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양가격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별 아파트 분양권 실태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egion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Ownership Resale)

  • 김선웅;서정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5-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아파트의 거래원인 가운데 하나인 분양권 거래비율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분양권 거래 실태와 지역 간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62개 시 군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특성, 아파트거래 및 분양특성, 주거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아파트 분양권 비율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아파트 매매비율, 분양권 기타 소유권이전 비율, 아파트 거래회전율, 분양물량, 아파트 비율, 인구증가율, 아파트 매매 가격상승률로 나타났다.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에 있어서도 분양권 거래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분양권 기타 소유권이전 건수가 상승할수록 아파트 분양권 거래건수도 상승하였다. 이에 본 결과로 아파트 시장에서 실수요자 중심의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 제도의 개선에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PSM기반 중소도시 주상복합 아파트의 분양가 추정에 관한 연구 (PSM based Price Estimating for Local Mixed-Use Apartment Development)

  • 박재경;조용경;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86-94
    • /
    • 2014
  • 주상복합 아파트는 고급화와 다양한 장점으로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여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왔다. 지방중소도시의 경우에는 선례도 부족하고 성공을 담보할 수 없어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급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현재에는 소득수준이 높아진 지방중소도시에 주상복합 수요가 있으며, 수도권 주택 공급이 포화된 현실에서 새로운 사업으로써 지방중소도시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급 사업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사업성의 타당성 분석을 위한 지방중소도시 주택 시장의 기본적인 자료나 관련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타당성 분석의 기초가 되는 적정 분양가격을 과거 시장가격이 없는 경우에도 적정가격을 추정할 수 있는 PSM 모델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분양가격과, UTP를 통한 가격의 수요 탄력성, 가격결정 요인을 일반 아파트와 주상복합 아파트의 두 경우로 구분하여 각각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OPP 기준으로 봤을 때 주상복합 아파트의 분양가가 일반 아파트의 분양가에 비해 10.8% 높게 추정되었다. UTP도 주상복합 아파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아파트 보다 주상복합 아파트의 가격민감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결정 요인 분석 결과는 일반 아파트와 주상복합 아파트 모두 응답자 연령, 교육수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상복합 아파트의 경우 가족 수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무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분양가 추정 방법의 제시 뿐만 아니라, 지방중소도시에 주상복합 아파트를 공급할 경우 기존의 일반 아파트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분양가를 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수요탄력성이나 가격결정 요인 등의 결과를 주택 상품 기획을 위한 마케팅 분야에도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채권입찰제(債券入札制)와 아파트수요(需要)의 가격탄성치(價格彈性値) 계측(計測)

  • 노기성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1권2호
    • /
    • pp.89-97
    • /
    • 1989
  • 본고(本稿)의 목적(目的)은 현재 우리나라 신규(新規)아파트분양시장(分讓市場)에서 실시되고 있는 가격규제(價格規制), 특히 최고가격제(最高價格制) 채권입찰제(債券入札制) 아래서 수요(需要)의 가격탄성치(價格彈性値)를 계측(計測)해 보는 데 있다. 계측결과(計測結果) 중 흥미로운 것은, 첫째 분양가를 기준으로 계측한 평형별(坪型別) 가격탄성치(價格彈性値)가 대부분이고 2.5~3.5 사이의 수치(數値)를 일관성있게 보여 신규아파트 분양수요가 가격에 대단히 탄력적이고, 둘째 평형별(坪型別) 군별(群別) 신규(新規)아파트 수요(需要)의 가격탄성치(價格彈性値)는 2군(群)이 1군(群)보다 절대값에서 작은 수치를 보여주었으며, 셋째 아파트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절대값으로 표시한 가격탄성치(價格彈性値)가 처음에는 커져다가 점점 작아지는 것으로 보아 수요곡선이 완만한 L형을 나타낼 것이라는 점이다.

  • PDF

재정비촉진사업에서 조합원의 부동산 보유기간에 따른 재정착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Residential Resettlement of Union Members by Real Estate Ownership Duration in Redevelopment Promotion Project)

  • 윤방현;김홍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86-298
    • /
    • 2018
  • 본 연구는 재정비촉진사업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인구, 경제적, 주거환경, 정책적 특성을 고려하여 재정착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조합원 재정착을 제고하기 위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조합원의 부동산보유기간을 조합설립인가를 기준으로 10년 이상과 10년 미만으로 구분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각 그룹별 조합원 재정착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부동산 보유기간 10년 이상인 조합원은 가구주 연령, 이웃과의 관계, 분양가격, 사업지역 내 거주, 부동산 가격상승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정착 결정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보유기간 10년 미만인 조합원은 부동산 가격상승, 분양가격, 용적률 인센티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정착 결정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은 부동산 보유기간에 따른 자산 가치 상승을 고려하고, 경제적 상황을 반영하여 맞춤형 금융지원을 해야 한다.

9월 주택 시장 동향 및 가격 변동

  • 채훈식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7호
    • /
    • pp.46-47
    • /
    • 2006
  • 지난 9월은 판교 청약 열기와 함께 주택을 구입하려는 매매ㆍ전세 수요가 몰려 집값이 강세를 보였다. 택지지구에 분양하는 아파트의 고분양가 논란 등으로 주변의 집값도 함께 오를 것으로 보여 당분간 주택 가격은 강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X-12 ARIMA를 이용한 아파트 원가의 변동분석 및 예측모델 개발 (Time Serie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Forecasting Model in Apartment House Cost Using X-12 ARIMA)

  • 조훈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98-106
    • /
    • 2005
  • 아파트 건설원가 추정지수와 그 예측모델은 아파트 분양가격 변동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건설기 업이 적정이윤을 계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철골 철골조주택 공사비지수를 개선하고, 개선된 지수를 대상으로 X-12 ARIMA 방법에 의한 예측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5년간 노무비를 제외하고 약 33.7%의 아파트 건설 원가상승요인이 발생하였으며, 향후 3년간 16.8%가량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정량적인 연구결과는 최근의 높은 아파트 분양가격의 적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고, 아파트 건설원가의 변동패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파트 프로젝트의 초기 분양률 예측 회귀모델 (A Regression Model for Forecasting the Initial Sales Ratio of Apartment Building Projects)

  • 손승현;김도영;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9-448
    • /
    • 2019
  • 아파트 프로젝트는 사업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분양단가가 결정되고, 분양이 시작된 이후에는 사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양 후 1개월간의 초기분양률이다. 일반적으로 사업주체는 경제상황, 주택시장의 동향, 사업지 인근의 주택가격 등 다양한 자료에 의해 초기분양률을 예측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을 초기분양률과 연계하여 정량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수행된 아파트 프로젝트의 분양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초기분양률 예측 회귀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기존 분양실적자료 수집, 영향요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초기분양률 예측 회귀모델 작성을 진행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파트 프로젝트의 사업성 분석 시 초기 분양률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사업 리스크 모델 개발의 핵심 자료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