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자극성도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7초

실리카-커플링제-고무의 화학 결합 형성과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and Formation of Chemical Bonds of Silica-Coupling Agent-Rubber)

  • 고은아;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239-244
    • /
    • 2014
  •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실리카와 실란커플링제의 반응을 투과 방식 휴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과 열중량 분석법(TGA)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실란커플링제로 bis[3-(triethoxysilylpropyl) tetrasulfide] (TESPT)를 사용하였다. 미반응 TESPT를 제거한 후, FTIR로 화학 결합 형성을 분석하였고 TGA로 반응한 TESPT 함량을 결정하였다. 커플링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실리카에 결합한 커플링제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커플링제를 과량으로 첨가하면 커플링제 간의 축합반응에 의해 올리고머를 형성하였다. 실리카와 커플링제 그리고 고무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질 실리카와 저분자량 액상 BR을 반응시켜 실리카-커플링제-BR 모델 복합체를 제조하여 화학 결합 형성을 조사하였다. 미반응 고무는 용매를 사용하여 제거하였고 FTIR과 TGA로 분석하였다. BR은 개질 실리카의 커플링제와 반응하여 화학 결합을 형성하였다. 실리카-커플링제-BR의 화학 결합 형성으로 인해 실리카 표면의 극성은 크게 낮아졌고 실리카 입자 크기는 커지는 효과를 보였다.

고분자 박막인 PI-SOT의 전기광학계수 $\gamma_{33}$의 열적 . 시간적 안정성 (Thermal and temporal stabilities of a electro-optic coefficient $\gamma_{33}$ in a PI-SOT nonlinear polymer thin film)

  • 정연홍;조재홍;장수;김태동;이광섭
    • 한국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8-194
    • /
    • 1999
  • Mitsunobu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광학계수 $\gamma_{33}$크고 열적 .시간적으로 안정적인 폴리이미드(polyimide)계고분자 용액인 PI-SOT(폴리이미드계 4-[N,N-bis(hydroxyethyl)amino­4'­($\beta$­cyano-$\beta$­methylsulfonyl)vinyl]azobenzene)고분자를 합성하였다. C.C. Teng의 단순반사법을 이용하여 코로나 폴링으로 극성 배향시킨 PI-SOT 박막의 전기광학계수 $\gamma_{33}$의 열안정성 및 시간안정성을 파장 632.8 nm와 852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온에서 전기광학계수$\gamma_{33}$은 파장 632.8nm서 25.12 pm/V이고, 852 nmsns 5.40pm/V였다. 이 값들은 상온에서 60일 이상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100^{\circ}C$의 고온에서도 10시간내에서 6% 이내로 안정된 값을 유지하였다.

  • PDF

O/W형 microemulsion의 생성영역과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region, droplet size and stability of O/W microemulsion)

  • 조주영;한창규;조춘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4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ME의 각 성분의 구조가 그들의 생성영역, 입자의 크기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surfactant로서 POE sorbitan fatty acid 계를 사용하였고, oil로는 포화탄화수소계인 liquid paraffin, squalane, 방향족계열인 alkyl benzoate, Isostearyl benzoate를 그리고 cosurfactant로는 glycerine, propylene glycol, sorbitol, 1, 3-butanediol을 사용하여 4성분계 ME을 제조하고, 이 계에서 cosurfactant의 구조적 특성이 ME 생성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그리고 oil과 surfactant의 구조 특성이 제조된 ME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 cosurfactant로 polyol류를 사용했을 때, polyol 분자 중 탄소가 같은 경우 OH수가 많을 때, OH기 수가 같을 경우 탄소수가 적을 때 ME생성영역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된 ME의 입자 크기를 비교했을 때 oil의 극성이 클수록, surfactant 소수부분의 alkyl chain의 탄소수가 클수록 입자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분산상으로 사용된 oil 중 alkyl benzoate나 Isostearyl benzoatbenzoate 에 비해서 포화탄수소계인 liquid paraffin, squalane으로 구성된 ME의 경시 안정성이 더 양호하였다.

  • PDF

SiOC 박막의 화학적 특성과 전기적인 특성에 대한 차이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of Chemical and Electronic Properties)

  • 오데레사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9-53
    • /
    • 2009
  • 층간 절연막으로써 연구되고 있는 SiOC 박막의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SiOC 박막의 형성은 알킬기와 수산기에 의한 극성분자의 조합에 의해 무분극성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무분극성에 의한 비정질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유전상수의 감소를 유도할수 있다. 박막의 화학적인 특성은 이온의 변화에 의한 결정구조의 변화로 결정할수 있고, 화학적인 변화의 분석은 FTIR에 의한 탄소함량변화로부터 무분극성의 영역을 유추해 내었다. 전기적인 특성은 박막 내에서의 전자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으로써 화학적인 특성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유량변화에 따른 SiOC 박막의 전기적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SiOC 박막은 열처리 후 대체로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탄소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샘플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탄소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누설전류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화학적인 관점에서 탄소의 증가는 박막의 구조변화에 따른 효과로 직접 전류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표면 기능화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체의 분산 및 열전도도 특성 (The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on the Disperisibilities and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Epoxy Composites)

  • 김지원;임현구;김주헌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266-271
    • /
    • 2011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의 우수한 열적 특성을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의 열전도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WCNT와 에폭시 수지 복합체를 제작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SWCNT에 카보닐기와 아민기를 도입하여 분산도 향상을 유도하였으며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bisphenol F (DGEBF) 두 종류의 에폭시 레진에 각각의 SWCNT를 첨가하여 제작한 복합체들은 파단면 분석을 통하여 분산 특성을 관찰하였다. 각 복합체의 분산도는 표면 처리를 거치면서 생성된 극성분자와 에폭시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SWCNT를 첨가한 것이 순수한 SWCNT 복합체와 비교하여 높은 분산성을 나타내었다. SWCNT/에폭시 복합체의 열전도도는 DGEBA와 DGEBF 두 종류의 에폭시에서 산처리한 SWCNT 복합체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먹장어 지질의 주된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조성 (Fatty Acid Combination of Major Triglyceride in Hagfish Flesh Lipids)

  • 이응호;화전준;소천천추;대도민명;야중순삼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1-298
    • /
    • 1984
  • 먹장어근육지질을 Biobeads SX-2 및 Sephadex LH-20을 이용한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걸어 트리글리세리드(TG)획분을 분획하고 이 TG획분을 HPLC에 걸어 partition number별로 분획하였다. 그리고 partition number에 따른 TG조성, 총탄소수에 따른 TG조성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자료를 computer처리하여 TG 구성지방산조합을 추정하였다. 총지질의 경우 포화산 $34.3\%$, monoene산 $43.1\%$, polyene산 $22.7\%$, 중요지방산은 $C_{16:0}(16.6\%),\;C_{16:1}(12.5\%)$$C_{18:1}(28.0\%)$였고, 극성지질은 포화산 $31.8\%$, monoene산 $30.1\%$, polyene산 $38.2\%$, 중요지방산은 $C_{16:0}(15.0\%),\;C_{18:0}(10.8\%),\;C_{18:1}(18.5\%),\;C_{22:5}(16.5\%)$$C_{22:6}(10.3\%)$, TG는 포화산 $29.8\%$, monoene산 $53.1\%$, polyene산 $17.2\%$, 중요지방산은 $C_{16:0}(17.1\%),\;C_{16:1}(10.1\%)$$C_{18:1}(38.4\%)$였다. 전반적으로 보면 $C_{18:1}$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으며, $C_{18:0}/C_{18:1}$의 비는 0.1이였다. 극성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65.5\%$)과 phosphatidyl ethanolamine($28.0\%$)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GLC 자료 및 HPLC에서 얻은 partition number를 사용하여 먹장어 지질 TG의 구성지방산조합을 computer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이중결합을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가지고, 총탄소수는 46에서 58의 범위내에 분포하며, $0.1\%$ 이상 함유될 가능성이 있는 TG는 44종류로 추정되었으며 그 합계는 69.75였고, 중요한 TG는 ($1{\times}C_{16:0},\;2{\times}C_{18:1};\;13.5\%$), ($1{\times}C_{16:0},\;1{\times}C_{18:0},\;1{\times}C_{18:1};\;7.2\%$), ($1{\times}C_{16:1},\;2{\times}C_{18:1};\;5.4\%$), ($2{\times}C_{16:0},\;1{\times}C_{22:5};\;5.2\%$), ($1{\times}C_{14:0},\;2{\times}C_{18:1};\;4.5\%$), ($2{\times}C_{18:1},\;1{\times}C_{22:5};\;3.6\%$), ($1{\times}C_{14:0},\;1{\times}C_{18:0},\;1{\times}C_{18:1};\;2.7\%$) 및 ($1{\times}C_{14:0},\;1{\times}C_{16:0},\;1{\times}C_{18:2};\;2.2\%$)등이었다. 이들 TG중 $C_{18:1}$을 1분자이상 함유하는 것의 조함비의 합계는 $52.4\%$, 2분자이상 함유하는 것은 $35.9\%$였다.

  • PDF

연산 오계 부산물 내장육으로부터 펩타이드 생산 최적 공정 개발과 생산물의 특성 분석 (Optimization of Peptides Production Derived from By-product Viscera of Yoensan Ogae Meat Process)

  • 지중구;유선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49-559
    • /
    • 2016
  • 연산 오계육은 오래전부터 건강기능 증진 및 치료 효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천연물 단백질 유래 기능성 펩타이드 효능이 알려짐에 따라, 본 연구는 연산오계 부산물인 내장육 단백질로부터 고압처리기술과 프로티아제를 이용하여 펩타이드 생산 최적공정과 생성물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내장육의 가수분해는 효소 bromelain 과 내장육을 고압 반응기에 투입을 하여 실시하였다. 최적 공정 조건 확립을 위하여 고압처리기의 압력(30 - 100 MPa), 효소반응 시간 (1 - 5시간), 내장육의 양(10 - 30%)의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효소 반응 후 각 조건에 따른 내장육 단백질의 가수분해도, 생산 펩타이드들의 아미노산 및 분자량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내장육 단백질 가수분해 최적조건으로 압력 90 MPa, 효소반응시간 3-4시간, 내장육의 함량 20%에서 결정 되었다. 최적조건에서 오계 내장육 단백질의 65% 이상이 가수분해 되었다. 대부분의 가수분해물의 분자량들은 400-1,000 Da 이하의 분포를 보여주어 대부분이 펩타이드로 판단되었다. 생산 펩타이드들은 비극성 소수성 아미노산들 42.3%, 극성 비전하 아미노산들 26.0%, 양 전하 아미노산들 13.3%, 음 전하 아미노산들 18.6% 로 분포되었다. 따라서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비극성 아미노산의 분포를 보아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를 한다.

망간산화물에 의한 1-Naphthol의 산화-결합 반응에 따른 반응산물 연구 (Investigation on Reaction Products From Oxidative Coupling Reactions of 1-Naphthol By Manganese Oxide)

  • 임동민;이두희;강기훈;신현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89-9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망간산화물 존재 하에서의 1-naphthol(1-NP)의 산화-결합반응을 통한 변환반응과 반응산물을 조사하였다. 변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산물을 대상으로 한 용매 추출과 HPLC, GC/MS, LC/MS 및 UV-Vis. 흡광특성 분석 등을 통해 반응산물의 분자 구조특성을 규명하였다. 반응 상등액에서 검출된 반응산물은 모두 1-NP에 비하여 높은 극성을 보였다. 주요 반응산물로는 1,4-naphthoquinon(1,4-NPQ)와 dimer, trimer 등의 소 중합체(oligomers)를 포함하며 특히, 용매추출$(CH_2Cl_2)$ 후 수용액에 잔류하는 친수성 형태의 반응산물은 다양한 분자량의(m/z=$400\sim2000$) 중합체로서 토양 휴믹물질(풀빅산)과 유사한 형태의 UV-Vis 흡광특성을 보였다. 또한, 비 반응성 생성물인 1,4-NPQ는 1-NP 존재 하에서 망간산화물에 의한 교차-결합(cross-coupling)을 통해 중합체로 변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조건(20.5 mg/L, 1-NP, 2.5 g/L $MnO_2$, pH 5)에서 산화-결합 반응에 의한 중합체 형성으로 제거되는 1-NP의 양(mg/L)은 초기농도 대비 약 83%에 해당하며, 이들 중 약 30% 정도는 침전층에서 중류수와 메탄올$(CH_3OH)$에 의해 추출되지 않는 안정화된 형태의 불용성 중합체 생성물로 존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망간산화물에 의한 산화-결합반응이 naphthol 오염토양의 처리에 있어서 소 중합체와 중합체 침전물로의 변환을 통한 오염 저감 및 제거 효과를 나타냄을 제시한다.

아크릴로니트릴이 극성기로 도입된 유화중합 SBR/실리카 컴파운드의 기계적 물성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onitrile Functionalized Emulsion SBR/silica Compounds)

  • 김동원;서병호;김희정;백현종;강종원;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1호
    • /
    • pp.54-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olar 한 silica 와 non-polar 한 고무사이의 친화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SBR 분자 주쇄에 acrylonitrile 을 도입시킨 acrylonitirle functionalized emulsion SBR 의 물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Acrylonitrile의 nitrile group 은 silica 표면의 silanol group 과 H-bond 를 형성할 수 있음으로 polar 한 silica 표면에 흡착되는 가교촉진제를 줄이고 가황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SBR 및 AN-SBR 에 PEG 를 적용한 컴파운드의 경우 PEG 와 silica 표면의 silanol group 과의 상용성이 높아 가교촉진제가 polar 한 silica 표면에 흡착됨을 줄여 가교시간이 단축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적 물성에서 AN-SBR 컴파운드는 SBR 1721 컴파운드 대비 100%, 300%에서 높은 모듈러스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AN-SBR 의 높은 분자량 및 nitrile group 의 도입에 따른 가교도의 상승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동적점탄특성 결과에서 AN-SBR 컴파운드는 SBR 1721 컴파운드 대비 $60^{\circ}C$ 에서 낮은 tan ${\delta}$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nitrile group 과 silica 사이의 친화력에 따른 filler-rubber interaction의 향상에 의해 반복변형에 의한 energy dissipation 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잎으로부터 α-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 Hyperoside와 Isoquercetin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y Compounds, Hyperoside, and Isoquercetin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Leaves)

  • 이기연;홍수영;정혜정;이재형;임상현;허남기;김성문;김희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58-1864
    • /
    • 2014
  • 가시오갈피 잎에 함유된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의 분리를 위하여 가시오갈피 잎 80% 에탄올 추출물을 극성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순차 분획하고 각 분획층을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 EtOAc 층이 68.05%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EtAOc 분획층을 MPLC를 이용하여 fractionation-directed isolation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이 93.60%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EAHC 분획물을 얻었다. EAHC 분획물을 prep-LC/MS로 분석하여 EAHCA와 EAHCB로 분리 정제하였다. EAHCA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hyperoside로 확인되었다. EAHCB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isoquercetin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시오갈피 잎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hyperoside와 isoquercetin은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을 가진 화합물로 향후 혈당조절용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