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적응능력지각과의 관계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ADJUSTMEN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WITH AUTISTIC CHILDREN

  • 김태련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타) ;
  • 박랑규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타) ;
  • 이경숙 (이화여자대학교 언어청각임상센타)
  • 발행 : 1992.12.31

초록

자폐아동을 치료교육하는 데 있어 부모의 치료협력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는 가운데, 특히 부모가 갖는 아동능력에 대한 지각은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동부모와 정상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 영역을 비교하고, 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적응능력 지각관계를 자폐아동 부모와 교사평가간의 비교를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자폐아동부모 27쌍, 정상아동부모 28쌍, 교사 4명이며, 부모양육 스트레스척도, 아이버그 아동행동척도, 아동기 자폐행동척도, 사회성숙도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양육스트레스정도는 자폐아동부모군이 정상아동 부모군보다 현저히 높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에서는 자폐아동의 부가 정서와 요구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자폐아동의 모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의 부모영역에서는 자폐아동부모가 정상아동부모보다 역할제한, 애착, 능력감면에서 스트레스가 훨씬 높았으며, 우울영역을 제외하고 두집단 모두 모가 더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넷째, 자폐아동부모의 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능력지각에서 스트레스가 낮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보다 아동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의 평가와 일치하고 있었다.

This study were purposed to find out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adjustmen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with autistic children and differences of parenting stress between autistic children's parents and normal children's. Subjects were 27 autistic children's parents, 28 normal children's, 4 teachers with autistic children. 'Scales were Parenting Stress Index(PSI), Eyberg Child Behavior Index(ECBI),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CARS), Social Maturing Scale(S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otal parenting stress, parents with autistic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rmal's. 2) In child domain of parenting stress, fathers with autistic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mothers on the other components except Mood and Demandingness. 3) In parent domain of parenting stress, parents with autistic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mal's on Restrict of role, Attachment, Sense of Competence. All mothers of normal and autistic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fathers on the other components except Repression. 4) In parenting perceptions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level of autistic children's parents. Low level group perceived their children as higher adaptibility than teacher's evaluation and high level group perceived them as equal to teach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