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리용매

검색결과 1,116건 처리시간 0.032초

오매 추출물에 함유된 Ursolic Acid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의 Urease 활성억제 (Ursolic Acid Isolated from Mume Fructus Inhibits Urease Activity of Helicobacter pylori)

  • 박찬엘;박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5호
    • /
    • pp.591-596
    • /
    • 2013
  • 전통식물한약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한국식물자원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해 선정한 6가지의 식물 한약재(연교, 소목, 형개, 황련, 소엽, 오매)의 에탄올(70%) 추출물 중에서 오매 추출물이 Helicobacter pylori의 urease 활성에 가장 강한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극성이 다른 용매를 사용한 회분식 용매추출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3단계 분리공정을 통하여 오매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분석에 의해 정제된 오매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이 ursolic acid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결과는 오매에 함유된 이 성분이 항생제를 대신하여 H. pylori 제거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녹차에서 카테킨 화합물의 초임계 유제 추출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Catecnin Compounds from Green Tea)

  • 나영진;이윤우;김재덕;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27-331
    • /
    • 2001
  • 전라남도 보성산 녹차로부터 유용성분인 카테킨 화합물을 초임계 이산화 탄소와 첨가제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LiChrospher 100RP-18(15 $\mu$m)로 충진된 column을 이용하여 0.05% phosphoric acid가 포함된 물과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였으며 구배용매 조성법을 적용하였다. 이동상의 조성에 따른 체류인자의 조절을 통해 EGCG를 분리하였다. 각각의 초임계 추출법에 따른 EGCG의 추출량을 비교한 결과, 초임계 유체에 극성물질을 포함하는 경우가 녹차의 유용 성분인 EGCG의 추출량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ethanol에 의한 용매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에 의한 추출법보다 EGCG에 대해 많은 추출양과 선택적인 고순도 분리가 가능하였다.

  • PDF

유리소재의 Pb 및 Cd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tic study on lead and cadmium in glass materials)

  • 최철호;고재권
    • 분석과학
    • /
    • 제20권1호
    • /
    • pp.41-48
    • /
    • 2007
  • 유리소재 중의 미량의 납 및 카드뮴을 Na-DDTC를 가하여 Pb- 및 Cd-DDTC 착물을 형성시켜 유리 matrix 원소들로 부터 분리한 다음 MIBK로 추출하여 ICP-AES로 분석하였다. 유리 기질성분인 Na, Si, Mg 그리고 Ca 화합물 등은 미량의 납 및 카드뮴 정량에 방해작용을 하므로 직접 분석할 수 없으므로 용매추출법에 의해 Pb 및 Cd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Pb 및 Cd 화합물이 첨가된 시험기준 시료와 NIST SRM 1412에 대한 용매추출실험에서 matrix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량하였다.

Hexanoic acid - crown ether system을 이용한 europium과 yttrium의 용매추출효과의 향상 (The synergistic solvent extraction effect of europium and yttrium using the hexanoic acid -crown ether system)

  • 심대선;한혜림;김세미;김정훈;김영운;정노희;강호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39
    • /
    • 2015
  • 용매추출법에서 희토류 금속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추출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crown ether와 같은 첨가제를 이용하는 연구를 하였다. Host-guest 화합물인 macrocyclic ligand는 금속과 착화물을 형성하는데, 이 때 crown ether의 cavity 크기와 비슷한 크기의 금속 이온들과 안정한 착화물을 형성한다. 이전 연구에서 europium과 yttrium을 분리하기 위해 여러 사슬 길이의 지방산 추출제를 이용한 추출실험을 행하였었다. 이를 토대로 분리효율이 좋지 않았던 hexanoic acid에 크기가 다른 crown ether (18-crown-6 ether, 15-crown-5 ether, 12-crown-4 ether)를 첨가하여 분리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hexanoic acid의 농도별로 분리효율을 본 후 가장 분리 효율이 좋은 농도에서 crown ether를 종류와 농도를 다르게 하여 첨가하였다. 그 결과 0.05 M hexanoic acid에서 분리능이 1.7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rown ether를 첨가하였을 시 분리능이 0.002 M 15-crown-5 ether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며 기존의 분리능보다 2배 이상 더 높았다. 또한 crown ether를 첨가하였을 때 두 금속이 $MLR_3{\cdot}3RH$의 형태로 추출되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참비름 추출물에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Amarantus lividus)

  • 오영숙;이신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3-129
    • /
    • 2005
  • 참비름(Amaranthus lividus)의 에탄올 추출물이 6종의 분리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항 미생물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는 8개의 fraction중에서 7번째가 6개의 분리 미생물에 대해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A. sobria CLFM1 은 31mm, S. spp.는 33mm로 가장 큰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활성물질의 순도를 확인하고자 methanol에 용해시킨 시료를 n-hexane : Ethyl acetate(1:1, v/v)용매계로 TLC를 전개시킨 결과 Rf 13.3의 위치에서 단일 spot를 나타내어 활성물질이 대단히 정제되어 있었으며, HPLC로 확인 결과 retention time 3.36에 single peak를 나타내 단일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된 활성물질을 GC-MS(m/z)로 분석한 결과 m/z 222에서 base peak로 나타났으며 이 spectrum으로 NIST library 검색을 실시 한 결과, $C_{12}H_{14}O_4$의 diethyl phtalate로 시사되었다. C-NMR과 1H-NMR을 실시한 결과 참비름에서 분리한 물질은 구조식 C12H14O6인 diethyl phtalate로 동정되었다. 참비름(Amaranthus lividus)의 에탄올 추출물이 6종의 분리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항 미생물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는 8개의 fraction중에서 7번째가 6개의 분리 미생물에 대해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A. sobria CLFM1은 31 mm, S. spp.는 33 mm로 가장 큰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활성물질의 순도를 확인하고자 methanol에 용해시킨 시료를 n-hexane : Ethyl acetate(1:1, v/v)용매계로 TLC를 전개시킨 결과 Rf 13.3의 위치에서 단일 spot를 나타내어 활성물질이 대단히 정제되어 있었으며, HPLC로 확인 결과 retention time 3.36에 single peak를 나타내 단일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된 활성물질을 GC-MS(m/z)로 분석한 결과 m/z 222에서 base peak로 나타났으며 이 spectrum으로 NIST library 검색을 실시 한 결과, $C_{12}H_{14}O_4$의 diethyl phtalate로 시사되었다. C-NMR과 1H-NMR을 실시한 결과 참비름에서 분리한 물질은 구조식 $C_{12}H_{14}O_6$인 diethyl phtalate로 동정되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분리막 제조 및 정삼투 성능 평가 (Preparation of Cellulose Acetate Membrane and Its Evaluation as a Forward Osmosis Membrane)

  • 안혜련;김진홍;권영남
    • 멤브레인
    • /
    • 제24권2호
    • /
    • pp.136-1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를 이용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였으며 분리막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분리막의 염제거율과 정삼투 공정에서의 투과성능 변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각기 다른 염제거율을 가지는 분리막을 제조하고 정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막 투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분리막의 구조가 정삼투 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기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분리막의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정삼투 장치 운전을 통해 투과성능 변화를 알아보았다.

질산 Etching 폐액으로부터 용매추출법에 의한 질산의 회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of Nitric Acid from Spent Nitric Etching Solutions by Solvent Extraction)

  • 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5호
    • /
    • pp.46-51
    • /
    • 1998
  • 질산계 에칭폐액으로부터 질산과 유가금속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하여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질산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내용으로는 추출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질산의 추출거동을 조사하였고, 질산의 추출시 구리, 납, 철, 주석 등의 금속이온들과의 분리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McCabe-Thiele 그림으로부터 질산성분을 추출과 탈거에 필요한 이론적인 단수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TBP가 Alamine336에 비하여 질산의 회수에는 유리하였으며 TBP는 유기상의 60∼70%가 적합하였으며 폐액상의 질산농도가 0.1N 이상인 경우에는 각 금속성분들이 추출되지 않았으며 60%TBP를 사용하여 O/A비가 3인 경우 5단으로 95%이상의 질산이 추출되었다. 한편, 질산이 추출된 유기상으로부터 탈거 실험의 경우 초기농도가 80 g/l일 때 증류수에 의해 O/A비가 2에서 4단으로 98%이상의 탈거율을 나타내었다.

  • PDF

클로스트리디움 싸카로퍼부틸아세토니컴 N1-4주(株)로부터 부타놀 다량생산주(株) OBT 돌연변이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yper-butanol producing OBT7 mutant of 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 N1-4)

  • 안병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38-44
    • /
    • 1993
  • 1) OBT mutant는 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 ATCC 13564(N1-4주(株))로부터 UV light와 butanol tolerance에 의해 분리했다. 동 돌연변이주(株)는 16.46g/l(1.4배 증가)의 부타놀과 4.6g/l(1.5배 증가)의 아세톤을 생산하고 전체 용매는 21.47g/l를 생산했다. 이 결과는 n-butanol을 생산하는 clostridial bacteria에서 error-prone pathway를 통한 misrepair의 약한 효과가 UV light와 butanol tolerance에 의해서 극복되었다는 것을 제시했다. 2) glucose 발효에 비교해서 mannitol 발효에서 OBT mutant는 acetone과 acetic acid는 생산되지 않았다. 전체용매에 대한 n-butanol과 ethanol의 비는 각각 10.3%와 10.6%씩 증가되었고 전체적으로는20.9% 증가된 반면, acetone의 비는 21.2%가 감소되었다. 또한 전체 용매에 대한 n-butanol의 최대비는 94.8%까지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산화합물(acetone, acetic acid, butyric acid)이 환원화합물(n-butanol, ethanol)로 전환된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mannitol은 부산물인 산화합물을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PDF

택사추출물의 성분분리와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Effective Components from the Alisma orientale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 이대우;김영진;김영실;김종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28
    • /
    • 2006
  • 본 연구는 택사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장품의 기능들인 항산화, 미백, 세포 손상 회복 및 항염증과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30, 70, 100% MeOH 용매로 추출한 택사 추출물들은 DPPH법으로 실시한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에서 좋은 활성을 보여주었고, tyrosinase 활성 억제 시험에서도 0.5%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인 활성을 보여주었다. Human fibroblast를 사용한 proliferation assay (MTT assay)에서 각 용매 추출물들은 별다른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고 0.05%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l6 melanocyte를 사용한 melanin 생성 억제시험에서 각 용매별 추출물은 독성으로부터 안전한 0.05% 이하의 농도에서 melanin 생성을 40% 이상 억제하는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후 우리는 택사 추출물의 MPLC분리 분획을 실시하여 세 가지 분획을 얻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세포 손상 회복시험과 melanin생성 억제 시험, 염증인자 생성 억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획물들 중 3번 분획물이 세포 손상 회복을 30% 이상 올려주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melanin 생성 억제 시험과 COX-2 생성억제에서도 주목할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백금 스크랩으로부터 아민산백금용액 제조 및 Soot Oxidation 특성 (Preparation of Platinum Amine Complex Solution from Pt Scrap and its Catalytic Activity of Soot Oxidation)

  • 최승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3호
    • /
    • pp.93-9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백금 폐스크랩을 용해, 용매추출을 통하여 백금족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백금용액을 디젤자동차 배가스 정화촉매용 전구체 용액으로서 제조하고, 그 촉매활성을 실험하였다. 용액화학적 이론 연구를 통하여 백금 화학종의 수용액상 거동을 조사하였고, 화학종들의 존재영역 및 거동을 근거로 추출 및 분리 가능방안을 수립하였다.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폐스크랩을 용해시킴으로써, 용해시간 단축 및 추출효율을 높였으며, 로듐 성분을 분리 제거, TBP에 의한 용매추출, 염산에 의한 탈거 공정을 거쳐 Pt-Chloride-$H_2O$ 계 백금용액을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원료로 액상 아민화 반응을 통해 아민산 백금용액을 제조한 다음, 카본블랙의 연소반응에 대한 촉매 활성을 실험함으로써, 백금족 폐스크랩으로부터 고부가 백금족 화합물의 제조가능성을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