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편 정도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7초

세탁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노인의 사용편의성 평가 및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Old People′s Usability Testing and Design for the User Interface of Washing Machine)

  • 정광태;송복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49-56
    • /
    • 2003
  • 노인들도 사용하기 편한 제품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에 대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과정을 통하여 불편한 점을 파악하고, 그러한 불편요소가 해소될 수 있는 방향으로 해당제품이 디자인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고 일반적인 제품인 세탁기를 대상으로 디자인과정과 평가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측각기와 같은 인간공학 장비를 사용하여 제품의 특정 부분에 대한 조작 편의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그 결과를 디자인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제시 하였다. 또한,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이론과 실험을 통한 디자인 방향과 컨셉의 결정, 디자인안 개발, 디자인안의 평가를 위한 실험, 실제 모델 제작,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기존 모델과의 비교평가를 위한 실험 등에 대한 과정이 설명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노인을 위한 세탁기 개발에서의 중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적용된 방법론은 세탁기 뿐만 아니라 다른 가전제품의 노인을 위한 디자인 개발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챗봇 형태로 구현한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추천 시스템 (Customized Recipe Recommendation System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hatbot)

  • 안예진;조하영;강신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43-550
    • /
    • 2020
  • 음식의 레시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요즘 대부분의 레시피 검색 시스템들은 요리명, 또는 음식 재료명으로 검색하는 정도로 구현이 되어 있으며, 레시피마다 상이한 계량 단위로 식재료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인분에 맞춰 식재료의 양을 다시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편 사항을 해결하고 메신저 대화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챗봇 형태의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레시피에 대한 사용자의 리뷰와 별점, 조회 수 등을 기반으로 인기 있는 레시피들을 선별하고 전처리를 통해 해당 레시피별로 주요 단어와 식재료 양, 조리 순서 등 필요한 정보들만을 추출, 가공한 뒤, 그를 통해 얻은 약 10만 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레시피명, 식재료명, 제외할 식재료명 등을 분석해 레시피를 필터링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인분을 기준으로 재계량하여 레시피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레시피 추천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90.5%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환자이동현황을 고려한 병상공급 방향 (Moving Patterns of Patients and Its Implication for Regional Unbalance in Health Resources)

  • 윤희숙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9권1호
    • /
    • pp.41-78
    • /
    • 2007
  • 의료자원량의 지역 간 격차 해소는 오랫동안 정책과제로 지적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공공의료 확충계획과 병상수급관리 정책 등 지역 간 자원균점을 목표로 하는 정책방향이 수립되어 왔다. 그러나 정책방향으로서의 형평의 성격이나 측정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이 정립되어 있지는 않았기에, 정책방향에 대한 폭넓은 동의가 이루어지지 못해왔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들의 불균등분포가 초래하는 문제는 결국 진료를 위해 환자들이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우선 환자이동상황을 관찰한 후 이를 통해 병상수급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불편함을 초래하는 환자의 이동은 단일하고 동질적인 현상이 아니라 다양한 성격과 수준을 가진 현상이라는 점을 고려하였다. 먼저 이동기준에 관해서는 거주 행정구역을 벗어나거나, 인접지역을 포함한 지역을 벗어나거나, 생활권기준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등 세가지의 이동기준을 이용했고, 다양한 이동 수준을 반영한 다항로짓모형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생활권을 기준으로 이동현황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거주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 경우보다 지역 간 불균등 정도가 크게 감소하였고, 이동기준과 이동수준에 따라 이동형태나 이동요인에도 차이가 나타났기에, 지역의 자원보유현황을 평가함에 있어 이동기준 설정과 이동의 원인과 폭을 파악하는 과정이 중요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고령 사용자 조사를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 가이드라인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ng UI Guideline for Mobile Phone through the User Research on Elderly Users)

  • 허정윤;김현정;박상현;심정화;박수정;김미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86-291
    • /
    • 2007
  • 핸드폰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젊은 층뿐만 아니라 노년층 및 어린이들의 핸드폰 사용도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핸드폰은 대부분10~30대의 중급 이상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이미 생활필수품이 된 휴대폰을 고령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 사항이 존재한다. 이런 제약 사항들에는 작은 사이즈의 Font와 같은 물리적 제약에서 단순한 통화방식에 익숙하여 새로운 것을 유연하게 받아들이지 못해서 발생하는 인지적인 제약까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일상생활 중 휴대폰 관련된 불편 요소와 특이사항을 조사하여 도출하였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핸드폰 사용 행태를 관찰하여 현재 휴대폰에서의 사용 문제점을 포함하여 사용상의 특이점을 파악한 후 고령 사용자와 초급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살펴본 후 문맥적 사용자 조사 기법을 적용하여 1차 사용자 VOC(Voice of Customer)수집 후 주요 사용자 특성을 정의하였으며, 2차 심층 조사를 통해 핸드폰 사용시 노년층의 사용자의 Usage행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사용자 조사를 통해 도출된 요구 사항을 종합 분석하여 세분화된 휴대폰의 UI 요소에 따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 사용자의 휴대폰 관련 요구사항을 공용성이 강조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 개념으로 개발하기 위한 전략과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고객의 CTI와 방송연계를 위한 UX기반 자동제어시스템의 구현 -콜센터 데이터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of UX-bas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CTI and Broadcasting Linkage of Customer -Focusing on call center data-)

  • 이재용;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1-6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홈쇼핑 이용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이들 고객들의 불편한 사항들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바 고객 대기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UX기반의 방송화면을 구현하여 고객불만을 낮추고 콜센터의 경영효율성을 향상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주목한 고객불만은 홈쇼핑상품 주문시 통화중인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한 사전 안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본 제안 시스템은 고객의 주문현황을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의 고객 대기상황(20초이상, 30초이상 등)에 대해 UX상의 기준을 설정하고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고객이 콜센터로 전화해서 상담원과의 통화를 위해 대기하지 않고 주문대기가 많으면 콜센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TV화면 상에 모바일 주문이나 자동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UX기반의 자막을 자동제어 시스템을 통해 안내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SK스토아 콜센터와 주조정실에 구현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한국 노인의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와 치주질환 관련성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s in elderly Koreans)

  • 정은서;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35-1145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s in elderly Koreans, using data from the $6^{th}$ (2nd yea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a total of 1,454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responded to the health questionnaires of the $6^{th}$ (2nd yea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4.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while a cross-tabulation analysis (${\chi}^2-test$)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with periodontal diseases. To clarify any effect of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n periodontal diseases, the selected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subsequently analyzed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elderly people with periodontal disease and those without periodontal disease, higher prevalence rates of periodontal diseases were found in women, those of younger age, those with lower educational and income levels, those with poore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ose in the presence of chewing discomfort, those who had a toothbrushing frequency of twice per day, and/or those who had received no oral examination over the previous one year. Regarding the effect of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n periodontal diseases, 1.78-fold and 1.74-fold higher prevalence rates of periodontal diseases were shown with poore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in the presence of chewing discomfort, respectively.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above, it is considered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is necessary for a healthy life of the elderly. Furthermore, constant relevant studies and effective prevention programs intended to moderate the progress of or prevent periodontal diseases in the elderly in communities should be performed and implemented for the sake of better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생활습관의 복합적 요인이 피부 건조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vergence Factors of Life Habits and Skin Dryness)

  • 권혜진;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73-481
    • /
    • 2016
  • 본 연구는 평소 피부 건조함으로 인한 소양감을 가지고 있는 30~4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식습관, 기호품습관, 샤워습관 등을 조사하고, 이러한 생활습관과 지각하는 피부 건조함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일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건강한 피부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대부분 건성 피부로 인해 발생된 일상의 불편함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피부 가려움과 건조함 개선을 위해 병원 방문 경험을 묻는 문항에는 '아니오'를 응답한 자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규칙적인 식사 여부를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는 80.0%, '하루 식사 횟수를 보면 '2끼'가 42.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피부 건조함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식습관, 기호품습관, 샤워습관의 대부분 항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흡연량이나 단맛 선호수준이 높아지면 피부 건조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식습관 및 흡연은 피부 건강과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고, 피부 건강은 겉으로 드러나는 신체적 건강의 지표라는 점에서 기호 식품의 조절과 규칙적인 식습관을 평소에 갖는 것이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오래 유지 할뿐 아니라 피부 건조함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근로여성이 호소하는 월경전후기 불편감, 월경대처 및 증상완화 정도에 관한 연구 (Perimenstrual Discomfort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Workers)

  • 성미혜;민경옥;장윤정;전주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8
    • /
    • 2006
  • Purpose: To identify perimenstrual discomfort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worker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203 women who had worked were obtained from two hospitals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8 to 16, 2004. Three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Perimenstrual Discomfort Questionnaire by Park(1988) and the Menstrual Coping Questionnaire and the Relief of Symptoms by Billings & Moos(1981) modifie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with SPSS 10.0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dysmenorrhea was 81.3%. The total mean score for perimenstrual discomforts was 2.83 out of a possible total of 5 and the mean score for each category was, 3.08 for water retention, 2.95 for pain, 2.88 for negative affect, 2.83 for behavioral change, 2.73 for autonomic reactions, and 2.51 for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se study result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for age(F=2.76, p=0.04), feeling to menstruation(F=3.94, p=0.00), dysmenorrhea(t=4.26, p=0.00), and taking medication(t=2.09, p=0.00). The coping modes with the highest scores were 'take a hot bath'(99.0%)', 'rest and go to bed'(83.7%), 'regard menstruation as a physiological and temporary phenomenon'(76.8%), 'take a warm shower'(65.0%).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to relieve symptoms were 'rest and go to bed'(70.0%), 'take a warm shower'(57.6%), 'take pain killers'(49.8%), 'apply hot water bag on painful parts of the body'(46.8%). Conclu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perimenstrual discomforts and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m. Nursing intervention has to be considered in any program aiming to reduce perimenstrual discomforts.

  • PDF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한 PID 제어 (PID control using 8-bit microcontroller)

  • 이동희;문상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7-408
    • /
    • 2016
  • 드론은 최근 가까운 공원에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대중화가 되었다. 드론이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로 비행 조종이 가능한 무인 항공기(UVA)를 말하며, 주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을 하고 있다. 드론은 군사용으로 시작 되었지만, 최근 방송촬영, 농약살포, 현장탐사, 취미용 등 민간으로 용도가 확대 되었다. 하지만 시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드론은 가격도 비싸고 고장이 났을 경우 수리하기가 어려우며, 비행시간이 짧은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말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자 가격이 저렴한 ATmega128을 이용한 드론(쿼드콥터)를 구현했다. 6축 자이로, 가속도 센서와 MCU간의 TWI통신과, PID제어를 통한 드론의 자세제어를, 수신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기로 드론을 제어하는 동작을 C프로그래밍언어를 기반으로 구현하였다.

  • PDF

저온불편감 완화를 위한 가온담요의 효과 - 제왕절개술 산모를 대상으로 - (Effects of a warmed blanket for the relieving of cold discomfort after Cesarean Section)

  • 정향미;김명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2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warmed blanket on relieving the cold discomfort after Cesarean Section deliver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Sixty wome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divided by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lankets warmed to $40^{\circ}C$ were applied to the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one hour and unwarmed blankets were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Using Abbey's shivering scales,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score, and Celsius mercury thermometer, cold discomfort was measured at four time points: 1) baseline measure (at the point the blanket was applied) 2) 15 min. later, 3) 30 min. later, and 4) 45 min. after applic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and t-test and M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armed blanket for relieving cold discomfor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had less cold discomfort than the control group(Wilts's value =0.580, p=0.000) at the 45 minute point after blanket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less shivering and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than the control group. Shivering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t each of the four time points (baseline, 15 min., 30 min., and 45 min.) and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sco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t 45 minutes. after blanket application.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a warmed blanket was more effective on shivering and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than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objective means. Because women in this study were in the normal range of body temperature, differences in the objective body temperature between the two groups may not be sensitive enough to be detected. Even though differences in objective body temperature were not found, reduced subjective discomfort for low body temperature may be a sufficient significant finding in for nurse clinicians to utilize this method on their practice.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are needed to support these find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