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와 의사소통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5초

부모 사후 장애자녀의 미래계획은 있는가?: 장애자녀를 가진 부모의 미래 주거지 및 보호자 계획을 중심으로 (Preparing for the Futu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parents' plans of residence and guardia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the death of a parent -)

  • 정은혜;김미옥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251-277
    • /
    • 2017
  • 이 연구는 최근 탈시설화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시설입소 의향에 대한 미래계획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시설입소를 예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은 장애자녀, 가족, 사회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서 미래계획은주거지 및 보호자로 구분하여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장애인의 부모사후 '미래 주거지 계획'에서는 장애인의 의사소통수행능력이 높을수록 미래의 주거지로서 시설입소를 선택할 의향이낮아졌으며, 가족의 긍정성이 높고 양육부담이 낮을수록 부모사후 시설입소 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부모 사후 '미래 보호자계획' 또한 장애인의 의사소통수행능력이높을수록, 가족의 긍정성이 높을수록 부모 사후 시설입소에 대한 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자녀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의 긍정성이 부모사후 시설입소를 결정하는데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서, 시설입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함을알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사회 요인은 부모 사후 미래계획에 대한 유의도가 낮은 것으로나타났으나, 변수구성 등의 한계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부모 사후, 장애자녀의 주거지 및 보호자에 대한 미래계획의 중요성과 시설입소예방을 위한사회복지적 함의를 논의하고 있다.

한국 의사 소통 장애 아동의 기질 특성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정유숙;홍성도;김이영;이수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43-49
    • /
    • 1999
  • 연구 목적:소아를 다루는 임상의들에게 관찰되는 가장 흔한 발달상의 문제 중 하나는 언어 지연이다. 언어 발달은 주변 환경의 자극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환경과의 상호 작용에는 아동 자신의 기질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질 연구의 가설에 의하면 아동의 고유한 행동 양식은 상당 부분 타고난 것이며, 이것이 향후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동의 기질과 언어 지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치 않아,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에서 어떤 기질 특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방 법:환자군은 DSM-IV 진단 기준에 의해 의사 소통 장애라고 진단되고, 전반적 발달 장애, 정신 지체, 언어 운동 장애 혹은 감각 장애를 갖지 않은 세 살에서 일곱 살 사이의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고 정상대조군은 상기 장애를 갖지 않는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에게 한국판 '부모 기질 설문(Parental Temperamental Questionnaire)'을 완성하도록 하여 기질을 측정하였다. 기질의 9가지 범주 및 요인 A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통계법을 사용하였으며, 아동들의 기질 진단을 비교하기 위하여 Chi-square통계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에서 정상 아동들에 비해 기분의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반응의 강도의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기질 진단 면에서는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양육 곤란형에 가까운 집단에 더 많이 포함되었다. 결 론:이와 같은 결과는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에 특징적인 기질 양상이 있음을 시사한다. 기질양상의 조기 발견은 부모들에게 의사 소통 장애 아동들의 발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 정서지능 및 부모화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 김정민;이유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3호
    • /
    • pp.13-26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7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ronbach's $\alpha$,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i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ed by grade,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differ by grade. 2)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regulation of emotion, expression of emotion, practice of emotion, recognition of emotion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3) The recognition of emotio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practice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4) Emotional intelligence played a partia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Effectivenes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 전미경;이은주;유난숙;왕석순;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1-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대상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 충남, 광주 지역 중 고등학교에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육", "아버지됨의 이해 교육", "자기 이해를 통한 부모됨의 준비교육"을 주제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자기기입식 사전 사후 조사를 통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97명의 설문지를 빈도 분석, 백분율, 대응표본 t검증,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정규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사전 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일시적이고 한시적인 예비부모교육 운영보다는 청소년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학교급별 정기적인 예비부모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이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 이유로 '양육 부담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예비부모교육에서 양육기술과 정보를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은 사전 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만큼 예비부모교육 참여를 통해서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됨의 이해 교육" 참여자들은 성역할의 변화가 없었지만,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육" 참여자들은 의사소통 인식의 변화가 유의미하였고, "자기이해를 통한 부모됨의 준비교육" 참여자들도 자아존중감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부모교육의 효과성이 검증된 바, 공교육에서 유일하게 예비부모교육을 담당하는 가정교과가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Types of Mothers and Communication Types of Children's)

  • 김용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74-481
    • /
    • 2009
  •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과 유아의사소통 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모교육의 제반 정보를 제공하고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 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1.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들이다. 이들에게 성인애착측정도구와 유아 의사소통유형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애착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유형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하위요인별 분석에서는 의존성과 부정적 의사소통유형, 불안성과 긍정적 의사소통유형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을 토대로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중 불안성이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지역 중학생의 섭식장애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김계하;양경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5-6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ere were 267 adolescents taken as participants from two middle schools in rural area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05, using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questionnaire (23 item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10 items for open family communication, 10 items for problem in family communication). The SPSS Win version 12.0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mean score on the eating disorder was 2.74 (range: 1-6). Meanwhile, the mean scores o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3.37 (range: 1-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s according to gender, age, negativ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body weight, family's perception of obesity, diet experiences, and BMI. Eating disord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order to prevent an eating disorder,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s well.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ental-adolescent Communication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 김유정;이은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6-33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Method: A total of 154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high school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 to 18, 2015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r=.35, p<.001), and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r=.22, p=.006).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 (r=-.23, p=.004), and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r=-.17, p=.039).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rograms on academic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is required.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와 아동의 인터넷 중독경향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in Children)

  • 김연화;정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03-114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on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The subjects were 6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Daejeon city. Cronbach's $\alpha$,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were employed in analyzing the data by using SPSS 10.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were more addicted to internet use than the girls, as were the children of less educated parents. The children of parents with professional careers were less addicted to the internet. The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school achievements as low were more addicted to the internet. Second, the children who spent more time daily, longer time at once and more frequently per weekly internet use were more addicted. Third, internet addiction was influenced tv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Boys who had more problem communications with their parents less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and a lower level of peer support were more addicted to the internet.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and conflict in their peer relationship had more influence on the internet addiction of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