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기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35초

영유아 학대예방 관련 부모교육 및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실태 (State of Parent Education and of Child Education at Home Related to Infant/Preschooler Abuse Prevention)

  • 성영화;이숙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146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들이 경험한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한 부모교육 실태 및 가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녀교육실태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거주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302명의 부모들이며, 연구결과는 부모들이 응답한 설문지의 내용을 빈도분석하거나 카이검증을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부모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12.6%로, 네 가지의 학대 유형 각각에 대해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아교육과 관련한 기관에서, 아동학대 및 유아교육관련 전문가에 의해 교육을 받았으며, 받은 교육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자녀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자녀에게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부모들은 25.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학대와 학대 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에서는 영아기부터 학대예방교육을 시작하고, 일상에서 수시로, 주로 대화를 통해서 교육을 실시한다고 부모들은 응답하였다. 부모들은 학대와 관련한 자료의 부족으로 가정에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른 가정에서의 자녀의 학대예방교육 실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 바로 연계하고, 쉽게 활용 가능한 학대예방교육 매뉴얼의 개발과 방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활성화에 대해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arent-Child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Adolescents)

  • 박정윤;유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9-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가족생활교육의 이론과 청소년의 요구도를 근거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부모 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와 나, 이대로 좋은가? - 세대의 벽을 넘어서" 프로그램은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 인식, 부모에 대한 이해,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H 여자 고등학교에서 주 1회씩 5회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프로그램은 사전,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참여한 학생들은 중년기 부모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감정을 이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훈련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 PDF

부모통찰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 자녀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al Insight on Parenting Behavior -focusing on the mother of middle school students)

  • 강상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433-4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양육행동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밝혀진 주요한 변인들 외에 부모통찰의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양육행동과 부모통찰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부모통찰 외에 과거 아동기 경험(지각된 부모양육행동, 원가족 건강성), 현재 삶에서의 양육 관련 경험(결혼만족도, 부모 역할만족도)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았다.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0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투입된 변인들 모두 양육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부모통찰은 양육행동 하위요인들 중 과보호를 제외한 애정, 거부 통제, 독립성 지향 행동에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령기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요인 (Parent-related factors affecting obesity and overweight in school-aged children)

  • 류현숙;조인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23-2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학령기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408명과 부모로 아동과 부모의 비만정도, 비만관련 특성, 식습관, 운동습관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x^2-test$, t-test, ANOVA 및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버지 체질량지수 OR=1.265(95% CI: 1.133-1.412, p< .001), 어머니의 체질량지수 OR=1.214(95% CI: 1.077-1.368, p= .001), 아동의 식습관 OR=0.953(95% CI: .909- .998, p= .042), TV 시청시간 OR=1.385(95% CI: 1.113-1.725, p= .004), 경제상태 OR=0.132(95% CI: .026- .676, p= .015)로 나타났다. 아동의 비만은 부모의 유전적 요인, 식습관 및 생활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해서는 아동은 물론 가족의 동기부여와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참여유도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장애아 부모의 언어치료실 선택속성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in Speech Therapy Center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김선;홍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44-45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장애아동의 부모들이 언어치료실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선택속성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데 있었다. 자료는 예비조사, 계층분석용(AHP) 설문지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그리고 계층 분석용 2차 조사의 3단계 절차를 통해 수집되었다. 총 대상자의 수는 252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들이 언어치료실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상위속성들 간의 우선순위는 '치료사 속성', '프로그램 속성', '물리적 속성' 순이었으며, 하위속성들 중에서는 '치료사의 학력과 전공', '유대관계 형성능력', '경력 및 자격증 급수', '친절성과 신뢰성' 그리고 '부모상담' 순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냈다. 둘째, 연령집단별로 학령전기와 학령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6세 이하의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들은 '치료사의 경력 및 자격증급수', '부모상담', '교재교구의 다양성'을 각 상위속성별로 가장 중요한 하위속성으로 선택한 반면, 학령기 아동의 부모들은 '치료사의 학력 및 전공', '언어치료 비용', '거리 교통 주차'를 각각 최우선 순위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장애아동 부모들의 언어치료실 선택속성들을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청년의 인식 (Young Adults′Perceptions of Meanings and Motivations of Parenthood)

  • 유계숙;정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3호
    • /
    • pp.39-47
    • /
    • 2002
  • This study analyses young adults'perceptions of the meanings and motivations of parenthood. It also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s and motivations of parenthood by young adults. The sample population included 311 university students. Our findings show that young adults perceived parenthood variously as a personal lifestyle, and as an statement of social maturation and sound mind and of marital satisf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gender in their perceptions on the meaning of parenthood. As for the motivation to become parents, strengthening biological family ties, traditional norms, emotional and altruistic reasons, deepening marital bonds, and perpetuating one's self through the passing on of genes. Among these, altruistic-emotional motivation and marital cohesion were stronger than other motivations. Finally, we provid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미혼 성인의 부모신념형성에 관한 연구: 아동기 내적 표상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arental beliefs of the unmarried : Focused on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childhood and communication of one's parents)

  • 김연하;정민자;김양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21-5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parental beliefs. For this study, 154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fill in a packet of survey questionnaire about parental beliefs,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childhood,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PC program. It was reported that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parenting formed in childhood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rational authoritative beliefs, distancing beliefs, and direct authoritative beliefs. Also, the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ffected the distancing beliefs and rational authoritative beliefs.

  • PDF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행태가 자녀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역 초등학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Mothers' consum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influences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in kyungpook province)

  • 서재화;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행태가 초등학생 자녀의 식행동-식습관, 식품 기호도 및 섭취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12명과 그들의 부모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SAS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신뢰도 검증, 교차분석, t-test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행태가 자녀의 식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에 대한 부모의 선호도, 섭취빈도, 긍정적인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공식품을 구매할 때 부모가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도 합리적인 소비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자녀의 가공식품에 대한 기호도 및 섭취빈도 역시 부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가공식품 기호도가 높은 집단의 자녀가 씨리얼류(p<.05), 패스트푸드(p<.001), 탄산음료(p<.001)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며, 부모의 가공식품 섭취빈도가 높은 집단의 자녀가 탄산음료(p<.05)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다. 특히, 자녀의 가공식품 섭취빈도는 부모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는데, 부모의 가공식품에 대한 기호도 및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자녀가 과일류(p<.001)와 유제품류(p<.05)는 적게 섭취하는 반면, 씨리얼류(p<.001), 면류(p<.001), 분식류(p<.01), 과자류(p<.001), 탄산음료(p<.01), 패스트푸드(p<.01)는 더 자주 섭취하였다. 본 연구결과들은 부모의 가공식품 소비 행태가 자녀들의 식습관, 식품 기호도 및 섭취빈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들의 현명한 식품선택과 소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령기 어린이들의 건강한 식생활과 합리적인 식품선택을 위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적응능력지각과의 관계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ADJUSTMEN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WITH AUTISTIC CHILDREN)

  • 김태련;박랑규;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106-116
    • /
    • 1992
  • 자폐아동을 치료교육하는 데 있어 부모의 치료협력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는 가운데, 특히 부모가 갖는 아동능력에 대한 지각은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동부모와 정상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 영역을 비교하고, 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적응능력 지각관계를 자폐아동 부모와 교사평가간의 비교를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자폐아동부모 27쌍, 정상아동부모 28쌍, 교사 4명이며, 부모양육 스트레스척도, 아이버그 아동행동척도, 아동기 자폐행동척도, 사회성숙도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양육스트레스정도는 자폐아동부모군이 정상아동 부모군보다 현저히 높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에서는 자폐아동의 부가 정서와 요구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자폐아동의 모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의 부모영역에서는 자폐아동부모가 정상아동부모보다 역할제한, 애착, 능력감면에서 스트레스가 훨씬 높았으며, 우울영역을 제외하고 두집단 모두 모가 더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넷째, 자폐아동부모의 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능력지각에서 스트레스가 낮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보다 아동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의 평가와 일치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