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한국 의사 소통 장애 아동의 기질 특성

  • Joung, Yoo-Sook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ung-Do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E-Yong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Soo-Geun (Lee Soo-Geun's Neuropsychiatric Clinic)
  • 정유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소아청소년정신분과) ;
  • 홍성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소아청소년정신분과) ;
  • 김이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이수근 (부산 이수근 신경정신과의원)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Objectives:One of the most common developmental problems is communication disorder in which a child appears normal in every way but who has failed to begin speaking or speaks very little.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Methods:The parents of 20 Korea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the parents of 50 normal control children, the age of both groups ranges from 3 to 7, completed Korean version of Parental Temperamental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omas and Chess. Children with a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mental retardation, or speech-motor or sensory deficit were excluded. The scores of each temperamental scale of two groups and the diagnostic clusters of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The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characterized by lower mood scores and higher intensity of reaction scores than normal controls.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erms of the temperamental diagnostic clusters. Conclusion:This findings suggest the existence of a distinct temperamental profile of the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Early detection of the profile may be of great value for parents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in providing appropriate parenting approaches.

연구 목적:소아를 다루는 임상의들에게 관찰되는 가장 흔한 발달상의 문제 중 하나는 언어 지연이다. 언어 발달은 주변 환경의 자극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환경과의 상호 작용에는 아동 자신의 기질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질 연구의 가설에 의하면 아동의 고유한 행동 양식은 상당 부분 타고난 것이며, 이것이 향후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동의 기질과 언어 지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치 않아,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에서 어떤 기질 특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방 법:환자군은 DSM-IV 진단 기준에 의해 의사 소통 장애라고 진단되고, 전반적 발달 장애, 정신 지체, 언어 운동 장애 혹은 감각 장애를 갖지 않은 세 살에서 일곱 살 사이의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고 정상대조군은 상기 장애를 갖지 않는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에게 한국판 '부모 기질 설문(Parental Temperamental Questionnaire)'을 완성하도록 하여 기질을 측정하였다. 기질의 9가지 범주 및 요인 A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통계법을 사용하였으며, 아동들의 기질 진단을 비교하기 위하여 Chi-square통계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에서 정상 아동들에 비해 기분의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반응의 강도의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기질 진단 면에서는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양육 곤란형에 가까운 집단에 더 많이 포함되었다. 결 론:이와 같은 결과는 의사 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들에 특징적인 기질 양상이 있음을 시사한다. 기질양상의 조기 발견은 부모들에게 의사 소통 장애 아동들의 발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