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참여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1초

중·고등학생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교육참여가 자녀의 생활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iddle·High School Parent's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 Education on Child's Life Competency)

  • 임소진;전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23-13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인지하는 자녀생활역량을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 교육참여가 자녀생활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가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2013년 4월 기준, 대전광역시 소재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협조공문을 보내, 설문지를 이메일로 전달하였고, 2013년 12월 10일부터 20일 사이 회수된 설문지 중,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총 8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및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고, 변인들의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모형분석과 경로의 직 간접효과를 분석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생활역량 및 관련 변인들의 높은 상관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경로모형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교육참여가 자녀생활역량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학부모효능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나, 부모교육참여에 따라 자녀생활역량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생활 역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정교육학계에서의 정책적 대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아랍에미레이트 장애아동 부모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 (Parents' Perceptions of the Music Therapy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d in the United Arab Emirates)

  • 강이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1호
    • /
    • pp.63-7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부모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아랍에미레이트 샤르자에서 음악치료 경험이 있는 장애아를 둔 부모이다. 참여자 모집은 장애아동치료기관의 동의를 획득한 후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여 장애아동 음악치료의 현황, 프로그램 실태, 부모의 참여 경험, 만족도와 기대하는 바에 대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회수된 최종 33개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부모 만족도는 음악치료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부모의 장애아동 음악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자녀의 음악치료 세션에 직접 참여해본 경험이나 관찰 경험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세션 경험이나 관찰 경험이 있는 보호자들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음악치료에 기대하는 것에 대해 부모 대상 음악치료 경험 44.4%에 기대하는 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악치료 기본지식 36% 등 음악치료에 대한 지식면에서도 학부모들이 도움을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아동 음악치료에서의 만족도와 기대하는 바를 파악함으로써 수혜아동 부모의 의견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 관계: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Parental Efficacy on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According to Family Type and School Level)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1-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구조적 관계의 차별적인 특징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2,497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t검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조손 가정보다는 양부모 가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보다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의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가 되었다. 셋째, 가족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 유형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경로 모두 한부모/조손 가정보다 양부모 가정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급에 따른 경로계수 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초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중/고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학부모의 교육 참여가 부모 및 자녀 특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동친화적인 지역사회에 대한 부모와 아동관계자의 인식 비교 - A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Assessment of Child Friendly Cities by Parents and Child Service Providers in Selected Local Government)

  • 김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49-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부모와 아동관계자의 아동권리보장실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아동친화도시를 구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한 기초자치단체에서 실시된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놀이, 지역사회 참여, 보건 및 사회서비스, 안전, 교육환경, 주거 부분에서의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6개 영역중 교육환경과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잘 보장되고, 지역사회참여는 덜 보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관계자들은 아동친화적 지역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에 있어 더 부정적이었고, 부모는 참여권과 같은 제도적/문화적 환경에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아동친화도시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 중 물리적 환경은 아동관계자의 기준을 참조하고, 제도문화적 환경은 부모의 기준을 참조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의사결정구조에 아동, 부모, 아동관계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장애유형별 학교기업 융합에 대한 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s' Recognition of School Enterprise Convergence by Type of Disability)

  • 김우호;서보준;이재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89-9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형별 학교기업 융합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D, K, S지역 특수학교 재학생을 둔 150명의 부모가 최종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은 자녀들의 전문 직업능력 개발 및 취업률 증대와 지역사회 산업체에서 의뢰한 물품 생산 공급방식을 가장 선호하였고 해당 직종의 전문직 교육과정 마련과 직업 기초 능력교육에 대해 학습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부모들은 실습 시간과 방과 후 활동 참여와 고등학교 과정 2, 3 학년 희망 학생 모두 선발되기를 원하였고 참여 교사에 대한 보상으로는 수업시수나 업무 등 적절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장애학생유형별 학교기업 융합에 있어 통합교육과정활동에 적극적인 부모참여와 장애등급별 다양한 사업종목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의 가족건강성, 의사소통능력과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Family Forest Education Program on Family Strengths, Communication, and Parenting Efficacy)

  • 최선혜;하시연;이윤주;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33-340
    • /
    • 2020
  • 본 연구는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가족의 건강성과 의사소통 능력,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횡성숲체원에서 1박 2일로 진행된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총 175명(부모 103명, 자녀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참여자들의 일반적인 사항, 참여 동기 및 만족도, 가족건강성, 의사소통, 부모효능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및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자녀의 가족건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건강성과 관련이 높은 요인인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효능감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진행 목적에 맞게 가족의 건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가족의 건강성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통해 추후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근거로 활용하고, 산림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고하여 산림교육의 혜택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

대전 일부 지역 장애아동어머니의 우울수준 및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arent efficacy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ome areas of Daejeon)

  • 김미란;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303-313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우울수준과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로 지적장애아동의 어머니와 뇌병변장애 어머니의 우울수준을 비교했으며, 두 집단에 모두 가벼운 우울상태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두 집단의 부모효능감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효능감 관계에서 가족수와 자조 모임 참여여부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적장애아동 어머니 중에서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경우가 참여하지 않은 경우보다 부모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뇌병변장애 아동 어머니 중에서 자조모임에 참여하지 않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우울수준과 효능감의 상관관계에서는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효능감을 하위유형인 좌절감과 관심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좌절감은 낮고,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축구선수역할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ticipation Sports of Parents on Soccer Player Role Socialization)

  • 송강영;김홍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23-430
    • /
    • 2011
  • 본 연구는 부모가 축구선수역할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부모의 운동 참가, 관심, 권유, 태도에 따른 축구선수역할사회화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전국의 축구부가 있는 대학교의 축구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최종 149명을 선정,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는<부모가 축구선수역할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지로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본 질문지의 신뢰도 검증 결과 .8847~.730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분석방법은 일원변량분석 및 회귀분석이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운동참여 정도에 따라 팀내 지위가 차이가 있다. 둘째, 부모의 운동참여 정도에 따라 팀 포지션이 차이가 있다. 셋째, 부모의 운동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축구선수의 입상경력 많다.

청소년부모 양육지원가의 양육지원서비스 제공 경험 (A study on experience of childcare service providers for adolescent parents)

  • 김지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35-451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부모 양육지원서비스에서 핵심 열쇠가 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의 실천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청소년부모 양육지원가의 역할과 역량을 조명하고 서비스 제도화와 운영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체계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양육지원서비스에 참여한 양육지원전문가 3명을 심층면접하고 이들의 사례 일지 기록을 수집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6개의 범주와 2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양육지원서비스 참여 경험에 관한 6개의 범주는 "양육지원서비스 참여 동기", "제공된 서비스 주요 내용", "청소년부모와의 관계 형성 노력", "청소년부모에 대한 인식 확장",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 양육 위기에 있는 청소년부모를 지원하는 양육지원서비스의 내용과 운영과 관련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구조적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problematic behavior Depend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 Sport activity after School class)

  • 장봉우;김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47-35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주 C지역 초등 5-6학년 189명을 유층표집 하여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SPSS 18.0을 이용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개선(성취동기, 자신감, 자긍심 등)시키고, 문제행동(우울, 불안, 반항, 공격성 등)을 감소시켰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부정적인 소통(핀잔, 잔소리, 힐책 등)은 줄어든 반면, 문제행동 감소에도 영향을 주었다. 향후 아동의 정서적 인간적으로 제기되는 심리적 탄력성 신장을 위해서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의 가치를 종목별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