 소통을 위한 적극적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두 번째는 장신구와 의상과의 소통을 위해 의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적극적 전시홍보를 위해 패션브랜드 매장에서의 전시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