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종교개혁과 근대철학의 형성

  • Received : 2013.04.06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Reformation seems to have nothing to do with modern philosophy, but in reality closely related to it.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Reformation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in two respects. Voluntarism, asserting the predominance of divine will over divine reason,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allowed an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y ignoring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nd emphasizing 'Sola Fide'. As a result, the severe religious disputes arose and the modern intellectuals sought a deism and natural religion as an universal religion which is expected to put an end to religious conflicts. Moreover, voluntarism changed the way of inquiring nature from the speculative to the experimental based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and provided the clues of the birth of experimental philosophy (empiricism) which is the experimental inquiry of human nature. In short, the Reformation brings about the search for universal religion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the advent of experimental philosophy. Universal religion is not a mystic religion on which the religious behaviors and practices are based but just a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for scientific inquiry, and it was nothing but a philosophy for science. And also the experimental philosophy was a philosophy by science in that it is a science of human nature through experiment and observation, After all, the Reformation expelled religion from the main living room of philosophy and placed science on the spot instead.

종교개혁은 근대철학과는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근대철학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철학적으로 볼 때, 종교개혁은 두 가지 면에서 근대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종교개혁의 기본원리인 신적 이성에 대한 신적 의지의 우위를 강조하는 주의주의는 교회의 전승을 무시한 채 '오직 믿음으로'를 강조함으로써 성서와 교리에 대한 자의적 해석을 허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극심한 종교적 분쟁이 야기되었고 근대지성인들은 이를 종식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이른바 보편종교라 할 수 있는 이신론과 자연종교를 추구하게 되었다. 또한 주의주의는 자연에 대한 탐구에 있어 종래의 사변적 탐구를 탈피해 관찰과 실험에 근거한 실험적 탐구에 나서게 함으로써 인간 본성에 대한 실험적 탐구인 실험철학(경험론)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요컨대 종교개혁은 한편에서는 보편종교의 추구를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실험철학의 출현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보편종교란 행동과 실천의 근거가 되는 신비적 종교가 아니라 단순히 과학적 탐구를 위한 근거가 되는 세계관에 불과한 것이기에 보편종교를 추구한 철학은 '과학을 위한 철학'이었다. 또한 실험철학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인간본능을 탐구한 이른바 인간학이란 점에서 '과학에 의한 철학'이었다. 결국 종교개혁은 과거 철학의 안방을 차지하고 있던 종교를 쫓아내고 그 자리에 과학을 앉힌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