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ntergenerational Transfers: The Influence of Children's Support for Parent on Parents' Bequest Decisions  

Kim, Soon-Mi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onsumers' Life Inform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1, no.1, 2017 , pp. 19-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major concern due to low birth rates and aging society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children's support for parent regarding parents' decision to bequest, including the influences of parental characteristics, household-related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data are the 5th wave of KReIS, a sample of 1,834 married household heads(HHs), which were classified into 142 baby boomers (1955-1963), 534 post-liberation HHs (1945-1954), and 1,158 Japanese-era HHs (-194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9.3% of baby boomer HHs, 59.2% of post-liberation HHs, and 59.1% of Japanese-era HHs, were willing to make bequest decision. Second, in the baby boomer HHs, although the children's contact with their parents represented an emotional resource transfer, a child's economic resource transfer to his/her parents did not affect the parents' bequest decisions. However, in the post- liberation HHs, children's contact with parents, and economic resource transfe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addition, in the Japanese-era HHs, only children's contact with their parents was a significant variable. Third, in the baby boomer HH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parents' bequest decisions were household financial assets and having a daughter rather than having son and daughter. However, the variables that heavily influenced bequest decisions of the post-liberation HHs were the presence of a spouse, home ownership, household expenditures,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the Japanese-era HH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parents' bequest decisions were home ownership, household expenditures, and household financial assets.
Keywords
intergenerational transfers; parental decision to bequest; children's support for par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석기(2016). 노후를 대비한 상속과 증여설계. 행복한 부자연구, 5(1), 27-43, 행복한 부자학회.
2 강성호(2013). 연령통합의 관점에서 경제적 자원의 세대간 이전 -세대간 형평성 관점에서 본 공적연금 개선 방향-. 2차 고령사회포럼, 37-5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령화연구센터.
3 강소랑.최은영(2016).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간 비교분석: 가계자산, 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2(2). 1-30, 한국사회보장학회.
4 강유진(2012). 단독가구노인의 재산상속의식과 관련요인: 개인특성과 세대관계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3(2), 145-162,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DOI
5 고선강(2005).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87-195. 한국가정관리학회.
6 고선강(2013). 중년기 가정의 자산과 3세대 간 경제자원 이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31-144, 한국가정관리학회.   DOI
7 구본천(2015). 상속과 유산세를 고려한 가계의 최적 투자 선택.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상용.김주수(2010). 주석민법 친족(3). 서울: 한국사법행정학회.
9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한국가정관리학회.
10 김영순(2013). 기혼 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용진(2013). 유산상속 의향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주택연구, 21(3), 79-99, 한국주택학회.
12 김은정(2013). 노후 자산 처분 및 상속을 둘러싼 세대 갈등.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5, 165-175, 한국가정관리학회.
13 김주수.김상용(2013). 친족상속법. 서울: 법문사.
14 김주영.유승동(2016). 주택점유의 세대간 이전성. 감정평가학 논집, 15(1), 1-10, 한국감정평가학회.
15 김현식.황선재(2013). 자녀동거가 유산상속 선호형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성별 효과에 관한 종단적 분석. 보건사회연구, 33(4), 72-104, 보건사회연구원.
16 김현식.황선재 김윤희(2012).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유산상속 동기변화 전망과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12-47-11.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김혜경(2008). 노인의 유산상속과 사회적 지원. 한국노년학, 28(2), 309-323, 한국노년학회.
18 문영소.김양희(1999). 한국가족의 재산상속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157-171, 한국가정관리학회.
19 박동섭(2013). 친족상속법. 서울: 박영사.
20 박민지.왕동.정미화.이희숙(2014). 대학생의 노부모부양 및 재산상속에 대한 태도. 생활과학연구논총, 18(1), 185-197.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1 배희선(2008). 중․노년기 가계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자원이전의 이전시기와 이전여부: 증여와 상속을 중심으로. Financial Planning Review, 1(1), 47-79, 한국FP학회.
22 석재은(2014).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 '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 66(1), 221-249, 한국사회복지학회.
23 신종협(2016). Are Poor People More Sensitive to Bequest Motives in Building Portfolios? 시장경제연구, 45(1), 1-31, 서강대학교 시장경제연구소.
24 신화용.조병은.Walker, A. J.(1997).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노부모부양과 재산상속의식: 한국과 미국의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1-12, 한국가정관리학회.
25 오건호(2011). 오건호의 복지富동 -장수가 행복인 사회, 국민연금 개혁으로-, 한겨레21. http://h21.hani.co.kr/arti/COLUMN/143/30312.html.
26 오윤희(2016). 노인가구의 경제활동과 이전소득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 -노인가구유형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경희(2014). 자(子)에 대한 부모의 부양의무의 법적 근거. 법학연구, 24(1), 201-230,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8 이기영(2012).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세대간 소득이전. 재정학연구, 5(1), 135-162, 한국재정학회.
29 이은희.김경자.이성림.유현정.차경욱.이영애.이준영(2015).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22(2). 197-227. 소비자정책교육학회.
30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한국가정관리학회.   DOI
31 이정읍.김명자(2001).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재산상속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151-165, 한국가정관리학회.
32 이학식.임지훈(2015). SPSS 22 매뉴얼. 서울: 집현재.
33 정동호(2012). 경인지역 대학생의 재산상속에 관한 의식성향 -상속법제의 현실적합성 검증을 위한 서론-. 가족법연구, 26(3), 439-464, 한국가족법학회.
34 정지영.양세정(2013). 경제적 은퇴준비행동의 영향요인: 세대간 자산이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99-21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35 조병은(2003). 노모부양과 재산상속에 대한 한국인과 재미교포의 비교: 피부양모와 부양며느리/딸의 비교, 한국노년학, 23(3), 161-176. 한국노년학회.
36 조추용(2004). 노인이 가족에게 기대하는 부양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71-99, 한국노인복지학회.
37 통계청의 사회조사(2015).
38 하석철(2016). 모(母)와 성인자녀 간 장기적 호혜 관계 연구: 세대 간 돌봄 행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하석철.홍경준(2012). 부양 경험이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양동기에 따른 자녀동거 기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3), 181-209.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허경옥.유수현(2014). 부모의 경제자원이전과 상속이 가계경제구조, 재무구조,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Financial Planning Review, 7(2), 95-120. 한국FP학회.
41 홍공숙.김순미.김연정(1995). 미국노인의 유산상속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2), 45-55, 한국가정관리학회.
42 홍두승(2004). 사회조사분석(3판). 서울: 다산출판사.
43 네이버사전. http://dic.naver.com/
44 홍두승.서우석.이기홍.이지연(2005). 한국인의 직업의식 구조: 예비적 고찰.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5 황남희(2012). 비시장노동과 세대간 이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6 Power, A.(2010). Landscapes of Car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Family Caregiving. Burlington, VT: Ashgate.
47 머니투데이(2016.09.14.) 부모 많이 찾아 뵌 효자, 재산분할 때 웃는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91300194644028
48 한경Business[big story] (2016.06.07.). 부모.자녀의 상속 '동상이몽'.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50&aid=0000041096&sid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