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크랙들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상하좌우 대칭으로 분포된 작은 크랙근방에서의 중앙크랙의 역학적 거동

  • 조재웅;이억섭;김상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873-882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작은 크랙이 중앙 크랙선단 주위에 대칭으로 배치 분포되어 있 는 유한 평판의 경우에 대한 것으로, 우선 균일분포하중을 받는 정방형판에 분포크랙 이 있는 경우 분포크랙의 위치에 따른 중앙 크랙 선단에서의 응력확대계수의 변화를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여 등응력확대계수 곡선들로 나타냈다. 그리고 크랙들 사이의 상호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소성영역도 고려하여 그 안정성을 검토하여 보았는데, 특 히 크랙들이 서로 가까와 지면 그 크랙들 간에 상호간섭이 커져 소성영격이 크랙선단 주위에 크게 발생되므로써 크랙들은 쉽게 연결되고 합체로 인한 크랙성장이 되어 파괴 됨을 예측할 수 있고 중앙 크랙선단 주위의 분포크랙의 위치에 따른 소성영역 변화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여 도식적으로 나타냈다.

Stress Intensity Factors for Branched Edge Cracks (가지친 표면크랙의 응력확대계수)

  • 구인회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0 no.2
    • /
    • pp.257-264
    • /
    • 1986
  • 무한평판에 묻혀진 크랙에 대한 응력확대계수를 결정하는 전위분포법을 반무한 평판에서의 표면크랙에 확장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반평면에서의 전위응력의 기본 해가 간단한 복소수 응력함수형태로 얻어졌다. 평형을 이루는 절편적인 분포로부터 응력확대의 계수를 계산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수직표면 크랙과 묻혀진 경사크랙에 대한 기존해와 이 방법의 결과가 상호 비교되었다. 경사진 표면크랙에 대한 계산결과는 유한평판에서의 기존하는 Mapping Collocation 해석과 비교되어 좋은 일치를 보여 주었다. 구부러진 크랙과 대칭으로 가지친 크랙에 대해서는 표면크랙과 묻혀진 크랙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stributed Cracks (분포 크랙들 사이에서의 상호 간섭에 관한 연구)

  • Han, Moon-Sik;Cho, Ja-E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6
    • /
    • pp.63-69
    • /
    • 2005
  • For the case that center crack is surrounded by four small cracks which are symmetrically distributed around center crack, the same values of normalized stress intensity factor of center crack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ip of small cracks are located on the smooth curve. And the stress intensity factor according to any position of small cracks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from this curve. The plastic zones between distributed cracks are also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nearly small cracks. The occurrence of plastic zone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center crack and small cracks are analyzed by finite element method. The mechanical behavior at the vicinity of crack tips is investigated by plastic areas. The changes of plastic zones according to positions of distributed cracks are drawn schematically. The safety of materials is also analyzed.

A Study on the Probabilistic Nature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Life(III) - A Method for Uncertainty Evaluation of Crack Propagation Rate - (피로크랙 진전수명의 확율특성에 관한 연구(III) - 크랙진전속도의 불확정성 평가수법 -)

  • 윤한용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635-163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제1보에서의 수법을 이용하여 초기크랙길이의 분포를 고려한 재료의 불확정성 평가수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Mechanical Behavior of Cracked Rocks with Biotite Contents (크랙을 갖는 암반에서의 역학적 거동)

  • ;Seiki,Takafumi;Ichikawa, Yasuaki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4 no.1
    • /
    • pp.1-12
    • /
    • 1994
  • In general there are many cracks in rocks. In this study, we are concerned with the mechanical effect on cracks on the behavior of rocks. For this purpose, we used spedmens rnade of mortar having one crack set which has a constant length and same direction. Orientafion of this set was varied with respect to the loading axis. We did a number of uniaxial experiments and observed propagafion of the crack set to understand the effect set of the geometry of the crack set and its location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rocks with distributed crack sets. Finally, we analysed our experiments by FEM elastic analyses and Homogenization theory.

  • PDF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Penetration and Break Fatigue Life of Surface Crack (표면크랙의 관통 및 파단 피로수명의 확률분포)

  • 윤한용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8 no.10
    • /
    • pp.2495-2500
    • /
    • 1994
  • A method of prediction for the fatigue life of surface crack, that is, initial cracks grow and penetrate through the thickness, was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of the author.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the initial crack length, material factors, etc., for the life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the life is calculated. Effects of the distribution of parameters for the distribution of life were also discussed.

The effect of pore-control on thermal shock in porous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 Yun, Dong-Cheol;Jo, Yong-Ho;Jo, Mun-Gyu;Jeong, Du-Hwa;Lee, Hui-Su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2.2-42.2
    • /
    • 2009
  •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의 통로, 산화방지 및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다공성 노즐(porous nozzle)은 용강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화학 반응 및 용강의 침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청정강을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공정 중 노즐 막힘으로 인한 배압상승과 열충격에 의한 크랙(crack) 발생이 문제되고 있으며 신뢰성 향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공크기와 기공분포가 고온안정성 및 내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내구성 시험 및 고장분석을 통하여 노즐의 신뢰성 향상 방안을 고찰 하였다. 기공을 제어한 시편을 제조하여 기공분포에 따른 고온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사용 조건인 용강온도($1550^{\circ}C$)와 보다 높은 온도($1700^{\circ}C$)에서 각각 고온 시험을 수행하였다. 열충격을 스트레스 인자로 한 내구성 시험을 수행한 후 고장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열화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열처리 온도에 따른 차압 및 굽힘 강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결정상 분석을 통해 온도에 대한 상변화를 확인하였고, 시편의 표면 및 파단면의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크랙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다공성 노즐의 기공분포가 균일 할수록 고온안정성 및 내열충격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Porous Nozzle의 열화원인으로 판단되는 기공 크기 및 분포에 따른 크랙 발생에 대해 열응력 고찰을 수행하였다.

  • PDF

Fre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Composite Beam with Multiple Transverse Open Cracks (다중 크랙이 있는 복합재료 보의 자유진동 특성)

  • 하태완;송오섭
    • Composites Research
    • /
    • v.13 no.3
    • /
    • pp.9-20
    • /
    • 2000
  • Fre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cantilevered laminated composite beam with multiple non-propagating transverse open cracks a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analysis a special ply-angle distribution referred to as asymmetric stiffness configuration inducing the elastic coupling between chord-wise bending and extension is considered. The multiple open cracks are modelled as equivalent rotational springs whose spring constant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fracture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 structures. Governing equations of a composite beam with open cracks are derived via Hamilton's Principle and Timoshenko beam theory encompassing transverse shear and rotary inertia effect is adopted.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ply angle, fiber volume fraction, crack numbers, crack positions and crack depthes on the fre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eam with multiple cracks are highlighted.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istence of the multiple cracks in an anisotropic composite beam affects the free vibration characteristics in a more complex fashion compared with the beam with a single crack.

  • PDF

A Study On the Rrobabilistic Nature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Life(I) -The Effect of Distribution of Initial Crack Size- (피로크랙 진전수명의 확률특성에 관한 연구 I -초기크랙길이 분포의 영향-)

  • 윤한용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1
    • /
    • pp.138-144
    • /
    • 199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abilistic nature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not only the calculation of failure probability and parameter sensitivity, but also the clarification of probabilistic nature of various parameters should be executed. Therefore a method to evalute synthetically the effect of each parameter on the distribution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life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initial crack size and other paramaters on the distribution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life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normalization of the life distribution, the validity of this method is also shown. Such an investigation as the present work may be useful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life distribution and to utilize the probailistic fracture mechanics.

A Boundary Integral Approximation For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in Elastic Plate Bending (강성평판굽힘 문제의 응력확대계수를 위한 경계적분수치해법)

  • Kim, J. W.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6 no.3
    • /
    • pp.282-288
    • /
    • 1982
  • 크랙탄성평판의 굽힘문제가 경계적분방정식으로 구성되었다. 자연변수인 변위, 수직기울기, 굽힘 모우멘트, 등가전단적과 크랙끝에서 응력의 성장율로 정의되는 응력확대계수들이 주변수로 포함 된다. 이 적분방정식들은 가역에너지 적분이론(Green-Rayleigh)을 기초로 크랙응력분포특성에 맞 게 발전되었으며 해당되는 핵함수들이 유도되었다. 등분석 모우멘트를 받는 중앙크랙이 있는 정 4각형 모형에 대한 응력확대계수가 계산되어 기존의 유한요소법의 해와 비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