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강유착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개에서 Poloxamer / Sodium Alginate 혼합물의 복강 유착 방지 효과 (The Effects of Poloxamer/Sodium Alginate Mixture Barriers on Prevention of Post-Operative Peritoneal Adhesion in Dogs)

  • 김지훈;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4-330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개에서 poloxamer/sodium alginate 혼합물(PX/SA)의 수술 후 복강 유착 방지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잡종견 15마리를 무처치군, 2%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SCMC)처치군, PX/SA 처치군으로 각각 5마리씩 배치하였다. 유착은 돌창자의 창자간막 대측에 1 ${\times}$ 1 cm 크기로 미세 점상 출혈 찰과상을 일으켜 유도하였다. SCMC 용액은 카테터를 통하여 복강내 주입하였고, PX/SA는 찰과상 부위에 단순히 도포하였다. 수술 전 1일과 수술 후 1일, 4일, 7일, 14일에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적혈구수, 총백혈구수, 섬유소원농도를 분석하고, 수술 후 21일에 유착정도를 computerized tensi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적혈구수, 총백혈구수, 섬유소원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성은 없다. 유착부 분리에 필요한 평균 장력은 무처치군에서 173.05 ${\pm}$ 113.48 gf, SCMC 처치군에서 111.42 ${\pm}$ 38.25 gf, PX/SA 처치군에서 69.00 ${\pm}$ 45.07 gf였다. PX/SA 처치군의 평균 분리 장력이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본 실험 결과로 PX/SA는 SCMC용액과 비교하여 복강유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PX/SA를 개에서 복강 수술 후 유착 방지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한다.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및 dextran 70 을 이용한 유착형성 방지에 관한 연구 I. 토끼에서 인공창상에 의한 유착형성과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및 dextran 70의 유착방지 효과 (Study on prevention of adhesion formation by use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dextran 70 I. Adhesion formation by artificial injuries and its preventive effect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dextran 70 in rabbits)

  • 이효종;최민철;강태영;박충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3-218
    • /
    • 1994
  • 복강장기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끼의 공장에 인공창상을 일으키고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CMC)와 dextran 70을 단일 혹은 합제로 사용하여 이들의 유착방지 효능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체중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이들을 사용하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을 검토하였다. 인공창상에 의한 유착형성 유발빈도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토끼를 전신마취시킨 다음 개복수술을 시행하여 공장의 장막에 2cm 폭으로 3곳에 abrasion또는 electrocautery를 실시하였던 바, 이러한 인공창상들이 유의성있는 높은 유착형성율(abrasion, 70%; electrocatuery, 72.7%)과 심한 유착정도를 일으켰으며(abrasion, 1.80; electrocatuery, 2.44), 체중의 감소를 가져왔다(abrasion, -2.5%; electrocautery; 9.9%). Abrasion보다는 electrocatuery에 의한 자극이 더욱 심한 유착정도 및 체중감소를 보였으며 심할 경우 폐사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유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1, 2, 3%의 SCMC 및 6, 10%의 dextran 70 용액을 단일 또는 합제를 만들어 abrasion방법으로 공장에 인공창상을 일으킨 토끼의 복강내에 주입하고 수술 4주후에 복강을 열어 유착형성율을 조사하였던 바, 1% SCMC와 10% dextran 70의 합제(Synthetic soln)에서 가장 낮은 유착형성율(0%)을 보여 유착방지 효과가 가장 뚜렸하였다. 아울러 수술 4주일후 체중의 변화도 유의하게 일으키지 아니 하였다. 그러므로 유착방지제로서 synthetic solution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사려된다.

  • PDF

Rat에서 carboxymethyl chitosan의 복강수술후 유착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rboxymethyl chitosan on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the rat)

  • 장광호;권영삼;김정은;권은주;오태호;이근우;장인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35-643
    • /
    • 2000
  • 본 실험은 carboxymethyl chitosan(CMC)이 복강유착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총 44마리의 rat를 유착유도후 아무런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과 각각 1, 2, 3% CMC 용액 3ml로 처치한 3개 실험군 등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유착은 회장의 장간막 반대측 장막부위를 노출시켜 수술도로 $0.5{\times}1cm$ 크기로 긁어 점상출혈을 유도하고, 우측벽측복막을 $0.5{\times}1cm$ 간격으로 창상을 유도한 후 두 창상을 봉합하였다. 2주후 halothane에 의한 안락사 후 유착정도를 computerized tensiometer로 측정하였다. 유착부 분리에 필요한 장력(Newton)은 대조군이 평균 $2.48{\pm}0.88$이었으며, 1% CMC 처치군은 $1.86{\pm}0.56$, 2% CMC 처치군은 $1.75{\pm}0.71$, 3% CMC 처치군은 평균 $1.55{\pm}0.60$로 3% CMC 처치군에서 유의적인 감소(p<0.01)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rat에서 복강수술후 CMC의 복강내 투여는 복강장기 유착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개에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Vitamin E의 효과 (Efficacies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and Vitamin E in Prevention Against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in Dogs)

  • 김정은;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8-703
    • /
    • 2010
  • 개에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CMC),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 vitamin E의 병용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견은 대조군, SCMC 처치군, ORC 처치군, SCMC와 vitamin E 처치군, ORC와 vitamin E 처치군의 5개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5두씩 배치하였다. 정중개복 후 회장 장막에 6 cm 간격으로 5곳에 찰과상을 입혀 유착을 유발했다. 유착장소는 전군에서 장막-장간막(37.6%), 장막-장막(24%), 장막-대망막(8.8%), 장막-복막(3.2%) 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SCMC와 vitamin E 처치군이 56%로 대조군 92%, SCMC 처치군 84%, ORC 처치군 64%, ORC와 vitamin E 처치군 68%에 비해 낮았다. 유착형성 점수는 SCMC와 vitamin E 처치군에서 다른 처치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 < 0.01). 따라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있어 SCMC와 vitamin E의 병용이 개에서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Rat에서 술후 복강 유착방지에 대한 melatonin의 효과 (Effects of Melatonin on Preventing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Rats)

  • 이승찬;김정은;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0-235
    • /
    • 2006
  • 랫트에서 melatonin(N-acetyl-5 methoxytyptamine)이 복강 내 유착 형성 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42마리의 수컷, Sprague Dawley 랫트를 유착 유도 후 무처치 대조군, 5% ethanol 용액을 투여한 sham군, melatonin 1 mg/kg 처치군(Mel 1군), melatonin 3mg/kg 처치군(Mel 3군), melatonin 10mg/kg 처치군(Mel 10군), melatonin 30mg/kg 처치군(Mel 30군)등 6개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7마리씩 배치하였다. 정중개복 후 맹장을 확인하고 맹장에서 0.5cm지점의 오름 결장에서 시작하여 3cm 간격으로, 장간막 반대측 장막 5곳에 $0.5{\times}1cm$크기로 찰과상을 생성하여 유착을 유도하였다. 대조군은 어떤 처치도 없이 복강을 폐쇄하였으며 sham군은 5% ethanol 1ml, 나머지 군은 각각의 용량에 맞춰 5% ethanol 에 녹인 melatonin용액 1 ml를 복강 폐쇄 전 주입하였다. 수술 2주 후에 유착발생빈도 및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착장소는 전군에서 장막-장간막(25.7%), 장막-장막(21%), 장막-대망막(5.7%)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Mel 10군이 17.1%로 대조군 68.6%, sham군 91.4%, Mel 1군 57.1%, Mel 3군 60.1%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Mel 30군은 20%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착형성은 대조군, Sham군, Mel 1군, Mel 3군, Mel 10군, Mel 30군에서 각각 $264.7{\pm}140.2,\;378.9{\pm}153.2,\;116.1{\pm}94,\;29.4{\pm}30.3,\;45.1{\pm}44$로 Mel 10군과 Mel 30군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p<0.05) 이들 두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랫트에서 복강수술 후 melatonin 10mg/kg투여가 복강 내 유착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랫트에서 Chitosan-Trimer가 복강유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Trimer o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Rats)

  • Kwon, Eun-ju;Jang, Kwang-ho;Jang, In-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7-264
    • /
    • 2001
  • 복강 내 유착은 단층편평상피로 구성된 복막의 손상으로 장막표면의 염증반응을 일으켜 창상조직의 혈관투과성이 증가하여 많은 장액성 혈액삼출물이 생산되고, 이 혈액삼출물내의 fibrin이 제거되지 않으면 초기섬유소성 유착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착방지는 섬유소성 부착물의 정상적인 용해를 방해하는 인자들과 관계가 있다. Chitosan은 poly-$\beta$(1$\longrightarrow$4)-D-glucosamine으로 chitin을 탈아세틸화시킨 것으로 복강유착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Hyaluronic acid(HA)와 구조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쥐에서 회장에 유착을 유도한 후 PBS (control group), 1% Chitosan Trimer (CT, 1% CT group), 3% CT (3% group), chitin (chitin group)을 복강내 주입하여서 10일 뒤에 유착방지효과, 유착발생정도, 조직검사, 혈액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총백혈구수, 총적혈구수, PCV, PLT, Total protein은 전군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검사상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 CT군은 다른 군에 비해 Fibrosis와 염증반응정도에 대한 점수가 낮았다. 혈장섬유소원은 전군에서 수술 후 증가하였으나 3% CT군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율이 낮아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유착장소는 전군에서 장막-장막 (60%), 장막-장간막 (13.3%), 장막-고환쪽 결합조직 (10%), 대망-간 (10%), 장막-대망 (3.3%), 장막-맹장3 (3.3%)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3% CT군이 62.2% 로 대조군 97.7%, 1% CT군 81.8%, chitin군 93.3%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유착 형성은 대조군, 1% CT, 3% CT 및 chitin 투여군에서 각각 2.07$\pm$0.81, 1.03$\pm$0.63, 0.64$\pm$0.53 및 1.67$\pm$0.71로 3% CT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p<0.001).

  • PD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가 개복 수술한 한국흑염소의 생식기 유착 방지에 미치는 영향 평가 (Reduction of Postsurgical Adhesion Formation of Reproductive Tract with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in Korean Black Goats)

  • 신현국;최윤석;이승재;이두수;조종기;신상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67
    • /
    • 2007
  •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SCMC)와 Hyaluronic acid(HA)가 수정란 이식 및 채란을 위한 복강 수술 후 생식기의 유착 방지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동물로 성숙한 암컷 한국 흑염소 20두를 대조군, saline 투여군, SCMC 1%, SCMC 2% 및 HA 0.4% 투여군에 각각 4마리씩 배치하였다. 수정란 채취를 위한 통상적인 방법의 수술을 시행한 후 약물 주입용 카테터를 절개부를 통하여 복강에 정착시킨 후 앞쪽에 끼운 채로 복막과 피부를 봉합한 후 약물을 처치하였다. 각 군의 흑염소들에 각각 체중 10 kg 당 50ml의 용액을 복강내로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무처치하였다. 각 군은 3주 후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복 수술하여 좌 우측의 자궁 및 난관채에서부터 난소까지의 2 부분으로 구분하여 각 부분의 유착 정도를 유착 범위, 피막의 상태 및 유착부의 분리 여부에 대해 각각의 등급을 정하여 판정하였고, 실험 동물의 반복 이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똑같은 처치 방법으로 수술과 등급 판정을 반복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자궁과 난소쪽 모두에서 SCMC 2%군의 점수$(mean{\pm}SD)$가 각각 $0.8{\pm}1.4$$1.5{\pm}2.8$로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반복된 2차 실험에서도 SCMC 2% 군의 자궁과 난소에서의 점수가 각각 $4.1{\pm}1.6$$1.9{\pm}2.1$로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3차 실험에서 자궁의 판정 점수는 SCMC 1%가 $6.0{\pm}2.0$, 난소 점수는 SCMC 2% 가 $4.0{\pm}1.1$,로 다른 군에 비해 낮았고, 4차 실험에서는 자궁과 난소 모두에서 SCMC 2%가 각각 $7.0{\pm}2.1$, 및 $3.2{\pm}1.9$,로 다른 군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반복되는 실험 결과에 따른 비교시 모든 군에서 실험횟수가 반복될수록 유착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흑염소에서 수정란의 채취 및 이식을 위한 개복 수술 후 SCMC 2% 용액을 복강 내로 주입하는 것이 다른 처치에 비해 생식기의 유착 방지에 효과가 있으며, 반복 수술에 따른 생식기 유착 정도를 완화시켜줄 것으로 생각된다.

개에서 Hyaluronic Acid와 Vitamin E의 병용이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yaluronic Acid and Vitamin I Combination on Preventing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Dogs)

  • Bae, Jae-Sung;Jang, Kwang-Ho;Kwon, Young-Sam;Jang, Hwan-Soo;Kim, Jung-Eun;Park, Se-Il;Lim, Jae-Hyun;Li, Wen-Xue;Lee, Seoung-Ji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2-48
    • /
    • 2003
  • 개에서 hyaluronic acid(HA), vitamine E 및 두 약물의 병용이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견은 HA 처치군, Vitamin E 800 처치군,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 그리고 HA와 Vitamin E 1600 처치군의 5개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3두씩 배치하였다. 정중개복 후 회맹연접부를 확인하고 회장 쪽으로 5cm 간격으로 5곳에 1$\times$1cm 크기로 찰과상을 유도하였다. HA는 0.1%로 하나의 찰과상 당 3ml과 복강 내에는 체중 당 3ml을 도포하였다. Vitamin E 는 수술 전 5일부터 수술 후 14일까지 800, 1600IU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수술 3주 후에 유착발생빈도 및 정도를 평가하였다. 혈액학적 검사소견 상 WBC의 수치는 수술 1일 후 전군에서 최고치를 나타냈으나 4일 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14일에는 정상범위로 회복하였으며 전군에 있어서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Fibrinogen 수치는 수술 1일 후 전군에서 최고치를 나타냈으나 4일 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7일에 수술전 수치로 회복하였으며 전군에 있어서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착발생 장소는 장막-장간막(43.3%), 장막-장막(20%), 장막-대망막(5%), 장막-복막(1.7%) 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 47%로 Vitamin E 800 처치군 100%, HA 처치군 80%, HA와 Vitamin E 1600 처치군 53%에 비해 낮았다. 유착형성은 HA처치군, Vitamin E 800 처치군,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 그리고 HA와 Vitamin E 1600 처치군에서 5.3$\pm$0.58, 7$\pm$1.00, 2.3$\pm$1.15과 3$\pm$1.00로 HA와 Vitamin E 800 처치군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있어 HA와 800 IU Vitamin E 병용투여가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개에서 Poloxamer/Sodium Alginate 혼합물의 용량에 따른 복강 유착방지 효과 (Dose Related Effects of Poloxamer/Sodium Alginate Mixture in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in Dogs)

  • 정원석;성윤상;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47-555
    • /
    • 2009
  • 이 실험은 복강 유착 방지효과를 나타내는 Poloxamer/Sodium Alginate (PX/SA) 혼합물의 최소용량과 주요기 관의 독성 여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강한 잡종성견 25마리를 음성대조군 (무처치), 양성대조군 (2% carboxymethyl chitosan 용액 처치), 실험군 1 (PX/SA 혼합물 0.25 ml 처치), 실험군 2 (PX/SA 혼합물 0.5 ml 처치), 실험군 3 (PX/SA 혼합물 1.0 ml 처치) 으로 나누고 각 군당 5마리씩 배치하였다. 혈액학 검사 (백혈구,섬유소원)와 혈액화학 검사(AST, ALT, ALP, BUN, Creatinine)를 위해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유착방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돌창자에 찰과상을 일으켜 carboxymethyl chitosan 용액, PX/SA 혼합물을 처치하는 장막 찰과 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착부위의 유착강도는 장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직검사를 위해 각 군의 모든 개로부터 간과 신장 조직을 채취하였다. PX/SA혼합물을 처치한 실험군이 음성 대조군보다 유착발생 빈도와 유착강도 모두 낮게 측정되었다. 실험군 간의 비교에서 실험군 2에서 유착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ST, ALT, ALP, BUN, Creatinine 은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든 군에서 얻어진 조직 표본에서도 군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PX/SA 혼합물 0.5 ml는 복강 유착 형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물질이며, 혈액 및 주요 장기에 대한 독성도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글견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위관삽입술의 유용성 평가 연구 (Feasibility Study of Laparoscopic Gastrostomy Tube Placement in Beagle Dogs)

  • 이재웅;박지영;이해범;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8-35
    • /
    • 2015
  • 본 연구는 개에서 복강경 위관삽입술(LG)을 시행, 수술시간, 합병증, 유착부를 평가하여 수의분야에서 LG의 유용성을 내시경 유도하 경피 위관삽입술(PEG)에 준하여 확인하였다. 정상 비글견 8마리를 두 군으로 나누어 Tri-Funnel Replacement Gastrostomy tube (Bard Inc., USA, 20 Fr.)와 PEG kit (Ponsky "Pull" PEG Kit$^{(R)}$, Bard Inc., USA, 20 Fr.)를 이용하여 LG 및 PEG를 실시하였다. 위관을 통한 영양 공급은 유지 열량 요구량(MER)을 1일 3회로 나누어 2주간 진행하고 LG와 PEG의 수술 중, 수술 후, 사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모든 개체에서 위관삽입은 성공적이었고, PEG 군에서의 평균 수술 시간이 LG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짧았다(p < 0.05). 위-복막간 유착은 군간 모든 개체에서 양호하게 형성되었으나 평균 유착 길이(AL)와 너비(AW)의 수치가 LG군에서 PE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평균 유착 거리(AD)는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182). 본 연구를 통해 개에서 LG는 최소 침습적이면서 쉽고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장관 영양 공급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