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Perfectionism, Acade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 조소희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1호
    • /
    • pp.43-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학생들이 받는 학업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 지역에 있는 고등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의 평균을 중심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높게 지각하는 상집단(평균이상)과 낮게 지각하는 하집단(평균이하)의 삶의 만족도와 학업스트레스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t-test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의 평균을 중심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높게 지각하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삶의 만족도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가족·친척관계, 자아감·일반적인 삶, 친구·대인관계, 주거환경, 신체·정신건강, 의·식·경제정도, 여가활동, 학업·하루일과 이렇게 총 8개의 하위요인에 대하여 하집단이 상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시험성적 스트레스, 과제 스트레스, 학습내용 스트레스, 학원 스트레스 이렇게 총 4개의 하위변인 중 시험성적과 학습스트레스는 상집단의 스트레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였을 때 상집단의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높았으며 이로 인해 삶의 만족도 역시 같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s' Raising Attitudes, Mental Health on Multidmensional Perfectionism University Students)

  • 장성화;구승신;이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97-80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전과 서울 지역에 소재한 4개의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변인들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어머니의 애정,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편집증만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상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 애정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적대감이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거부,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적대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거부, 애정태도, 대학생의 적대감과 편집증은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거부적, 애정태도가 높을수록, 적대감, 편집증이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research among maternal propensity for perfection and child misbehavior)

  • 변상해;유영순;정정순;윤연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4권2호
    • /
    • pp.73-88
    • /
    • 2009
  • 본 연구는 유아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예방책을 찾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주시에 거주하는 만 3-5세사이의 유아와 어머니 400쌍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용된 통계기법은 T-TEST, 회귀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에 차이가 있었고, 유아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완벽주의 하위유형에 따라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 유아의 문제행동 중에서 우울과 불안, 공격성, 외현화 문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영재아의 개인 및 부모 변인이 완벽주의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Perfectionism of the Gifted Children)

  • 최영은;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25-3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perfectionism of gifted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113 gifted children who were taking a special educational program at D academy of Gifted Education, located in the city of Taegu. They were in the 5th and 6th grades at elementary school.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Perfectionism Scale, Achievement Goal Scale, and Parenting Behavior Sca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did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nx, grade,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parent's perfectionism.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5) Achievement goal affected perfectionism.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liefs on Preschooler's Socal Competence)

  • 박영애;김리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3-199
    • /
    • 2014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완벽주의적 성향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7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어머니의 완벽주의는 보통 수준으로 나왔고, 양육신념은 비교적 높게 나왔다.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높은 기준설정은 학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보통 수준으로 나왔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전체적으로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 중 애정표현은 남아보다 여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완벽주의 중 높은 기준설정은 긍정적으로, 실패의 두려움은 부정적으로, 양육신념 중 창의능력에 대한 신념은 긍정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었고, 어머니 변인들은 유아 사회적 능력 전체 변량의 22.8%를 설명하였다. 이는 어머니가 높은 기준설정을 통한 완벽추구 성향이 높고, 실패의 두려움과 관련된 완벽주의가 적고, 유아의 창의능력 촉진에 대한 신념이 강할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함양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의 관계 (Relations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Eating Disorder i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홍고은;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79-388
    • /
    • 2016
  •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은 처해진 상황과 추구하는 목표가 달라서 종류가 다른 스트레스를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섭식장애는 Garner(1990)의 Eating Disorder Inventory-2(EDI -2)를 이임순(1998)이 번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의 측정은 Frost 등(1990)의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를 현진원이 번역한 것에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일부 표현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218명의 무용전공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50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32부를 제외한 최종 218부를 가지고 SPSS 21.0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학력과 오래된 경력을 가진 무용학생일수록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차원적 완벽주의(실수에 대한 염려, 개인의 기준, 부모의 기대)는 무용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섭식장애의 발생과 유지에 주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면, 높은 학력과 오래된 경력을 가진 무용학생들은 무용수행에서 오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왜곡된 신체상의 심리적 압박감을 받아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올바른 체중조절 방안과 섭식장애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판 PI(Perfectionism Inventory)의 타당화 연구: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fectionism Inventory (PI) for Gifted Students)

  • 윤소영;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749-76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Hill 등(2004)에 의해 개발된 PI(Perfectionism Inventory)의 한국판 타당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인천지역 소재 과학고등학교 학생 167명과 동일 지역 교육 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육대상자인 중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평가적 완벽추구', '지각된 부모의 압력', '계획성', '뛰어나려는 노력', '타인에 대한 높은 기대', '조직화'의 6요인 구조가 산출되었는데, 이는 원척도의 8개 하위요인 구조를 지지하지 않는 결과이다. 연구결과, 각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는 .78~.92 사이로 양호한 편이었고, 전체 척도의 내적합치도 역시 .93으로 신뢰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chi}^2=1257.618$ (df=792, p=.00), TLI=.903, CFI=.911, RMSEA=.047로 나타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국판 PI는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영재의 특성과 한국문화를 반영한 완벽주의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여 이를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완벽주의 성향은 영재들이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특성 중의 하나임을 고려할 때 PI가 향후 영재들에게 보다 적합하고 타당한 완벽주의 측정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음악영재의 완벽주의 및 스트레스가 합리적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Stress of Musically Gifted on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 이미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21-241
    • /
    • 2012
  • 본 연구는 음악영재의 학년수준에 따른 완벽주의, 스트레스, 그리고 진로결정 유형을 조사하고자, 예술 중학교에 재학 중인 음악영재를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ewitt & Flett, 1991), 청소년 스트레스 척도(이정순, 1988), 그리고 진로결정 척도(Harren, 1984)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영재의 학년수준에 따라 완벽주의 하위 요인에서- 자기지향, 타인지향, 그리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음악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역시 학년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음악영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발전,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점차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중학교에 재학 중인 음악영재의 진로결정 유형에 미치는 학년수준의 효과는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과 과도적 진로결정 유형에서만 나타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은 증가하나 과도적 진로결정 유형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음악영재의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에 미치는 완벽주의와 스트레스의 영향을 조사하였을 때,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기발전 스트레스 요인만 합리적 진로결정 유형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특징과 반응을 근거로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향후 상담 및 진로지도를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부모양육태도 및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to Parenting Attitude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희영;오현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01-30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to parenting attitude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9(male 171; female 178) 8th graders. Participants completed 1) a brief demographic data questionnaire, b) the Parenting Attitude Inventory, 3)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and 4)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total sample and by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perfectionism.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counseling practice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