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적 정보

검색결과 1,274건 처리시간 0.043초

자기노출 요인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Factor on Exposure Behavior of Social Network Service)

  • 권두순;김성준;김정은;정혜인;이기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9-233
    • /
    • 2016
  • 최근 소셜 네트워크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기업의 등장은 빠른 성장세에 있으며,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 출현으로 e-비즈니스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웹(web) 상에서 지인(知人)과의 인간관계를 강화시키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소셜 미디어 영역 중 하나이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이에 따른 수익창출, 미디어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의 인식으로 많은 글로벌 IT기업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장 강력한 소셜 미디어로 인식하고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힘쓰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노출을 다룬 중요한 요인인 프라이버시 침해의 미인식, SNS 사용목적, 개인정보의 중요성 인식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노출행동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특정 행위, 감정적 반응을 기술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 합리적 행위이론 (Theory of Reasoned Action)을 바탕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자기노출에 대한 영향요인이 TRA의 행위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Behavior)로서의 부정적 태도(Negatude),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행위의도(Behavioral intention), 그리고 노출행동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위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Y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총 198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프라이버시 침해 미인식이 부정적 태도. 주관적 규범, 행위의도,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가정된 경로모형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미인식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사용목적이 부정적 태도, 주관적 규범, 행위의도,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개인정보의 중요성 미인식은 주관적 규범, 행위의도,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였으나, 부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부정적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여, 부정적 태도가 낮을수록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행위의도가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기노출 과정을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심리적, 사회적 변인들을 통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각된 정보구조의 효과적 형성을 위한 색공간 네비게이션 시스템 연구 -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위계적 정보구조를 중심으로 - (A Color Navigation System for Effective Perceived Structure: Focused on Hierarchical Menu Structure in Small Display)

  • 경소영;박경욱;박준아;김진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67-180
    • /
    • 2002
  • 작은 화면에서 방대한 규모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정보구조가 잘 조직화되어야 하고, 항해 보조장치가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계적인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지닌 정보공간을 작은 디스플레이 공간(small screen)에서 제시할 때 사용자가 실제 공간 구조차 유사하게 내적 모형(internal model)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어떻게 항해 단서(navigation cue)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을 중심으로 연구내용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색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색공간 개념이 위계구조의 정보공간과 잘 맵핑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정보공간을 위한 색공간은 색상과 톤 개념을 기반으로 정의되었다. 1차 사전 설문조사가 진행되었고, 2차 본 실험을 통해서 색 단서(color cue) 제공이 사용자의 공간구조 이해 및 항해 성과(navigation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는 첫째, 카테고리 구분을 위해 사용된 색상은 정보공간의 개념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항해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톤으로 제공된 정보 깊이에 대한 단서는 정보공간의 개념 이해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항해 성과에도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기술로 마무리하였다.

  • PDF

디지털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행동연구 (College Students'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Digital Behavioral Advertising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 엄남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3-82
    • /
    • 2022
  • 디지털 광고 시장의 성장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행동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결과, 개인정보보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개인, 기업, 그리고 정부 모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 되었다. 대학생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행동들의 수준은 크게 무대응 단계, 소극적 대응단계, 그리고 적극적 대응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는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기업들의 디지털 맞춤형광고 집행 등과 같은 마케팅 활동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보다는 오히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토의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업들에게 개인정보 수집 및 절차에 대한 실무적인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정보보안 스트레서가 정보보안 준수 의도에 미치는 영향: 진성 리더십의 조절 효과 중심 (The Influence on the Information Security Stressor on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on of Authentic Leadership)

  • 황인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01-1112
    • /
    • 2021
  • 정보가 조직의 핵심 관리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조직들은 정보 자산에 대한 침입 및 노출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보보안 정책 및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엄격한 정보 관리를 위한 조직의 규정 및 행동 요구가 많아질수록, 실제 정보보안 정책을 업무에 적용하는 조직원에게는 스트레스를 일으켜 부정적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조건이 긍정적, 부정적 행동 원인으로 작용하는 도전적, 방해적 스트레서가 정보보안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 진성 리더십이 스트레서의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보안 정책을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조직 근로자로 하였으며, 서베이 기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측정 항목의 응답 결과를 확보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을 통해 검증한 결과, 도전적, 방해적 스트레서가 준수 의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진성 리더십이 스트레서의 영향을 조절하였다. 결과는 내부자의 보안 준수 수준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서 조건과 리더의 행동 방향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내부자 정보보안 목표 달성을 위한 구성원 지원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

정보보안 심리적 권한이 업무 스트레스를 통해 정책 저항 완화에 미치는 영향: 공정성 분위기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n the IS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Mitigation of IS Policy Resistance Through IS Role Str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 of IS Justice Climate)

  • 황인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22
  • 내부자의 정보 노출 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면서, 조직 내부의 정보보안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엄격한 정보보안 정책 및 규칙이 조직원에게 적용될 때 정보보안 스트레스와 저항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부자의 정보보안 정책의 부정적 행동 원인과 완화 요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개인(심리적 권한) 및 조직(공정성 분위기) 요인이 어떻게 상호 영향을 주어 부정적 행동을 완화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정보보안 정책을 내부자에게 반영하는 조직의 근로자에게 설문하여 표본을 확보했으며, 구조방정식모델링으로 가설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보안 관련 심리적 권한이 정책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업무 스트레스가 부분 매개 효과를 가졌으며, 공정성 분위기가 심리적 권한의 영향을 강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내부자의 정보보안 정책 저항 감소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므로, 조직 내부의 보안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

정보사회의 역기능과 대응방안

  • 안철수
    • 정보화사회
    • /
    • 통권91호
    • /
    • pp.31-35
    • /
    • 1995
  • 컴퓨터는 어느 틈엔가 우리의 생활 깊숙이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어디를 가나 컴퓨터를 쉽게 볼 수 있으며, TV나 신문에서도 컴퓨터 관련 기사가 나오지 않는 날이 거의 없을 정도가 되었다. 컴퓨터 보급 초창기 때만 해도 컴퓨터로 작업하는 사람을 신기하게 쳐다보곤 했지만, 이제는 그러한 사람들을 더이상 신기하게 쳐다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컴퓨터가 우리 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그 역기능도 점점 커지고 있으며 중요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정보사회의 문제아로 불려지는 해커와 사이버펑크의 정의 및 부정적인 행동 양식, 이들을 만드는 사회환경, 대응 방안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적합성 피드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Multimedia Retrieval using Relevance Feedback)

  • 이팔진;윤보현;최은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101-104
    • /
    • 2002
  • 본 문서에서는 사용자 적합성 피드백을 적용한 멀티미디어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적합성 피드백은 멀티미디어검색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반영할 수 있어 영상의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을 함께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적합성 피드백을 이용하면 적은 횟수의 반복검색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술준비도와 전문지식을 중심으로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based Mobile Banking : On User's Technology Readiness and Expertise)

  • 이지은;신민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55-172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 셀프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인 모바일뱅킹의 소비자 수용 요인을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를 이용자 특성(긍정적 부정적 기술준비도, 전문지식)에서 도출하였으며, 정보기술수용모형 (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기술준비도(Technology Readiness Index)의 혼합 모형인 기술준비도와 수용모형(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Model)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전문지식과 긍정적 부정적 기술준비도가 모바일뱅킹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의 전문지식과 긍정적 기술준비도는 모바일뱅킹의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용자의 부정적 기술 준비도는 인지된 이용용이성에만 영향을 미칠 뿐, 인지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술적 제약조건이 상당부분 해소된 VM 기반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신기술 도입에 관한 이용자 특성을 다룬 연구로써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따라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Multicultural expropriation of University student According to Community Spirit)

  • 우안순;박봉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9-19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차 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대학교에 입학한 1학년 학생 1,336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은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 사이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을 높이고, 긍정적 양육 태도와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지원인식과 고객침묵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rvice Employee Support and Customer Silence in Failure Situation)

  • 김상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56-265
    • /
    • 2020
  • 본 연구는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지원인식이 고객의 부정적 침묵인 방어적 침묵과 체념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 침묵이 고객의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자 한다. 조사대상은 일반소비자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220부이다.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패상황에서 서비스종업원의지원은 고객의 방어적 침묵과 체념적 침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체념적 침묵은 관계유지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방어적 침묵은 관계 유지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념적 침묵은 방어적 침묵보다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체념적 침묵이 방어적 침묵보다 더 좋지 못한 침묵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의 말이 아닌 고객의 침묵을 통해 침묵속에 다양한 동기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고객침묵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 결과, 그리고 이러한 침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고객의 침묵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