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만부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5초

삼음교(三陰交) 자극이 초산부(初産婦)의 분만(分娩) 소요시간과 실혈량(失血量)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San-Yin-Jio(SP-6) pressure on duration of delivery time and quantity of blood loss for primipara)

  • 김우환;김원일;이경희;윤현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82-92
    • /
    • 2003
  • Objective: To appreciate the effect of San-Yin-Jiao(SP-6) pressure on duratof delivery time and quantity of blood loss in order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clinic of San-Yin-Jiao pressure.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are 39 persons who are made up of SP-6 pressure applied(experimental) group 20 persons and to control group 19 perso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frequency, percentage, t-test, $x^2-test$ using SPSS 10.0 WIN Program. Conclusions: San-Yin-Jiao(SP-6) pressure not only make short duration of delivery time, but also decline quantity of blood loss in effect. 1. It could be necessary that the study of the effects of San-Yin-Jio(SP-6) pressure on duration of delivery time and quantity of blood loss for primipara be done repeatedly. 2. It c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is sort of study through free random experimental design in order to generalize this experimental result.

  • PDF

분만의 정상경과에 관한 산전교육이 초임부의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enatal Education about the Normal Course of Labor in Last Trimester of Gestation Influencing the State - Anxiety of Primigravida)

  • 문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9
    • /
    • 1980
  • The purpose of study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tenatal education about the normal course of la-bor in last trimester (pregnancy 36 wks longer ) influencing the State- Anxiety of primigravid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igravia’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ate-Anxie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May 1. to October 20. 1979.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50 primigravidas who visited the out- patient of Department of obstetrics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The method used for the collection of data were Antenatal Education Curriculum made by researcher and State-Anxiety Inventory. The questionnaire of State Anxiety Inventory is made up 20 items. The data was analysed by computer program. The followings are results. 1. There was shown State-Anxiety to to be alleviated by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 0.01) 2.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to State-Anxiety by age and education level. (p > 0.05) 3. In the investigation sample, according to the primigravida's gestation, there was shown State-Anxiety to be increased by closing to the delivery ( p <0.01). There was no relation of State-Anxiety response by age, education level, religion and acceptance of pregnancy. (p >0.05).

  • PDF

HEVC에서 부분복호화를 통한 썸네일 추출 알고리듬 (Fast Thumbnail Extraction Algorithm with Partial Decoding for HEVC)

  • 이원진;정제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31-43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aliasing artifact 없이 영상 품질을 유지하고, 썸네일 생성에 필요한 계산 복잡도를 줄이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고속으로 복호화를 진행하기 위해서 TU(Transform Unit)에서는 $4{\times}4$크기마다 경계부분만을 부분 복호화를 수행하고, PU(Prediction Unit)에서는 TU경계부분만을 부분 복호화 한다. 그리고 화면내 예측 모드 방향에 따른 가중치 값을 구하고, 그 값을 이용해서 실제 썸네일 화소를 예측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방법들과 썸네일 추출시간을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썸네일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기공체조프로그램이 초산부의 불안 및 분만통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Qigong Training Program on the Anxiety and Labor Pain of Primipara)

  • 정순옥;고효정;이은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Qigong training program on the anxiety and labor pains of primipara.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60 primipara who consulted a doctor regularly concerning their antenatal care. Among them, 30 people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30 people were the control group, and were selected as homogeneou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degree of anxiety and labor pains were measur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Graphic Rating Scale(GRS). SPSS WIN 1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Obstetr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homogeneity test of state and trait anxiety were done by both $X^2$ test and t-test. The hypothesis testing was analyzed by ANCOVA with a covariate of pretest value. Result: The first hypothesis, 'Primipara who join the Qigong training program have lower anxiety than those who do not join' was supported (F=28.8, p<.000). The second hypothesis, 'Primipara who join the Qigong training program have lower labor pain than those who do not join' was unsupported.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Qigong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anxiety; however it did not have any effect on relieving labor pain, so mo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later on.

  • PDF

복식호흡이 초산부의 진통 중 불안과 분만소요시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and Labor Time in Primipara Women)

  • 안성은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6-20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and length of labor time in primipara women. Method: It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performed from October 11 to December 4, 2007. Thirty-six subjects who received pitocin and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chosen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the labor room of Y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intervention of abdominal breathing was 'four seconds of inhale, six seconds of exhale breathing method.' The abdominal breathing was carried out 30 times each when the uterine cervix was dilated $3{\sim}4cm$ and $5{\sim}6cm$. Psychological anxiety was measured by VAS-A before and after the cervix dilatation to $3{\sim}4cm$ and $5{\sim}6cm$. Result: Anxie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was found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3{\sim}4cm$(z=-3.05, p=.00) and $5{\sim}6cm$(z=-2.04, p=.04) of cervix dilatation. However, the abdominal breathing was not effective to the length of labor from the active phase thru full dilatation, though there was 56 minutes of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Carrying out the abdominal breathing 30 times at two time points was effective in decreasing anxiety level during labor. Further study is sugges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labor time, fetal heart rate, and uterine contraction.

  • PDF

초임부의 출산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 불안과 분만자신감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imigravida - Focus ed on Anxiety and Labor Efficacy)

  • 김증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5-23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prenatal education programs for anxiety and labor efficacy in third trimester women. Method: The subjects were 95 primigravida who attended a prenatal education program at H and B hospital in Kyounggi province and a health center in Chungbuk province and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rait and state anxiety, and labor efficacy were measured.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mean, and paired t-test. Result: In this study, there was a high level of anxiety in the primigravida. After the program, only state anxie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attendants of the health center. Labor efficacy was a little increased, but this was not significant. Anxiety was increased and labor efficacy was decreased in the attendant of a private hospital. Conclusion: These education programs were not so effective to decrease anxiety and to increase labor efficacy. For on effective program to increase labor efficacy,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prenatal education program content and to revise it to decrease state anxiety closer to delivery. It is necessary to discover why these programs were not effective.

  • PDF

일부지역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s to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of the Pregnant Women)

  • 허아롱;송귀숙;차은종;김경아;손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81-89
    • /
    • 2016
  • 본 연구는 임신부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조사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6월23일~7월30일까지 전라북도 일부지역 임신부 12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Shapiro-Wilk 정규성을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심도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46.5%가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51.2%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응답했고, 57.5%가 자신의 구강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다. 구강건강행태에 따른 삶의 질은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칫솔질 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 치석제거 경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OHIP-14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임신 기간이 길수록, 분만경험이 없고,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행태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신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 Bisphenol A의 양수 내 농도와 임신결과와의 상관관계 (Amniotic Fluid Bisphenol A Level and Its Relationship with Pregnancy Outcomes)

  • 윤정미;권자영;윤용달;김세광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95-100
    • /
    • 2012
  • Bisphenol A(BPA)는 약한 estrogen 활성도를 보이는 화학물질로서 착상 전 배아나 태아에 영향을 미쳐, 출생 후 그들의 신체발달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인체에서 임신 중기에 양수 내 BPA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농도에 따라 임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신 15주에서 20주 사이에 유전학적 적응증으로 양수천자 검사를 시행 받았던 120명의 임신부 양수를 연구대상으로 ELISA 방법으로 농도를 측정하였다. 양수천자의 가장 많은 적응증은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였다. BPA는 모든 양수에서 검출이 가능하였으며, 그 농도는 최저치 0.89 ng/mL부터 최고치 37.13 ng/mL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평균치는 7.24 ng/mL이었다. 양수 내 BPA 농도가 여러 임신결과들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임신부 나이 35세 이상 대 미만, 남자 태아 대 여자 태아, 분만 당시 재태 연령 37주 이상 대 미만, 출생 당시 신생아 체중 2.5 kg 이상 대 미만으로 각각 나누어, 두 군간에 농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임신부를 대상으로 최초로 양수 내 BPA 농도에 관한 보고이다. 본 연구결과 BPA 농도는 임신부 나이나 태아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산이나 저체중아의 발생과도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산전 BPA 노출이 배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우 송아지 이유시기가 증체, 사료섭취량, 질병발생 및 어미소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ning Age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and Reproductive Efficiency of Dams)

  • 권응기;박병기;조영무;한만희;최창용;이명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39-244
    • /
    • 2007
  • 본 연구는 한우 송아지의 이유시기별 발육, 사료섭취량, 질병발생 및 어미소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축은 축산연구소에서 자체 생산된 한우 송아지 60두를 공시하여 이유시기별로 조기이유(EW, 생후 3개월령)와 관행이유(NW, 생후 4개월령)에 각각 29 및 31두씩 배치하여 두 개의 시험구를 두었다. 송아지의 포유기 및 이유후 체중과 일당증체량은 이유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인공유, 목건초,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섭취량도 이유시기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p>0.05). 어미소의 분만간격은 관행이유 시험구에 비해 조기이유 시험구에서 23일 정도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한편 이유시기에 따른 발생 질병의 종류와 발병율은 시험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유시기 단축이 한우 송아지의 성장, 사료섭취량 및 질병 발생에 미치는 부의 영향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어미소의 분만간격을 단축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유부의 식이섭취가 모유의 무기질 및 미량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과 모유의 각 무기질 농도 사이의 상관성 연구 (Influence of Maternal Diet on Mineral and Trace Element Content of Human Milk and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These Milk Constituents)

  • 안홍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6호
    • /
    • pp.772-782
    • /
    • 1993
  • 한국인 수유부 29명에 대하여 분만 후 1주부터 12주까지 5회에 걸쳐서 조사한 식이 섭취량과 같은 기간에 이들로부터 채유한 모든 시료에서 무기질과 미량원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얻어진 자료량과의 관계 및 모유내 각 무기질 농도 사이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인 수유부들의 영양섭취 정도는 개인에 따른 차이가 컸으며 하루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모든 한국 수유부에 대한 영양 권장량에 미달되었다. 성숙유에서 분석된 무기질과 미량원소의 농도분포도 넓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농도가 다른 연구 결과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망간의 몰리브덴을 제외한 다른 미량원소의 함량은 여러나라에서 보고한 농도 범위에 포함되었다. 수유뷰의 열량 섭취량은 모유의 나트륨 농도와 음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단백실 섭취량과 유즙의 아연 및 구리 함량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몰르브덴 농도와는 음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칼슘 섭취량은 모유의 마그네슘 농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인의 섭취는 유즙내 니켈 함량에 영향을 주었다. 비타민 C섭취량은 모유의 철분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구리와는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모유의 5가지 무기질과, 6가지 미량원소에 대한 각각의 농도 사이에서 아래와 같이 17쌍은 p<0.05 수준에서 유의성있는 양의 상관성 보여주었다. 즉, 나트륨 농도와는 칼륨과 철분 ; 칼륨 농도와는 칼슘, 인, 마그네슘, 철분, 구리, 망간, ; 칼슘 농도와는 마그네슘, 철분, 망간, 몰리브덴, 니켈; 마그네슘 농도와는 철분, 몰리브덴 ; 철분 농도와는 아연; 끝으로 니켈 농도와 망간 사이에 상관성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