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맵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ace Detection Based on Distribution Map (분포맵에 기반한 얼굴 영역 검출)

  • Cho Han-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1
    • /
    • pp.11-22
    • /
    • 2006
  • Recently face detection has actively been researched due to its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personal identification and security systems. In this paper, a new face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distribution map is proposed. Face-like regions are first extracted by applying the skin color map with the frequency to a color image and then, possible eye regions are determined by using the pupil color distribution map within the face-like regions. This enables the reduction of space for finding facial features. Eye candidates are detected by means of a template matching method using weighted window, which utilizes the correlation values of the luminance component and chrominance components as feature vectors. Finally, a cost function for mouth det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acial features are applied to each pair of the eye candidates for face dete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a high performance.

  • PDF

Face Detection based on Pupil Color Distribution Maps with the Frequency under the Illumination Variance (빈도수를 고려한 눈동자색 분포맵에 기반한 조명 변화에 강건한 얼굴 검출 방법)

  • Cho, Han-S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9 no.5
    • /
    • pp.225-232
    • /
    • 2009
  • In this paper, a new face detection method based on pupil color distribution maps with the frequency under the illumination variance is proposed. Face-like regions are first extracted by applying skin color distribution maps to a color image and then, they are reduced by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chrominance components. In order to search for eye candidates effectively,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eye-like regions from face-like regions by using pupil color distribution maps. Furthermore,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detect eyes very well by segmenting the eye-like regions, based on a lighting compensation technique and a segmentation algorithm even though face regions are changed into dark-tone due to varying illumination conditions. Eye candidates are then detected by means of template matching method. Finally, face regions are detected by using the evaluation values of two eye candidates and a mout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a high performance.

  • PDF

Abnormal Crowd Behavior Detection using a Modified Feature Map (특징점 맵 보정을 통한 군중 이상행동패턴 인식 방법)

  • Jung, Sung-Uk;Jee, Hy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2-253
    • /
    • 2015
  • 군중의 이상행동을 검출하는 것은 군중 모니터링, 보안 및 CRM 시스템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방법은 대다수가 옵티컬플로우를 기반으로한 검출방법으로 객체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객체로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많은 데이터량을 처리하기 때문에 실시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맵 보정과 분포분석을 통한 군중의 밀집과 대피하는 현상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군중에서 옵티컬플로우 기반으로 움직이는 FAST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의 분포에따라 특징점맵을 복원한다. 복원된 특징점 맵과 특징점의 분포에 기반하여 군중의 이상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PETS2009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 PD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Knowledge Map for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Knowledge Map Examples in the View of Information Analysis (과학기술 지식맵의 형태적 분류와 정보분석 관점의 지식맵 사례 도출)

  • Lee, Bangrae;Lee, June Young;Kim, Dohyun;Noh, Kyung Ran;Yang, Myung Seok;Kwon, Oh-Jin;Choi, Kwang-Nam;Kim, Han-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461-476
    • /
    • 2013
  • Knowledge maps for science and technology are used extensively in the research projects. However, they are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and are not necessarily suitable to be used in the research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rganize the knowledge maps in order to support scientific research projects. To this end, the existing knowledge maps for science and technology are classified as one of four types based on data representation methods; the frequency summary map, trend summary map, distribution-based knowledge map and network-based knowledge map. Additionally, by summarizing and classifying the knowledge maps through the principle of 'five w's and one h', the unexplored area are investigated. Finally, some examples of useful knowledge maps in terms of data analysis are provided with details such as definitions, components and utilization purposes. These findings may be a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 into a better understanding of knowledge maps for science and technology.

Visualizing Excercise Prescription Using Visual Path Map (비쥬얼패스맵을 이용한 운동처방 과정 시각화)

  • Ham, Jun-Seok;Jeong, Chan-Soon;Ko, Il-J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9
    • /
    • pp.1182-1189
    • /
    • 2011
  • We named the system Visual Path Map which visualizes the distribution of clust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entire process about exercise prescription, and we purpose to visualize a process according to exercise prescription. Visual Path Map visualizes the distribution of clust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current and object distribution, and changed distribution for prescription. So it visualizes paths from current distribution to object distribution according to prescription. We used SOM in order to express properties along subjects in Visual Path map, and visualized distribution of clusters about physical characteristics, body mass index, and age information of 1,500 ordinary people. Also we visualize practical exercise prescription according to real data of expert of exercise prescription.

Depth Map coding pre-processing using Depth-based Mixed Gaussian Histogram and Mean Shift Filter (깊이정보 기반의 혼합 가우시안 분포 히스토그램과 Mean Shift Filter를 이용한 깊이정보 맵 부호화 전처리)

  • Park, Sung-Hee;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175-17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MPEG 의 3차원 비디오 시스템의 표준 깊이정보 맵에 대한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하여 전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3차원 비디오 부호화(3DVC)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지만 아직 깊이정보 맵의 부호화 방법에 대한 표준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우선, 입력된 깊이정보 맵에 대하여 원래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가우시안 혼합모델(GMM)기반의 EM 군집화 기법에 의한 방법으로 분리 후, 분리된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깊이정보 맵을 여러 개의 영상으로 분리한다. 그 후 분리된 각각의 영상을 배경과 객체에 따라 다른 조건의 mean shift filter로 필터링한다. 결과적으로 영상내의 각 영역 경계는 최대한 살리면서 영역내의 화소 값에 대해서는 평균 연산을 취하여 부호화시 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실험조건은 $1024{\times}768$ 영상에 대해서 50 프레임으로 H.264/AVC base 프로파일로 부호화를 진행하였다. 최종 실험결과 bit rate는 대략 23% ~ 26% 정도 감소하고 부호화 시간도 다소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Brush Stroke Generation Using Color Transfer (칼라변환을 이용한 브러쉬 스트로크의 생성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up;Yoon, K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9 no.1
    • /
    • pp.11-1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회화적 렌더링에서 칼라변환을 이용한 브러쉬 스트로크의 생성에 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브러쉬 스트로크 생성을 위한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장의 사진(한 장의 소스 이미지와 한 장의 참조 이미지)을 입력으로 하여 칼라 변환 이론을 적용하여 색상 테이블이 바뀐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방법은 소스 이미지의 칼라 분포 형태를 창조 이미지의 칼라 분포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선형 히스토그램 매칭이라 불리는, 간단한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다. 둘째, 가우시안 블러링과 소벨 필터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한다. 검출된 에지는 브러쉬 스트로크 렌더링 시 에지 부분에서 스트로크를 클리핑 함으로써 이미지의 윤곽선 보존을 위해 사용된다. 셋째, 브러쉬 스트로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맵을 생성한다. 방향맵은 입력 영상에 대한 영역 분할 및 병합을 토대로 만들어진다. 영역별 각 픽셀들에 대해 이미지 그래디언트에 기초한 일정한 방향을 부여함으로써 방향맵을 구성한다. 넷째, 구성된 방향맵을 참조하여 브러쉬 스트로크 생성의 기초가 되는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의 제어점(Control point)을 설정한다. 실제 회화작품에서 사용되는 브러쉬 스트로크는 일반적으로 곡선의 형태를 이루므로 곡선 표현이 가능한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브러쉬 스트로크를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브러쉬 스트로크를 에지부문에서 클리핑하고 배경색을 참조하여 블렌딩하거나 퐁 조명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적용하게 된다.

  • PDF

An Analysis of Search Log from a Story Database Service and a New Story Search Method based on Story Map (스토리 검색 서비스의 사용자 기록 분석 및 스토리맵에 의한 새로운 스토리 검색 방법)

  • Kim, Myoung-J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5
    • /
    • pp.795-803
    • /
    • 2015
  • is a service providing story synopsis that matches user's query. This paper analyzes the user log of and shows the tendency distribution of user creation in comparison to stories in database. We also investigate the log to see possible improvements on search method.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 of Story Map, in which the query-answer information is projected into spatial coordinates, and a new story search UI based on it. Using the Story Map, users are able to see entire spatial distribution of story database so that they can quickly and intuitively find a story on the map.

Automatic Source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Mean-Shift Clustering and stepwise merging in Color Image (컬러영상에서 Mean-Shift 군집화와 단계별 병합 방법을 이용한 자동 원료 선별 알고리즘)

  • Kim, Sang-Jun;Jang, JiHyeon;Ko, B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97-159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곡물이나 광석 등의 원료들 중에서 양품 및 불량품을 검출하기 위해, Color CCD 카메라로 촬영한 원료영상에서 Mean-Shift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단계별 병합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원료 학습 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영상 색 분포정도를 기준으로 모폴로지를 이용하여 영상의 전경맵을 얻는다. 전경맵 영상에 대해서 Mean-Shift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을 N개의 군집으로 나누고, 단계별로 위치 근접성, 색상대푯값 유사성을 비교하여 비슷한 군집끼리 통합한다. 이렇게 통합된 원료 객체는 영상채널마다의 연관관계를 반영할 수 있도록 RG/GB/BR의 2차원 컬러분포도로 표현한다. 원료 객체별로 변환된 2차원 컬러 분포도에서 분포의 주성분의 기울기와 타원들을 생성한다. 객체별 분포 타원은 테스트 원료 영상데이터에서 양품과 불량품을 검출하는 임계값이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다양한 원료영상에 실험한 결과, 기존 선별방식에 비해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이 적고 정확한 원료 선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Multi-Depth Map Fusion Technique from Depth Camera and Multi-View Images (깊이정보 카메라 및 다시점 영상으로부터의 다중깊이맵 융합기법)

  • 엄기문;안충현;이수인;김강연;이관행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9 no.3
    • /
    • pp.185-195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multi-depth map fusion method for the 3D scene reconstruction. It fuses depth maps obtained from the stereo matching technique and the depth camera. Traditional stereo matching techniques that estimate disparities between two images often produce inaccurate depth map because of occlusion and homogeneous area. Depth map obtained from the depth camera is globally accurate but noisy and provide a limited depth range. In order to get better depth estimates than these two conventional techniques, we propose a depth map fusion method that fuses the multi-depth maps from stereo matching and the depth camera. We first obtain two depth maps generated from the stereo matching of 3-view images. Moreover, a depth map is obtained from the depth camera for the center-view image. After preprocessing each depth map, we select a depth value for each pixel among them. Simulation results showed a few improvements in some background legions by proposed fusion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