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편 철학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종교개혁과 근대철학의 형성)

  • Lee, Tai-ha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26
    • /
    • pp.321-343
    • /
    • 2013
  • The Reformation seems to have nothing to do with modern philosophy, but in reality closely related to it.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Reformation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in two respects. Voluntarism, asserting the predominance of divine will over divine reason,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allowed an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y ignoring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nd emphasizing 'Sola Fide'. As a result, the severe religious disputes arose and the modern intellectuals sought a deism and natural religion as an universal religion which is expected to put an end to religious conflicts. Moreover, voluntarism changed the way of inquiring nature from the speculative to the experimental based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and provided the clues of the birth of experimental philosophy (empiricism) which is the experimental inquiry of human nature. In short, the Reformation brings about the search for universal religion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the advent of experimental philosophy. Universal religion is not a mystic religion on which the religious behaviors and practices are based but just a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for scientific inquiry, and it was nothing but a philosophy for science. And also the experimental philosophy was a philosophy by science in that it is a science of human nature through experiment and observation, After all, the Reformation expelled religion from the main living room of philosophy and placed science on the spot instead.

쟁점으로 읽는 '97년의 지성사-철학

  • Lee, Jin-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6
    • /
    • pp.8-8
    • /
    • 1997
  • 철학은 문제와의 사상적 대결이다. 보편적인 철학적 문제가 역사와 현실의 프리즘을 통해 굴절되는 다양한 색깔을 포착하지 못할 때, 철학적 글쓰기는 관념의 감옥 속에 갇히게 된다. 철학의 거품현상 속에서도 '이성'의 문제와 연관된 일련의 작업들은 의미있는 일이다.

  • PDF

출발 1999 전망과 회고-철학

  • Lee, Jin-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9
    • /
    • pp.6-6
    • /
    • 1999
  • 인문학의 위기와 극복, 전통사상의 계승과 보편주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같은 문제들은 세기 전환을 앞두고 있는 올해도 철학적 성찰의 중심 주제가 될 것이다. 불투명한 세기말 상황에서 정신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치열한 철학적 성찰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 PDF

풍우란의 철학과학관 - 신리학(新理學)적 철학관 연구 -

  • Seok, Won-Ho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31
    • /
    • pp.245-272
    • /
    • 2014
  • 이 논문은 풍우란(馮友蘭:1895~1990)의 신리학적 철학과학관을 해명하는 것이다. 풍우란은 과학의 역할과 중요성을 긍정하면서도, 철학의 독자적인 역할을 인정한 철학자이다. 그에 따르면 과학은 실제세계에 대한 구체적 적극적 지식을 추구하고, 철학은 '인생경지(경계(境界))의 고양'을 추구하며 나아가 정신의 '자유와 불멸'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과학과 철학은 학문의 대상 방법 목표가 상이한 별개의 학문이다. 그는 신실재론의 논리분석방법을 빌어 중국전통철학을 재해석하여 신리학적 철학체계를 수립함으로써 그 혼동을 정리하려했다. 과학은 구체적 객관세계[기(器)] 즉 실제(實際)에 관한 학문이고, 철학은 추상적 보편세계[이(理)] 즉 진제(眞際)에 대한 학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과학은 구체적인 실제세계에 대한 적극적[긍정적] 지식의 축적을 목표로 하고, 철학은 보편적 세계에 대한 이지적 분석 종합 해석을 목표로 한다. 가장 철학적인 철학인 형이상학은 인생의 경지를 드높이는 것을 추구한다. 철학은 최고의 인생경계 즉, 천지경계(天地境界)의 도달을 목표한다. 이를 위해 철학은 진제에 대한 개념적 논리적 분석을 통해 실제를 초월하는 네 가지 형이상학적 관념을 얻어 천지경계에 도달할 수 있다. 천지경계에 도달하는 형이상학적 방법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정(正)의 방법으로 논리분석법인데, 경험에 대해 논리적 분석 종합 해석을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부(負)의 방법으로 중국화(中國畵)의 '홍운탁월(烘雲托月)'처럼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는(불가사의(不可思議), 불가언설(不可言說)) 방법이다. 형이상학은 이를 통해 인간의 삶에 자유와 불멸을 가져다줄 수 있다. 이런 형이상학적 활동은 과학이 목표로 하지도 않고 할 수도 없다는 것이 풍우란의 견해이다. 이로서 풍우란은 참과 거짓을 밝힐 수 없는 무의미한 명제의 추방을 주장한 논리실증주의와 대립되는 철학관에 도달했다.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 and the US (보편적 서비스의 철학적 근거에 대한 한·미간 비교연구 : 보편적 서비스의 추진 배경과 동기를 중심으로)

  • Kim, Sung-Wook;Kwak, No-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73-84
    • /
    • 2019
  • By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 and the US, this research finds that Korea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relations between universal service and basic human rights even though it has rapidly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universal service of telephone and the internet services in the past. Based on this key finding, it reaches a conclusion that Korea should adopt a new approach in implementing universal servic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goals and contributions to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human rights of universal service because economic goals have been main drivers of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service so far in Korea, which is not appropriate and suitable for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new telecom services are rapidly emerging.

현대논리학적 단초들을 중심으로 한 라이프니츠 논리학의 이해

  • Ha, Byeong-Ha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
    • /
    • pp.91-118
    • /
    • 1998
  • 라이프니츠는 일반적으로 현대논리학의 선각자라고 부른다. 그래서 라이프니츠 논리학에서는 현대 논리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단초들을 발견할 수 있다. 라이프니츠의 논리학을 대표하는 개념으로는 흔히 보편수학, 보편기호학 그리고 논리연산학을 들곤한다. 라이프니츠의 보편수학의 이념은 연대 논리학이 논리학과 수학의 통일에서 출발할 수 있는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했다. 이러한 현대 논리학의 출발에 있어서는 상이한 두 입장을 발견할 수 있는데, 부울, 슈레더의 논리대수학과 프레게의 논리학주의가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입장은 "논리학과 수학의 통일"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관심을 보이지만, 논리학의 본질을 라이프니츠의 보편기호학에서 찾느냐 또는 라이프니츠의 논리연산학에서 찾느냐에 따라 상이한 입장을 취한다. 이외에도 보편과학이나 조합술을 이해하지 않고는 라이프니츠 논리학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갖기 힘들다. 이 두 개념은 특히 타과학이나 과학적 방법론과 관련지어 논리학이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논리철학적인 조명에 있어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 PDF

Humanity and Culture: Based on the Conception of Husserl's Philosophical Cultural Community (인간성과 문화: 후설의 철학적 문화공동체 개념을 중심으로)

  • Park, In-Cheol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113
    • /
    • pp.61-92
    • /
    • 2016
  • In the Western civilization, the concept of culture has traditionally the meaning of education or forming the moral humanity. However, this meaning of culture has recently changed since the advent of cultural relativism which lays stress on the cultural diversity. The current meaning of culture lies in the ways of life, whatever they are. It indicates that culture has nothing to do with universal human nature and morality, as the new concept of culture is only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ontingent life-situations of people in the each special area. Against this current view of culture, this paper contends that culture and humanity(human nature)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at every culture is rooted in the universal human nature. So culture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humanity and forming of moral community. This thesis might be justified by Husserl's view on the philosophical culture of the ancient Greece. According to Husserl, the philosophy in the ancient Greece intended to realize the idea of true humanity and to build the moral community. Husserl's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culture is based on his belief that philosophy as an ideal culture transcends the cultural diversity and historical contingency and strives for a universal human community, in which all mankind are harmonized and live well. The philosophical culture would -so Husserl- result in the moral community. Against this conception of the moral cultural community, could man argue that the idea of the moral community be an ideal dream which could not be realized considering the irrational and immoral character of community. However, this argument should be refuted, because it has overlooked the moral and open-minded character of culture with the feeling of solidarity.

Standard Codes of the Study of Chunchu during Chosun Dynasty (1): through Park Sechae's Chunchubopyeon Gangnyung (조선조 『춘추』 공부의 표준 강령(1) - 박세채의 『춘추보편(春秋補編)』 「강령(綱領)」을 중심으로 -)

  • Kim, Dong Mi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0
    • /
    • pp.75-111
    • /
    • 2016
  • This paper examines the standard codes (Gangnyung: 綱領), basis of the study of Chunchu in Chunchuhak tradition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Park Sechae's Chunchubopyeon. The author aims to uncover the common awareness of, or an agreed view of, Chunchu among scholars of Chosun dynasty. Since Chunchubopyeon represents the Neo-Confucian understanding of Chunchu, it can be argued that the Gangnyung section of this book contained the standard codes which formed the basis of Chunchu studies. Of five key themes in Gangnyung, this paper addresses two in detail, and . The first argues that Chunchu is the grand principle of governing the world; a living law which drives the reality. The second theme, through a detailed recording of Chunchu, examines the grand principle of Chunchu. When studies after the present paper address the remaining themes in Gangnyung, it is expected that an access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r features of Chunchuhak during Chosun dynasty will be gra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