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on Marriage Intention among Never Married Men and Women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Im, Sun 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enary) ;
  • Park, Ju-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임선영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7.01
  • Accepted : 2014.08.16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on marriage intention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never marri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00 never-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s. The participants were chosen via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results are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both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provided factors by par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median. Subjects had higher scores than the median score in regards to marriage intention, indicating that they had a greater intention to marry.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amily values, and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on marriage intention. As a result, age, the need of marriage and gender-role attitudes prevalent in family values, and the economic resources among the resource factors provided by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rriage intention. Thus, the older the age of the subjects, the more traditional the view of marriage and gender-role attitudes, and the greater the amount of economic resources provided by parents, the greater the subjects' intention to marry.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1).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정자원경영학회지, 16(2), 103-121.
  2.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3. 김경신(1998). 가족가치관의세대별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59.
  4. 김두섭.차승은.천희란.송유진.김정석(2007). 저출산 및 인구고령화 대응연구: 저출산 사회의 결혼: 자녀양육과 가족생활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5. 김승권(2003). 저출산의 원인과 안정화 대책. 보건복지포럼, 86,6-21.
  6. 김영순(2013). 기혼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개 변인으로-. 성신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정석(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 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8. 김태현.임선영(2005).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세대와 성인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85-109.
  9. 김태길(1996). 과학 기술의 발달과 가치관의 빈곤. 과학과 현실, 28, 185-190.
  10.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11.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35.
  12. 문선희(2012).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연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5-25.
  13. 박혜인(1991). 한국 농촌가족의 부부관계에 대한 가족 발달적 접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 109-123.
  14. 서지희(2009). 미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생활양식이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 동거 여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울시 정보화기획단(2012). 통계로 본 서울 남성의 삶. 서울시 통계웹진, 61.
  16. 여성부(2003).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 가족보고서(미간행). 여성부.
  17. 옥선화(1984). 가정학연구의 최신정보II. 서울 : 교문사.
  18. 유홍준.현성민(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19. 윤영효(1994). 시집안간 여자? 시집 못간여자! . 서울: 삼진기획.
  20. 은기수(1995).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 규범과 순서규범. 한국인구학회지, 18(1), 89-117.
  21. 은기수(1999).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생애사건연쇄분석. 한국인구학, 22(2), 47-71.
  22.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 최근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에 갖는 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 복지포럼. 102, 25-35.
  23. 이만우.김시광.김란영(2012). 부모에 대한 경제적 의존과 자녀의 만혼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이삼식(1993). 한국인의 혼인형태 변화 분석. 한국인구학, 16(2), 84-110.
  25.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9.
  26. 이삼식(2010). 2010년도 저출산 대응 정책의 과제와 전망. 보건복지포럼, 159, 66-73.
  27. 이삼식.정윤선.김희경(2005). 2005년도 전국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이상준(2007). 독신 여성의 여가 동기, 문화 그리고 만족의 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수진(2005).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5(1), 131-156.
  30. 이영분.최희정.이용우.이화영(2009). 한국사회의 '부모의존 독신성인'에 관한 기초연구: 규모, 관련요인 및 가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연구보고서.
  31. 임정빈.지영숙.문숙재.이기영.이연숙(1994). 가정관리학. 서울 : 학지사
  32. 장혜경.김혜영.김혜경.송혜림.윤흥식.이진숙.진미정.김영란.선보영(2005). 가족 정책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여성가족부.
  33.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34. 최재석(1983).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서울: 일지사
  35. 통계청(2010). 2009 혼인통계결과. 통계청
  36. 통계청(2012). 2011년 혼인이혼 통계. 최근 30년간 초혼초록 자료. 통계청.
  37. 한경혜(1993).산업화와 결혼연령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가족전략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 24, 103-120.
  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0).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보건복지가족부.
  40. 홍은영(2011). 미혼성인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Anderson Kathryn H., M. Anne Hill, & J.S. Butler.(1987). Age at marriage in Malaysia.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26, 223-234. https://doi.org/10.1016/0304-3878(87)90027-7
  42. Becker, S. G.(1973). A theory of marriage 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4), 813-846. https://doi.org/10.1086/260084
  43. Deacon, R. E. & Firebaugh, F. M.(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Boston: Allyn and Bacon, Inc.
  44. Goldscheider F. K & C. Goldscheider(1999). The changing transition to adulthood. SAGE.
  45. Lee, S. S., Jung, Y. S., Kim, H. G., Choi, E. Y., Park, S. G., Cho, N. H., Shin, I. C., Do, S. R., Cho, S. G. & Gang, J. H.(2006). A survey on the marital and ferility trends in 2005. Unpublished manuscript, 14(1), 1-45.
  46. Sassler, S. & Schoen, R.(1999) The Effects of Attitudes and Economic Activity o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147-159. https://doi.org/10.2307/353890
  47. South, S. J.(2001). The variabl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the timing of first marriage; United States, 1969-1993. Social Science Research, 30, 606-626. https://doi.org/10.1006/ssre.2001.0714
  48. Stein, P. J.(1981), Single life: Unmarried Adults in Social Context, St Martin's Press, New York.
  49. Thornton, A., W. Axinn, & J. Teachman(1995).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xperiences on cohabitation and marriage in early adulthood.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762-774. https://doi.org/10.2307/2096321
  50. 釜野さおり(2004). 身女性の結婚意欲と出産意欲.目依子.西岡八編. 少子化のジエンダ 分析. 勁草書房, 107-123.
  51. 山田 昌弘(1999). バラサイトシングル時代. ちくま新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