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ir Human Resources

청소년의 인적 자원에 따른 인터넷 중독 경향성

  • Song, Keum-Soo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Yoon-Ok (Dept. of Home Econom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ir human resources which is composed of personal resources and interpersonal resour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6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alysis of data were done with the use of frequency. percentage, meat factor analysis, and MANOVA with the Scheffe test appli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resources such as self-control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time management ability.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ir interpersonal resources such as parents-support, peer-support, and teacher-suppor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개인적 자원인 자기통제력,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시간관리능력, 또 대인적 자원인 부모지지, 또래지지 그리고 교사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 경향성의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 영역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기통제력, 문제해결능력이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관리능력이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지지, 교사지지가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지지가 높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소년의 인터넷 오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영역에서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는 자기통제력, 부모지지 순으로, 청소년의 학업 및 일상생활문제 영역에서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는 또래지지, 자기통제력 순으로, 청소년의 대인관계 문제 영역에서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는 자기통제력, 또래지지 순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