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해 효과

검색결과 6,678건 처리시간 0.037초

4분할 광검출기를 이용한 표면 추적 효과의 공초점 현미경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of a surface following effect using a quad-detector)

  • 김수철;송장섭;권남익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
    • /
    • 1998
  • CD-Player에서 사용되고 있는 4분할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작고 간단하며 표면 추적 효과를 가지는 공초점 현미경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공초점 현미경은 4분할 광검출기에서 검출되는 오차 신호의 거리에 따른 변화를 이용하였다. 초점 근처에서 민감하게 변하며 양극성인 성질을 가지는 오차 신호를 이용하여 표면 추적을 하지 않아도 정확한 높이 변화를 알 수 있는 표면 추적 효과를 얻었다. 또한 시료의 높이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반사 신호를 통하여 재질의 차이까지 알 수가 있다. 구성한 공초점 현미경은 간단한 조작으로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어 두 방식으로 얻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메밀껍질의 효소분해에 의한 수용성 식품섬유소의 생산 및 기능적 특성 (Produ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of Buckwheat Hulls by Enzymatic Depolymerz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 임희진;박보연;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7-103
    • /
    • 2016
  • 본 연구는 메밀 알곡에 비해 유효성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품학적 가치가 떨어져 폐기되고 있는 메밀껍질을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메밀껍질을 효소로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메밀껍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72시간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72시간 효소분해 후 셀룰로스 및 헤미셀룰로스 분획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식품섬유는 각각 60.5 g/kg, 123.7 g/kg이었으며, 총 수용성 식품섬유의 수율은 129.8 g/kg이었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용성 식품섬유의 분자량 추이를 측정한 결과, 분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저분자의 피크가 크게 증가하여 효소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분해가 진행되었다. 효소분해되지 않은 메밀껍질의 수용성 식품섬유에 비해 효소분해에 의해 생산된 식품섬유소의 산화방지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높은 포도당 및 담즙산 흡수 지연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메밀껍질로부터 생산된 수용성 식품섬유소는 산화방지를 비롯한 포도당 및 콜레스테롤의 흡수저하 효과를 가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icrococcus sp.의 생육 및 casein 분해에 미치는 배양조건의 영향 : (II) -배양시간에 따른 casein 분해 형태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ultural conditions on growth of Micrococcus sp. and casein hydrolysis : (II) -Studies on patterns of casein hydrolysis with time during culture-)

  • 이시경;백운화;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79-484
    • /
    • 1992
  • Cheddar 치즈의 숙성기간을 단축시키고 flavor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단백분해력이 있는 Micrococcus sp. LL3를 Cheddar 치즈에 첨가하기 위하여 본 균의 균체생산을 위한 최적배양 온도와 pH 및 배양시간에 따른 casein의 분해형태를 관찰하였다. 본 균주의 생육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는 $30^{\circ}C$, 단백분해 효과의 최적 배양온도는 $37^{\circ}C$이었으며, 초기 배양 pH 7.0에서 균의 생육과 단백분해 효과가 가장 좋았다. 배양기간 중 정지기 초기의 세포에서 aminopeptidase의 효소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본 효소의 열 안정성이 높아 $50^{\circ}C$에서 20분간 열처리 후에도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Casein의 분해속도는 배양 24에서 36시간에서 가장 높았으며, 전기영동을 통한 casein hydrolysis patterns는 ${\alpha}-casein $뿐만 아니라 ${\beta}-casein$도 본 균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었다. 특히 본 균주는 ${\beta}-casein$의 분해력이 더욱 우수하였다.

  • PDF

광화학적 반응 분석을 통한 부화장 폐달걀 분해 액비의 고추 생장촉진효과 평가 (Evaluation through Photochemical Response Analysis on Growth Enhancing Effect of Decomposed Hatchery Waste Egg for Red Pepper)

  • 유성영;강홍규;유재홍;이전규;심명용
    • 환경생물
    • /
    • 제34권3호
    • /
    • pp.161-16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엽록소 형광반응 (OJIP)분석을 통해 고추재배에서 폐달걀 분해 액비의 생육증진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고추재배 전기간을 통하여 고추의 생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폐달걀 분해 액비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좋은 생육을 보였다. 엽록소 형광반응 실험 시작한 후 무처리구의 엽록소 형광량이 분해 액비의 형광량보다 커서 분해 액비 처리구의 광이용 효율이 더 좋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결국 광합성량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광화학 매개변수 중 Fo, ABS/RC, RC/ABS, TRo/RC, $DI_0$/RC, $\text{DF_{TOTAL ABS}}$ 등 6개 parameter가 광화학 반응의 효율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 및 간 보호 효과

  • 김성문;성주리;김진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605-608
    • /
    • 2003
  •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은 알코올 분해 및 D-galactosamine/LPS와 $CCl_4$에 대한 간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Rat(SD)에 알코올(50%, 10 ml/kg)을 경구 투여하여 숙취를 유발한 후 헛개열매 열수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결과 혈중 알코올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D-galactosamine($600{\mu}g/kg$)/LPS($600{\mu}g/kg$)와 $CCl_4$(1.0ml/kg)를 처리한 후 헛개열매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간 기능 수치인 AST, ALT 및 LDH 값이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역 엣지 보존 필터와 평균 필터를 이용한 HDR 이미지 톤 매핑 기법 (High Dynamic Range Image Tone Mapping Method by Using Local Edge-Preserving Filter and Mean Filter)

  • 김현기;최현호;정제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5-5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넓은 동적 영역(High Dynamic Range: HDR) 이미지에 지역 엣지 보존 필터를 적용한 개선된 다중 스케일 톤 매핑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알고리듬의 다중 스케일 분해 과정에서는 과도하게 많은 정보를 보존하여 결과 이미지가 비현실적으로 표현되고 일부 테스트 이미지에서는 화소 값 변화량이 큰 엣지 영역에서 후광 효과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알고리듬의 다중 스케일 분해 과정을 개선하여 엣지를 적절히 보존함으로써 후광 효과를 제거함과 동시에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켰다.

  • PDF

감태(E. cava Kjellman) 효소분해산물의 항당뇨 및 알코올 분해능과 미용효과 (α-Glucosidas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 김혜윤;조은경;강수희;배정미;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1-7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장 해안의 해수에서 분리한 해양 미생물로부터 해조류의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Microbulbifer sp. SC092로 명명하였다. Microbulbifer sp. SC092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조효소의 기질 특이성 분석으로 agar 및 alginic acid를 분해하는 효소활성이 각각 146.2%로 agarase와 alginase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은 각각 84.1, 89.6%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혈당 강하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alpha}$-glucosidase 활성은 58.7%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염증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은 인체의 위의 pH와 비슷한 조건에서 아질산염소거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는데, 0.5 mg/ml 농도에서 56.3%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알코올분해능은 ADH와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123.3, 215.2%로 나타나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보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효과로 분석하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해산물의 농도 2.5 mg/ml 농도에서 각각 42.2%와 73.1%로 높은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소 추출법이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데 효과적인 추출법인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A Decomposition of Gender Differences on the Poverty among the Urban Working Households in Korea)

  • 이은혜;이상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333-354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 가구 중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격차분해를 시도하였다. 연구는 남녀 가구주 간 빈곤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고, 옥사카 분해 방식을 사용하여 격차 요인을 분해를 실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1982년부터 2008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빈곤여부는 상대빈곤율(중위 소득 50%)로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여성가구주 가구와 남성가구주 가구의 빈곤 격차에서 계수 효과가 전체 격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로 가구주 성별에 따른 빈곤 격차의 추세는 1980년대 증가하다 1990년대 감소, 다시 2000년대 들어서 빈곤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빈곤격차 요인 분해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특성 효과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근로자 가구 중 남성가구주에 비해 여성가구주 가구의 특성이 점차 더 열악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계수효과가 여전히 크다는 것은 도시 근로자 가구들의 경우, 여성가구 주에 대한 차별 또는 사회적 지원의 부족 문제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카라기난의 유기산 가수분해물의 기능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arrageenan Hydrolysates by Organic Acids)

  • 주동식;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2-268
    • /
    • 2007
  • 유기산으로 분해된 카라기난 가수분해물의 각종 생리활성을 실험한 결과, citrate와 malate를 가수분해 매체로 이용할 경우, $100^{\circ}C,\;110^{\circ}C$$120^{\circ}C$ 가수분해물은 B. cereus와 B.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20^{\circ}C$에서 180분간 가수분해한 것이 B. subtilis에 대해 특별히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충치균인 St.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는 $100^{\circ}C$$120^{\circ}C$에서 처리된 시료 중에서 citrate와 malate 처리구가 97% 이상의 높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itrate로 $100^{\circ}C$에서 90분 처리된 시료의 경우 97.1%, 180분 처리된 것은 99.4%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120^{\circ}C$에서 90분 처리된 시료의 경우 98.2%의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alate 처리구도 처리온도와 처리시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citrate 처리구와 비슷한 결과로 $98{\sim}99.5%$의 높은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당질 농도에 따라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환원당 및 전당의 농도에 비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혈액응고활성은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0.3% malate 용액으로 $80^{\circ}C$에서 180분간 처리 시료의 경우 APTT가 $2,451{\pm}18(sec)$로 항혈액응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얻어진 0.3% citrate 가수분해물이 $1,617{\pm}15(sec)$였으며 lactate, succinate, acetate 가수분해물 순으로 높았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분자량이 적어지고 결국은 황산기 함량도 낮아지게 됨으로써 항혈액응고활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여겨졌다.

개심술에서 Aprotinin이 heparin 사용량 및 ACT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rotinin on ACT and the Total Amount of Heparin for Open Heart Surgery)

  • 이현우;이재웅;박철현;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7호
    • /
    • pp.560-564
    • /
    • 2000
  • 배경; 아프로티닌(Aprotinin)은 nonspecific serine protease inhibitor로 개심술에서 항염효과와 혈액 응고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아프로티닌은 심폐기 작동 중에는 항트롬빈(antithrombin)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아프로티닌이 헤파린(heparin)사용 양 및 ACT(activated clotting time)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2월 1일부터 1999년 11월 30일 까지 본원에서 개심술을 받은 환자 중 연령이 18세 이상인 8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들은 아프로티닌을 사용한 군(Group A)과 사용하지 안흥ㄴ 군(Group C)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 체중, 신장, 체표면적, pump time, ACC time 등을 조사하였다. ACT의 측정 시기는 헤파린 공급 전, 공급 후 20분, 40분, 60qs과 프로타민 공급 후 20분 등이었다. 또한 ACT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헤파린 공급 전과 공급 후 20분, 공급 후 40분과 20분 사이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환자들이 굴변 특징에서는 연령, 펌프시간 및 대동맥차단 사간에서 모두 A군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p<0.05). 헤파린 공급 전과 프로타민 공급 후의 ACT는 두 군에서 차이가 없으며 헤파린 공급 후 20분(607$\pm$22.3, 525$\pm$169초), 40분(889$\pm$315, 546$\pm$103초), 60분 (748$\pm$310, 472$\pm$115 초)에 측정한 ACT는 모두 A군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p<0.05), 헤파린 공급 전과 궁급 후 20분 사이의 ACT 차이는 A한 군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p<0.05), 헤파린 공급 후 40분과 20분 사이의 ACT의 차이 또한 A군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p<0.05). 두 군간의 총 헤파린 및 프로타민 사용 양에는 차이가 없었다. (p>0.05). 결론; 결론적으로 아프로티닌은 본 연구에서 CPB time을 고려해 볼 때 헤파린사용 양을 의미있게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ACT를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추가적인 헤파린 감량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