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 긴급성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on Binge Eating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 이슬기;이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12-425
    • /
    • 2022
  •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1명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 증진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폭식행동의 치료에 있어 자기자비의 실제적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충동성이 모바일뱅킹 사용률에 미치는 영향: 신용카드 사용 여부의 조절효과와 SNS 중독의 매개효과 (Impact of impulsiveness on mobile banking usage: Moderating effect of credit card use and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 이유미;남기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3호
    • /
    • pp.113-137
    • /
    • 2021
  • 모바일뱅킹의 성장세 뚜렷한 가능성에 따라 이와 관련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기술적인 요소나 소비자의 이용 의도 및 행동, 만족에 대한 분석으로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20대라는 견고한 고객층을 보유하였음에도 이러한 고객 집단을 특정하여 진행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모바일뱅킹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모바일뱅킹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관점을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의 모바일뱅킹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외부요인 중 충동성, 신용카드사용 여부, SNS 중독을 분석하였다. 충동성의 네 가지 하위요인인 부정긴급성, 긍정긴급성, 계획성부족, 지속성부족과 모바일뱅킹 사용률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여기에 신용카드 사용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충동성의 각 하위요인과 SNS 중독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장애, 몰입 및 내성, 부정정서회피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때 모바일 기반의 SNS 중독이 충동성과 모바일뱅킹 사용률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20대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긴급성은 모바일뱅킹 사용률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용카드 사용 여부는 부정긴급성과 모바일뱅킹 사용률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셋째, 충동성의 하위요인은 모두 SNS 중독의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긴급성 및 SNS 중독, 모바일뱅킹 사용률의 관계에서 총효과와 직접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본 성년후견인의 부정행위와 한국에서의 함의 (Adult Guardian's Misconduct in Japan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

  • 전병주;김건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41-151
    • /
    • 2013
  • 2013년 7월부터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된다. 제도의 시행을 1개월 앞둔 시점에서, 한국에서 최적의 제도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 중에서 일본은 한국과 사회 문화적 유사성이 높고, 성년후견제도의 도입 배경과 전반적인 제도의 운용방식이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본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 중에서 성년후견인에 의한 부정행위는 제도에 대한 신뢰 저하를 초래하고, 제도 정착을 지연시키므로 이에 대한 대응책이 준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에서 성년후견제도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성년후견인의 부정행위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한국에서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가정법원의 조직 인력 확충, 이중적 감독체제 및 긴급선임제도 도입 등의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제교신 효율향상에 대한 고찰

  • 박성우;김성곤;김종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0-202
    • /
    • 2010
  • VTS 업무와 관련 관제교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관제교신의 효율향상 필요성은 대원칙(간단 명료 정확) 개념 이상의 구체적 논의나 연구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제교신의 잘못으로 인한 관제업무의 효율저하 및 이로 인한 사고 위험성을 살펴보고, 관제교신의 실패 원인을 현장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교신 분석을 통해서 개선방안을 찾아보고 교신업무 요령 또는 지침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부정기선의 선용품 보급지 결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cision-making for Articles for the Tramper Ship)

  • 윤석환;박진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4-361
    • /
    • 2020
  • "선용품" 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사용되는 모든 관련 기계적 부속품과 소모성 자재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선박은 원양을 운항하기에 긴급 상황에서 선용품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경우 긴밀하게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부정기선의 경우 더욱 선용품의 보급계획을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적정 보급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각 선주사 및 선박관리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부정기선박의 보급지 결정 시 고려되는 요소와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국가별, 항만별 공급절차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선용품 보급 물류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 정의민감성의 매개효과와 부정긴급성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on Reactive Aggression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 심예린;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429-441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on reactive aggression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victim justice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victimization and aggression.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negative urgency moderates the influ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on reactive agg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a group of 262 children (114 boys and 148 girls) who were fourth to sixth-grade students from 1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Daegu.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ictim justice sensitivity mediated the influ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on reactive aggression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negative urgency moderated the effect of bullying victimization on reactive aggression, whereas the impact of this was greater when the level of negative urgency was high. The results suggest that reactive aggression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effectively decreased by prevent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reducing the level of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negative urgency.

상하수도 유지관리업무를 위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 (Constructed Mobile System for Management affair of Water & sewage Facilities)

  • 이현직;박기석;유지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9-78
    • /
    • 2004
  • NGIS사업의 일환으로 1995년이래 수행중인 지하시설물전산화 사업의 확대시범도시에 포함된 19개 지자체는 2003년 과업종료에 따라 상하수도 중심의 지하시설물 DB를 활용한 지하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의 실질적인 운용에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각 지자체의 상하수도 유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전산화 환경에서 지하시설물 DB의 유지관리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인력 및 관련 기술과 경험부재로 인해 기존의 현장 수작업 방식으로 지하시설물 DB를 유지관리할 경우 자료누락, 오기 및 이기오류, DB의 최근성 확보 등의 문제로 인하여 지하시설물 DB의 품질저하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DB 유지관리 방법론 개발의 선행 연구로 지자체 상하수도 유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현장 작업자의 업무환경을 전산화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현장업무용 모바일장비 활용성 실험과 국내 무선통신 환경분석 및 모바일장비용 GPS수신기 활용성 실험을 수행하여 현장 업무용 모바일 작업 환경을 구축하였다. 지하시설물 DB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방법론 개발에서는 국내 무선통신환경의 제약에 의해 편의상 업무빈도가 높고 정기적으로 수행되는 정상업무에 대해서는 OFF-LINE방식의 DB 수정/갱신 방법론을 개발, 적용하고, 부정기적이나 처리에 시급성이 요망되는 긴급업무에 대해서는 ON-LINE 방식의 DB 수정/갱신 방법론을 개발,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