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자원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4초

중년기 부모와 기혼 자녀 간 상호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도구적 자원을 중심으로 (Resource Transfers between Middle-Aged Parents and Their Married Children)

  • 김영순;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2호
    • /
    • pp.143-16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s on resource transfers between middle-aged parents and their married children. This study used 2009 data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garding inter-generational resource transfers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kfr-2009-c00010). A sample of 1208 households of middle-aged parents with married children was used. The study found that parents provided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to their married children in the following circumstances: where parents received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where the household income of parents was high, where the children were younger, and where the children were male. Parents provid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to their married children in the following circumstances: where parents receiv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where the gender of children was female, where the children were employed, where married children had their own children who were either younger than a preschooler, and where household incomes of married children were high. Parents received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in these circumstances: where their emotional ties with their children was high, where the household income of the parents was low, where the household income of the married children was high, and where married children had preschoolers. The circumstances in which parents receiv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ir married children were where parents provided instrumental resource transfers and the household incomes of married children were high.

세대간 이전: 자녀의 부모부양이 부모의 상속결정에 미치는 영향 (Intergenerational Transfers: The Influence of Children's Support for Parent on Parents' Bequest Decisions)

  • 김순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1호
    • /
    • pp.19-44
    • /
    • 2017
  •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major concern due to low birth rates and aging society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children's support for parent regarding parents' decision to bequest, including the influences of parental characteristics, household-related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data are the 5th wave of KReIS, a sample of 1,834 married household heads(HHs), which were classified into 142 baby boomers (1955-1963), 534 post-liberation HHs (1945-1954), and 1,158 Japanese-era HHs (-194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9.3% of baby boomer HHs, 59.2% of post-liberation HHs, and 59.1% of Japanese-era HHs, were willing to make bequest decision. Second, in the baby boomer HHs, although the children's contact with their parents represented an emotional resource transfer, a child's economic resource transfer to his/her parents did not affect the parents' bequest decisions. However, in the post- liberation HHs, children's contact with parents, and economic resource transfe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addition, in the Japanese-era HHs, only children's contact with their parents was a significant variable. Third, in the baby boomer HH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parents' bequest decisions were household financial assets and having a daughter rather than having son and daughter. However, the variables that heavily influenced bequest decisions of the post-liberation HHs were the presence of a spouse, home ownership, household expenditures,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the Japanese-era HH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parents' bequest decisions were home ownership, household expenditures, and household financial assets.

배우자간 의사결정력에 따른 노부모로의 시간자원 이전 (Time Resource Transfers of Married Couples to Their Parents on Decision-Making Power)

  • 윤원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83-102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부양에 관한 부부간 의사결정 과정에서 부양의 주체인 여성 배우자의 의사결정 파워가 실제 노인부양참여를 위한 결정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미국내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2002년 HRS(Health and Retirement Study)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배우자 양쪽의 부모로부터 동시에 부양의 역할이 요구되었을 때 부부간 교섭력(Bargaining Power)을 대표할 수 있는 여성의 경제력과 교육수준이 부양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항 로짓 분석 (Multinomial Logit) 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부부의 노부모 부양결정은 부부간 교섭력 보다는 양쪽 부모의 상대적 건강상태, 재정상태, 그리고 간호를 위한 대체 인적자원의 여부등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남성과는 다르게, 여성의 연령과 노동참여는 여성 자신의 노부모 부양결정에 결코 부적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또한 양쪽 부모로 부터 동시에 부양참여가 요구되었을때 성인자녀가족의 부양결정은 같은 조건이라면 여성배우자쪽 부모의 부양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배우자 선택시 여성의 개인적 자원과 부모관련 자원이 초기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ersonal and Parental Resources of Women on the Early Marital Satisfaction)

  • 장은영;유지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2호
    • /
    • pp.127-14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hange resources when women choose their spouse, and their marital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ose resources. For this, women under marriage of less than five years were subjected,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difference of the couple, and were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and parental resources when choosing their spouse on the early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and parental resources for each age difference of the married couple didn't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in general. Second, it is show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ach age difference group that there is no particular meaningful difference. Finally,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change resources, the personal resources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value field in case of having the same religion. In case both the husband and wife were the second child or young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tual action field than there was when they were both first-born. In the emotional and the mutual action field of marital satisfaction,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een when the couple had the same kind of jobs than when wives had upper level jobs. Concerning the parental resources,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he mutual action field of the marital satisfaction when the parents of the both sides had the same level of scholastic attainment.

  • PDF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한 연구: 가족자원 등을 중심으로 (Study on Resources That Influence Drop - Out Teenage Children's Choices on School Reentry: Central Focus on Family Resources)

  • 윤나나;박정윤;박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1호
    • /
    • pp.27-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해 살펴보고자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총 5차년도 2,553명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2년 7월 이후 정규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을 검증하기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의 가족자원을 비롯하여 개인의 심리·정서자원 및 사회관계자원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t-test와 교차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자원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이사횟수였다. 둘째,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자원은 우울, 충동성과 함께 학업을 중단한 현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정도가 낮고 우리 사회가 학력에 대한 차별이 심하다고 지각하는 점이 학교복귀 선택에 작용하였다. 셋째, 가족자원으로는 가족형태와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경제적 지지 측면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움을 주는 사회관계자원으로서 멘토 여부가 사회자원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가족자원을 밝혀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지지적인 가족자원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이용한 분석 (An Exploration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 Focus on the Relationship with Trust)

  • 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5-32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의 발전에 기초가 되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에 관해서 2004년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에 의해서 구축된 전 국민 대상 기부 및 자원봉사 인터뷰 서베이 자료를 기초로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검증된 바인 신뢰가 기부 및 자원봉사의 예측요인이라는 사실에 더해서, 그 반대적 관계 역시 실증적으로 검증될 수 있음을 밝힌다. 기존의 실증적 연구결과 및 Putnam(1993)의 논의에 기반해서 본 연구는 쌍방적 관계의 모형을 구성한 후,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가 신뢰에서 기부 및 자원봉사로 이어지는 일방적인(unilateral) 것만이 아니라 그 반대적 관계도 존재하는 쌍방적인(bilateral) 것임을 밝힌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자선행동의 사회화 효과 및 세대간 전승 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시절의 기부 및 자원봉사 교육의 영향력 그리고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의 영향력 역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는 선순환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기부 및 자원봉사의 촉진을 위해서 신뢰의 우선적 구축도 중요할 수 있으나 동시에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에 참여케 하는 것 역시 신뢰의 구축을 위해서 매우 효율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논의한다. 아울러서 자선행동의 사회화 및 세대간 전승 효과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 등에 관해서 논의한다.

  • PDF

청소년의 인적 자원에 따른 인터넷 중독 경향성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ir Human Resources)

  • 송금숙;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개인적 자원인 자기통제력,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시간관리능력, 또 대인적 자원인 부모지지, 또래지지 그리고 교사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 경향성의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 영역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기통제력, 문제해결능력이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관리능력이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지지, 교사지지가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지지가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소년의 인터넷 오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영역에서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는 자기통제력, 부모지지 순으로, 청소년의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영역에서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는 또래지지, 자기통제력 순으로, 청소년의 대인관계 문제 영역에서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는 자기통제력, 또래지지 순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족특성이 초기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의 차이 (Effects of family characteristics on the work-life balance of youth in early adolescence: differences between fifth and eighth graders)

  • 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91-112
    • /
    • 2021
  • 본 연구는 가족 특성이 초기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의 일생활 균형에 가족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을 기초생활 균형, 방과후 학습시간 균형, 여가시간 균형으로 구분하였고, 상대적 시간부족 개념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일생활 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패널자료의 2차 조사(2019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손위형제자매 유무, 부모의 건강상태, 가구소득,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 대화시간, 어머니의 직종 등 청소년의 가족특성은 청소년의 다양한 생활영역 균형에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가족특성은 중학교 2학년보다 초등학교 5학년의 일생활 균형에 유의미한 영향요인들로 더 많이 나타났다. 초기 청소년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특성은 부모의 건강상태와 가구소득이었고, 초등학교 5학년의 수면시간에는 어머니의 직종이, 중학교 2학년의 수면시간에는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다. 아침식사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특성은 가구소득, 부모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직종이었다.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부모의 거부적인 양육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학원과외시간이 3시간 이상인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직종은 초등학교 5학년의 학원과외시간 과다와 관련이 있었다. 독서시간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지지 성향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전업주부인 경우와 비교하여 관리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 독서시간이 부족한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낮았다. 어머니의 직종은 휴대폰놀이시간과도 관련이 있었는데, 특히 초등학교 5학년은 전업주부인 어머니와 비교하여 사무직, 판매서비스직, 기계기능직에 종사하는 어머니의 자녀가 휴대폰놀이시간 과다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초기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을 증진하기 위해서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이 확대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생활균형을 지지할 수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건강한 가정환경 조성을 위한 적극적인 가족정책 시행을 제안하였다.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on Marriage Intention among Never Married Men and Women)

  • 임선영;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3호
    • /
    • pp.177-193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on marriage intention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never marri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00 never-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s. The participants were chosen via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results are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both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provided factors by par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median. Subjects had higher scores than the median score in regards to marriage intention, indicating that they had a greater intention to marry.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on marriage intention. As a result, age, the need of marriage and gender-role attitudes prevalent in family values, and the economic resources among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rriage intention. Thus, the older the age of the subjects, the more traditional the view of marriage and gender-role attitudes, and the greater the amount of economic resources provided by parents, the greater the subjects' intention to marry.

여고생의 자원동원성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ful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 황란희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2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fulness an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17 high school girls on S girls' high school.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computer program that includes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18.0 years old. The mean score of resourcefulness was 114.2. The most frequently practiced resourcefulness item was "By changing my way of thinking, I am often able to change my feelings about almost anything". The next most frequently practiced resourcefulness item was "My self-esteem increases when I am able to overcome a bad habi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sourcefulness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115.2. The group whose concerns over health was shown high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health education class group was shown high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ourceful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promising evidence to construct further studies on the increas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programs relating to high school girls. To increase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high school girl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or possibly expand on exist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