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식평가

Search Result 1,169,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원전 중기발생기 전열관 합금의 국부 부식 저항성에 미치는 합금 원소 및 부식 조건의 영향

  • 엄태식;박용수;김영식;정한섭;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117-12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2개사에서 제조된 합금 600 및 합금 690 이음매 없는 관과 진공 유도 용해로 제조한 합금 690 판재에 대하여 부시 환경의 변화에 따른 특성 평가를 행하였다. 부식 평가는 양극 분극 시험을 통하여 행하였으며 부식 환경은 NaCl, HCl, NaOH(+$Na_2$SO$_4$) 용액 및 Cu$^{+}$/Cl$^{-}$ SO$_4$$^{2-}$ 용액이었다. 합금 600 및 합금 690의 양극 분극 저항성을 부식 환경에 따라 평가한 결과, 부식 용액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분극 거동을 보이고 있으며, 합금 690의 저항성이 합금 600의 저항성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가성 용액 중에 $Na_2$SO$_4$를 첨가할 경우 부식 속도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한편 Mo이 첨가되지 않은 합금 690M0의 경우는 Cl$^{-}$ SO$_4$$^{2-}$ 비가 증가할수록 공식 저항성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나, Mo이 첨가된 합금 690M2의 경우는 시험한 전체 비율에서 이온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합금 690의 공식 저항성에 Mo이 매우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침식부식으로 인한 원전 2차측 배관의 잔여수명 예측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황경모;노희영;진태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717-722
    • /
    • 1996
  • 원자력 발전소 2차측 배관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침식부식 현상을 예측/감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특정 원전 2차 계통의 전 부분을 망라하여 실제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현장에서 초음파검사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시스템으로 평가한 침식부식률을 실제 측정으로 산출한 침식부식률과 비교해 본 결과, 오차 100% 이내에 포함되는 부위가 92%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시스템은 침식부식 이론 및 관련 변수들로부터 단상 및 2상유체 배관의 침식부식률과 ASME 코드 및 BS 코드의 허용기준에 따른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으며, 침식부식으로 인한 배관의 두께가 최소허용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국부 배관감육평가를 수행 할 수 있는 시스템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 PDF

Non Destructive Technique for Steel Corrosion Detection Using Heat Induction and IR Thermography (열유도 장치와 적외선 열화상을 이용한 철근부식탐지 비파괴 평가기법)

  • Kwon, Seung Jun;Park, Sang S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6 no.2
    • /
    • pp.40-48
    • /
    • 2012
  • Steel corrosion in concrete is a main cause of deterioration and early failure of concrete structures. A novel integration of electromagnetic heat induction and infrared (IR) thermography is proposed for nondestructive detection of steel corrosion in concrete, by taking advantage of the difference in thermal characteristics of corroded and non-corroded steel. This paper focuses o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concept. An inductive heater is developed to remotely heat the embedded steel from concrete surface, which is integrated with an IR camera. Concrete samples with different cover depths are prepared. Each sample is embedded with a single rebar in the middle, resulting an identical cover depth from the front and the back surfaces, which enable heat induction from one surface and IR imaging from the other simultaneously. The impressed current (IC) method is adopted to induce accelerated corrosion on the rebar. IR video images are recorded during the entire heating and cooling periods. The test results demonstrate a clear difference in thermal characteristics between corroded and non-corroded samples. The corroded sample shows higher rates of heating and cooling than those of the non-corroded sample. This study demonstrates a potential for nondestructive detection of rebar corrosion in concrete.

The Corrosivity Evaluations on Soil Surrounding the Buried Steel Piles under Manufacturing Plants (플랜트 하부의 강파일 인접 토양의 부식성 평가)

  • Jung, Sungwon;Park, Kyeong-Wan;Jeon, Jae-Young
    • Plant Journal
    • /
    • v.12 no.1
    • /
    • pp.37-43
    • /
    • 2016
  • The corrosivity evaluations on soil surrounding the buried steel piles under manufacturing plants. It was proven that the soil structure of this sample area is composed of several soil layers, and that each layer show the different corrosivity. The predicted average corrosion rates of some layers are about 0.33mm/y, which is over than the general corrosion rate, 0.01-0.02mm/y.

  • PDF

원전 2차측 배관의 침식부식 수명 평가시스템

  • 황경모;진태은;김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951-956
    • /
    • 1995
  • 원자력 발전소 2차측 배관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침식부식현상을 예측/감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시스템은 침식부식 이론 및 관련 변수들로부터 단상 및 2상유체 배관의 침식부식률과 ASME Code의 허용기준에 따른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Prototype의 평가시스템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특정호기의 2차측 배관들 중에서 침식부식에 특히 민감한 T-형 및 L-형 배관을 선택한 후 시스템화시켜 검토하였다.

  • PDF

HCP Evaluation Considering Property of Cement Mortar and Steel Corrosion (건조 상태의 시멘트 모르타르 특성과 철근 부식량을 고려한 HCP 평가)

  • Ryu, Hwa-Sung;Yoon, Yong-Sik;Kwon, Se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5 no.2
    • /
    • pp.113-120
    • /
    • 2017
  • HCP(Half Cell Potential) method has been widely used since it is recognized as a efficient NDT(Non Destructive Technique) for corrosion detection. This work is for an evaluation of relation between corrosion amount and measured HCP in dried condition through ICM(Impressed Current Method) for accelerating corrosion. For the work, cement mortar specimens with three w/c ratios and four cover depths are prepared, and corrosion test based on ICM is performed for 6 hours, 18 hour, and 42 hours with constant 20V of electrical charge, respectively. From the test, corrosion amount increases with reduced cover depth, increasing w/c ratio, and extended corrosion period, where corrosion amount is evaluated to linearly increases with measured HCP in dried condition. In order to evaluate corrosion amount through measured HCP, the measured HCP level is firstly determined and then corrosion amount is to be compared with measured HCP, which is evaluated to be more reasonable with higher C.O.V.

Assessment of External and Internal Corrosion Growth Rate for Metallic Water Pipes (상수도 금속관의 외면과 내면 부식속도 평가에 관한 연구)

  • Bae, Chulho;Kim, Juhwan;Kim, Jeonghyun;Hong, S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1
    • /
    • pp.17-25
    • /
    • 2008
  • In this study, external and internal pit growth rate model and external non-linear regression corrosion model were proposed by measuring pit depths and evaluating various soil factors known to contribute to the corrosion for metallic water pipes. Average pit depths of external and internal for metallic water pipes were measured 1.38 mm and 2.13 mm, and internal pit growth rate also fasted twice than external pit growth rate. This means the corrosion potential of water quality was higher than soil. The corelation between external corrosion rate and each soil corrosion factor was low. However, proposed external non-linear regression corrosion model considering all soil corrosion factors showed a little higher correlation ($R^2=0.46$) than conventional model.

  • PDF

차세대원전 일차계통 방사화 부식생성물 평가 연구

  • 송민철;이건재;한병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380-385
    • /
    • 1998
  • 원전 발전의 초기단계에서는 작업자 회폭의 대부분이 핵연료 파손에 외한 피폭이었으며, 부식생성물의 방사화에 의한 피폭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재료 가공 처리 기술의 진보에 의해 핵연료 파손물이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부식 생성물의 축적에 의한 작업자 피폭이 해결해야할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여러 가지 자료들을 통해 작업자 피폭이 부식 생성물의 이동 메카니즘들에 의해 일어남이 밝혀지고 ICRP 권장 작업자 피폭 제한치가 연간 5rem 에서 2rem 으로 피폭 하향 조정됨에 따라 부식 생성물의 제어와 계측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OTRAN을 이용해 차세대 원전 1차계통내 부식 생성물 평가를 하였다. 특히 여러인자중 pH, 재질 및 제염 등을 고려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corrosion resistance for various coated steel sheets by different types of corrosion test method (내식성 코팅 강재의 부식시험 종류 별 내식성 비교 평가)

  • Park, Jae-Hyeok;Hwang, Seong-Hwa;Park, Jun-Mu;Eom, Jin-Hwan;Yun, Yong-Seop;Lee, M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3-163
    • /
    • 2017
  • 철강재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성질도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철강재는 부식 환경에 취약하기 때문에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내식성을 부여하는 표면처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철강재에 대한 내식성 표면처리로는 용융아연도금(HDG)과 용융알루미늄도금(HDA)이 우수한 내식성과 다양한 특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아연과 알루미늄을 접목시킨 갈바륨(GL)도금 또한 우수한 내식성 코팅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 용융아연도금에 알루미늄(Al) 과 마그네슘(Mg)을 첨가한 3원계 도금강판이 개발되어 기존 용융도금강판 대비 고내식 코팅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적용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강판소재의 내식성 평가에 대해서는 실제 사용할 환경에 폭로하여 비교-시험 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신뢰도가 높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경우에 따라 수년에서 수십년에 이르는 장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이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각종 가속적 부식 시험들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즉, 그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염수분무(SST), 침지(Immersion) 및 전기화학적 분극(Polarization) 등 실내에서 부식 시험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부식 가속 시험들은 실제 외부에서 폭로 시험한 결과와의 상관성이 불명확한 경우가 많아 종종 해석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 시험 방법들은 동일 재료를 시험하더라도 시험방법의 차이에 따라 부식요인이나 해석방법이 다르므로 인해 그 내식성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시험목적에 따라 전기화학적 분극 또는 임피던스 분광법(EIS)과 건조 및 습윤 등의 부식 환경 인자들을 적용한 복합부식시험(CCT) 방법은 근사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시험 또한 실제 부식 환경과는 여러 환경 및 요인들이 다르기 때문에 그 시험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시험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어 해석-평가 하기에 종종 곤란을 갖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재현성이 우수하고 실제 부식 환경을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는 내식성 시험과 해석-평가에 대한 내용이 주요한 과제로 사료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내식성 코팅 강판소재들에 대하여 염수분무(SST), 복합부식(CCT), 갈바닉 시험, EIS 시험을 통하여 부식시험 종류 및 시험 환경, 코팅 소재 별 부식경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부식 진행과정에서는 미세구조관찰(SEM), 결정구조 분석(XRD) 및 원소조성 분석(EPMA)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 따른 강판소재들의 부식경향을 비교-평가하고, 실제 환경과의 상관성 및 가속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Corrosion of the HFC-125 fire extinguishing agent for Metal and Non-Ferrous Metal (HFC-125 소화약제의 금속 및 비철금속 부식성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Chang-Woo;Ham, Eun-Gu;Yoo, Ju-Yeol;Seo, Sang-Hun;Kim, Gin-Sung;Cho, Y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71-27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오존층 파괴 및 지구 온난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를 대체하여 개발된 청정소화약제인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Halocarbon clean agent)의 열분해 생성물(thermal decomposition products)의 영향에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인 HFC-125가 화원 크기의 변화에 따른 열분해 생성물의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소화시험을 실시하였고 금속(철), 비철금속(구리), 유리 시편의 부식성과 전자부품(SD-Card) 작동여부를 평가 하였다. 금속 및 비철금속 시편의 부식성을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고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채도(saturation)를 측정하여 부식성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금속, 비철금소, 유리 시편의 부식성 분석 결과, 화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금속 및 비철금속의 부식성이 증가하였다. 즉, 화원의 크기(fire size)에 따라 열분해 생성물질도 증가하여 금속 및 비철금속의 부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