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댐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The Evaluation for Stability at Joint Part in Composition Dam (복합댐 접합부의 안정성 평가)

  • Kim, Jae-Hong;Oh, B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2 no.3
    • /
    • pp.155-166
    • /
    • 2008
  • Research dam is consisted of concrete gravity dam that right bank department is built to concrete material, left bank department is composition dam that is consisted of rockfill dam that consist of rockfill material In domestic case, composition dam form of storage of water facilities of about 17,000 does not exist hardly in dam of irrigation water industry drinking water purpose that manage local government or other institution, Even if exist, is real condition that there is total nonexistence administrator fare of facilities, Choose unique dam of domestic multipurpose dam and analyzed conduct special quality of con'c gravity dam and rockfill dam joint part To analyze dynamic conduct special quality of composition dam by analytic method in this research, Do modelling via axis of dam and achieved static(Psuedo-static, modify Psuedo-static) and dynamic analysis, When achieving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analyzed seismic response analysis between concrete part and rockfill's part.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용 노즐댐 설계

  • 박진석;김태룡;오제훈;이대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253-258
    • /
    • 1996
  • 원자로의 가동 중지 중이나 재장전시 원자로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의 냉각수가 증기발생기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장비로써 노즐댐을 사용한다. 현재의 노즐댐은 알루미늄 재질로 그 무게가 무거워 노즐댐 작업자가 취급하기 어렵다. 이 노즐댐의 경량화와 동시에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비강성이 높은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굽힘 강성 및 전단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벌집구조(honeycomb)의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KAERI 노즐댐-II를 설계하였다. 노즐댐에 발생하는 응력 해석을 통하여 중앙판과 측면판의 변위가 충분히 작은 값을 가지면서 파괴지수도 충분히 작은 값이 되는 탄소섬유의 적층각도를 구하였으며, 중앙판은 [$\pm$15]로 적층하고 측면판은 [$\pm$45 ]로 적층 하였다. 그리고 각 판의 최대 파괴지수는 중앙판의 경우 0.32, 측면판의 경우 0.27 이었고 최대변위는 각각 3.1mm, 2.7mm로 노즐댐을 사용할 때 예상되는 하중에 대하여 노즐댐의 구조적 건전성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rack Behaviour of the Concrete Gravity Dam (콘크리트 중력댐의 균열거동에 관한 연구)

  • 장희석;손병락;김희성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3
    • /
    • pp.353-362
    • /
    • 1999
  • This study is aimed to obtain the critical crack lengthes of the concrete gravity dam and to investigate variation of the effective stress intensity factors at the crack tips of multiple cracks. Applied loads are dynamic load composed of blast vibration and hydrodynamic pressure which can be considered in case of the blast work at near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to static load composed of hydrostatic pressure, crack pressure, and gravity load of the dam. The critical crack length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rack locations, directions, and magnitudes of blast vibration. Also variation of the effective stress intensity factors with respect to the multiple crack shapes and distances between the crack tips was investigated.

  • PDF

A Study on Optimization for Location and type of D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Large Fault (대규모 단층특성을 고려한 최적 댐위치 및 형식 선정)

  • Kim, Han-Jung;Lyu, Young-Gwon;Kim, Young-Geun;Lim, Hee-Dae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2 no.4
    • /
    • pp.227-242
    • /
    • 2012
  • Youngju multipurpose dam is planned to minimizing the damage by flood and obtaining the water for industrial use in Nakdong river region. Faults in rock mass have strong influences on the behaviors of dam structur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s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ault rocks in dam desig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geotechnical investigation in design stages, engineers have to carry out the additional geological survey including directional boring to find the distribution of faults and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faults for stability of dam. Especially, the selection of location of dam and type of dam considering fault zone must be analyzed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In this study, various geological survey and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fault zone through the complex dam is designed in foundation region. Also, the distribution of structural geology, the shape of fault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ult rock were studied for the reasonable design of the location and type of dam for long-term stability of the complex dam.

System Development and Priority Assessment for Rehabilitation of Dam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댐 재개발 우선순위 평가 및 시스템 개발)

  • Choi, Ji Hyeok;Yuk, Gi Moon;Mok, Ji Yoon;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8-168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및 태풍의 발생빈도 증가로 인하여 댐 및 저수지 붕괴 우려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주변지역 주민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특히 2017년 2월 미국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캘리포니아주 오로빌 댐은 집중호우로 인해 범람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역민 19만여명을 대피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와 댐 안전, 노후화된 댐 성능개선 및 재개발, 유지관리 효율화 증대 방안 등의 다양한 대비책 마련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구조적 안전성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한 댐 재개발 평가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댐 시설물의 고령화 등에 따른 복합적인 댐 안전성 문제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댐 재개발 평가 기준 개발/개선하였으며, 국내 다목적댐, 발전용댐, 농업용 저수지댐 1종 시설물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역경계, 댐, 저수지, 도로 등의 지형데이터베이스와 수자원이용율, 유역면적, 수질, 문화재수 등의 댐 재개발 평가항목들의 속성자료를 검색할 수 있으며, 댐 구역별 기후변화 영향과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댐 재개발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성과는 댐 재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의사결정 판단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댐 붕괴로 발생하는 경제, 사회, 인명 손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am Rehabilitation Assessment Using the Delphi-AHP Metho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Delphi-AHP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고려 댐 재개발 평가지표 산정)

  • Choi, Ji Hyeok;Kim, Jong Suk;Yoon, Tae Hyung;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0-170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의 변화와 국지성 호우로 인한 유역의 수문량의 증가가 전망되고 있는 상황에서 댐 시설물의 고령화에 따른 댐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신규댐 건설보다는 기존 댐의 재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강도와 발생빈도의 증가, 태풍의 대형화 등으로 댐으로 유입되는 수문량의 변동폭이 커짐에 따라서 극심한 홍수 및 가뭄의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 물관리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댐 재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며, 기후변화와 신규 수자원 개발사업의 정체, 댐 시설물의 노후화 등 제반여건을 고려할 때 기존 댐 시설물 재개발의 전면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댐 시설물의 고령화 등에 따른 복합적인 댐 안전성 문제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댐 재개발 평가항목을 개발하였으며, 국내외 사례 및 문헌조사, 그리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각 평가항목에 대한 타당성 및 적합성 검토를 실시하고, 각 세부지표에 대한 평가기준과 댐 관련 분야의 전문도를 고려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multi flush gate at lower part of dam body for initial discharge, deposited sediment emission and ecological tunnel (초기방류, 퇴사배제 및 생태통로를 위한 댐 저부 복합 배사관 설계)

  • Choi, Byung-Kyu;Han, Jung-Sik;Kang, Tae-Ho;Choi, Kyung-L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70-1874
    • /
    • 2009
  • 96년, '98년, '99년 3차례에 걸쳐 임진강 유역과 경기북부 지역의 집중호우로 이 지역의 막대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한탄강홍수조절용 댐을 계획하였다. 한탄강 홍수조절댐은 초기방류를 목적으로 상용여수로를 월류부를 통한 방류가 아닌 댐 제체에 방류관(EL.55.0m)을 설치하여 방류하므로 댐지점에 퇴사되는 토사를 효율적으로 배제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댐 상 하류의 생태단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댐체 저부에 생태통로가 계획, 홍수시 이를 통하여 배사가 원활하도록 배사관을 겸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배사관으로 퇴사되는 토사가 원활하게 배출이 되는지를 검토하였으며, 배사실험을 위한 상류부 경계조건으로는 HEC-6모형 이용 댐상류 12km지점에서 댐지점까지의 퇴사량 및 댐지점 2km상류지역은SED-2D모형을 통하여 퇴사량을 산정하여 이를 비교하여 댐 직상류의 퇴사고와 퇴사량을 결정하여 적용하였다. 실험사례는 연평균 유하량, 200년 빈도 홍수량, 댐수위 EL.55.0m이하 방류시로 하였으며, 이에 따른 배사효과를 분석 배사관 설계의 적정성을 확보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Selective Intake Gate in Dam (댐 선택취수설비 적용 변천사례)

  • Kim, Jin-Tae;Lee, Kab-Soo;Lee, Je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34-349
    • /
    • 2008
  • 댐에는 하류 홍수피해 경감을 위한 방류설비와 댐에 저장된 물을 생활 농업 공업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취수설비가 구축되어 있다. 취수설비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개선사례와 형식변경을 통해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1970년대 소양강댐이 건설된 후 1990년대 중반까지는 수력발전을 목적으로 수차발전기 분해점검을 위한 수리용 게이트가 채택되어 저수지 중층부에 설치한 사례가 많다. 경제부흥 초창기 우리나라가 해외차관으로 건설한 소양강댐, 안동댐, 대청댐 등의 취수설비가 이에 해당한다. 이후 1990년대 말까지 하류 농작물 냉해방지를 위해 상온수의 물을 취수하는 표면취수설비가 임하댐, 주암댐, 용담댐 등에서 채택 운영되고 있다. 그러다가 횡성댐, 장흥댐 등이 건설되는 2000년대 초부터 기존의 냉해방지와 조류 등 환경변화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저수지 전 구간을 수심별로 구분 선택하여 취수하는 다공식 취수설비와 표면취수설비가 동시에 설치되는 복식형 취수설비가 채택 운영됨에 따라 단순 수리용 게이트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취수설비로 발전을 하였다.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유입된 고탁도수가 장기간 댐 내에 체류하여 하류용수공급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부영양화로 인한 적조현상 등이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화됨에 따라 임하댐과 용담댐에서는 표면취수설비를 중간구간 취수가 가능한 분리형 선택취수설비로 개선한 결과(임하댐(2006), 용담댐(2008)) 댐 본래의 순기능인 청정수 담수가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하류생태계 보존에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전 구간 선택취수가 가능하도록 화북댐에는 정류판형 선택취수설비, 부항댐 및 성덕댐에는 실린더 게이트가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 PDF

An optimal policy for an infinite dam with exponential inputs of water (비의 양이 지수분포를 따르는 경우 무한 댐의 최적 방출정책 연구)

  • Kim, Myung-Hwa;Baek, Jee-Seon;Choi, Seung-Kyoung;Lee, Eui-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2 no.6
    • /
    • pp.1089-1096
    • /
    • 2011
  • We consider an infinite dam with inputs formed by a compound Poisson process and adopt a $P^M_{\lambda}$-policy to control the level of water, where the water is released at rate M when the level of water exceeds threshold ${\lambda}$. We obtain interesting stationary properties of the level of water, when the amount of each input independently follows an exponential distribution. After assigning several managing costs to the dam, we derive the long-run average cost per unit time and show that there exist unique values of releasing rate M and threshold ${\lambda}$ which minimize the long-run average cost per unit time. Numerical results are also illustrated by using MATLAB.

Design of the spillway for dams with concentration of inflow in short time and reservoir water level rapidly. (단시간 유입량 집중 및 수위 급상승 댐의 여수로 계획)

  • Kim, Woon-Tae;Kang, Tae-Ho;Han, Jeong-Sik;Choi, By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8-478
    • /
    • 2011
  • 중소규모 댐 계획시, 댐 하류 홍수피해 저감, 합리적 운영, 유지관리 및 경제성 측면올 고려한 댐 계획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계획/건설된 대규모 뱀에서와는 달리, 비교적 작은 규모의 유역에 있어서 댐 계획은 댐 유역 및 저수지의 수리 수문학적 특성 즉, 빠른 시간에 홍수량의 저수지 유입으로 저수지 수위가 급상승하는 등, 일반적인 기존 댐들과는 다른 특정을 지닌 중소규모유역 댐의 여수로 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여수로 계획을 한 댐 유역의 특성으로 유역면적 약 $33km^2$, 총저수용량 2,211 만 $m^3$, 홍수조절용량 349만 $m^3$의 소규모 저수지를 가진 댐이다. 지방하천 최상류에 위치하는 유역면적이 작은 댐에서의 일반적인 수문학적 특징은 홍수도달시간이 1 시간 내외로 빠르고, 저수지 수위상승 속도가 0.2~0.3m/분 정도로 빠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수리 수문학적 특징 때문에 댐 여수로 수문 조작시간이 충분치 않으므로, PMF 유입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댐을 월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대규모 댐의 여수로 수문을 이용, 단독으로 홍수조절을 수행하던 기존 댐들과는 달리 소규모 댐에 적합한 특성을 지닌 여수로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검토대상 여수로 형식으로는 국내 다목적댐에서 대부분 채택하고 있는 조절형 여수로, 무문식 여수로를 도입한 조절형+비조절형 여수로, 방류관식 여수로, 복합형 여수로 등을 안전성, 유지관리성 및 시공성 측면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로 소규모 댐의 여수로 형식으로는 조절형+비조절형 여수로가 가장 적합한 형식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여수로 형식 이 조절형+비조절형과 같이 폭이 100m가 넘는 광폭의 여수로에서 등폭 도수로를 채택할 경우 감세공의 폭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은 등폭 도수로와 도수로 끝단부에 도류벽을 설치하여 유수 에너지를 도류벽에서 1 차 감세한 후 댐에서 보편적인 정수지형 감세공으로 유수를 소통시키는 형식으로 계획하였다. 이러한 측수로형 감세공을 도입하여 정수지형 감세공 규모를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