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이드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초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보이드 문제 해결을 위한 위치 기반 데이터 전송 기법 (A Geographic Routing based Data Delivery Scheme for Void Problem Handl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석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9-67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그리디 포워딩 기법(Geographic greedy forwarding) 은 한 홉 내의 주위 노드들의 위치 정보만 가지고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자신보다 목적지에 더 가까운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이드 문제가 발생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향상된 위치 기반 라우팅 알고리즘(CGR: Cost based Geographic Routing)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CGR 알고리즘은 그림자 경계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에 존재하는 노드들끼리 비용 함수 연산 알고리즘을 통하여 효과적인 그리디 포워딩이 수행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평균 전체 라우팅 경로길이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달성공 비율이 높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위치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보이드(void) 회피 라우팅 프로토콜 (Void-less Routing Protocol for Position 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 ;제갈찬;이채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0호
    • /
    • pp.29-39
    • /
    • 2008
  • 위치 기반의 라우팅 기법을 사용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구현이 간단한 그리디(greedy) 라우팅이 흔히 사용된다. 그리디 라우팅은 센서 노드의 밀도가 높은 곳에는 잘 동작하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라우팅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디 라우팅 실패 시에는 패킷을 보이드(void)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는 별도의 회복(recovery) 알고리즘이 필요하고 이러한 추가적인 알고리즘은 패킷의 송수신 양과 센서의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언급한 보이드란 전송할 패킷을 가진 노드가 자신보다 목적지 노드에 더 가까운 이웃 노드를 찾지 못하여 그리디 포워딩으로 더 이상 패킷을 전송하지 못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이드로 인한 라우팅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VODUA(Virtually Ordered Distance Upgrade Algorithm)라는 효율적인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VODUA에서는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라우팅 그래프를 노드끼리 서로 교환하고, 패킷 전송이 불가능한 노드인 stuck 노드가 발생하면 거리 비용(DC)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stuck 노드를 제거한다. 본 논문에서는 거리 비용을 증가시켜 stuck 노드의 패킷이 보이드를 회피하여 원하는 목적지 노드까지 성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라우팅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또한 회복 알고리즘과 같은 추가적인 알고리즘 없이도 패킷이 전송 가능 한 경로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여 기존의 라우팅 기법보다 더 빠르고 적은 에너지 소모를 통해 라우팅한다. 그리고 VODUA에서는 각각의 노드들이 네트워크 전체가 아닌 한 홉(hop) 이내에서 라우팅하고 토폴로지 상태정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노드의 실패(failure)나 토폴로지 변화에 적응이 빠르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VODUA가 짧은 전송 지연 시간을 통하여 신속하게 패킷을 전송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GPSR과 DUA에 대해 더 적은 홉 수를 가지는 경로로 패킷이 전송 가능함을 보인다.

고분자 절연물 내의 트리진전에 따른 부분방전 펄스의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ulse variation due to the growth of electrical trees in polymer insulation system)

  • 정중일;허창수;김종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872-1873
    • /
    • 2004
  • 보이드, 이물, 돌기등 고부자 절연체 내의 결함은 이곳에 전계가 가해질 때, 국부적 전계집중을 유발하며, 절연체 내의 미소 방전을 일으킨다. 이 때 발생한 미소 방전에 의해 보이드 표면의 고분자 물질은 기계적, 화학적 열화를 일으키며, 이에 따라 전기적 트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트리는 결국 절연체의 절연파괴로 진전되므로, 고분자 물질을 절연물로 사용하는 전력기기의 경우에는 신뢰성에 큰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전(부분방전)이 일어날 때 생기는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여, 절연물의 신회성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미소방전이 일으키는 방전의 파형이 트리의 진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온도변화에 따른 초고압케이블 절연재의 부분방전특성 (The Characteristic of Partial Discharge at Extra High Voltage due to Variation of Temperature)

  • 김탁용;김원종;신현택;변두균;조경순;김귀열;홍진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688-1690
    • /
    • 2004
  • 초고압절연케이블의 온도변화에 따른 절연특성을 연구하였다. 온도변화는 상온, 50, 80[$^{\circ}C$]로 변화시켰으며, 전압은 0.5[kV]씩 스텝인가법에 의해 승압시켰다. 또한 보이드 특성을 위해 내부에 보이드를 삽입하였다.

  • PDF

현대주거의 기하조작에 의한 보이드 공간의 생성과 친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Void Space by Geometric Method and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Housing)

  • 이동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31-141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to grasp the spatial characteristics exhibited in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from the aspect of a geometrical manipulation, which transforms basic geometrical shapes and persue the formative diversity, to identify and verify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in modern housing architec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 and identify the influences of the void spaces that are created by geometrical manipulations on housing architecture, in terms of morpholog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oretical approaches define the concept of geometrical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and examine the spatial features of void spaces. Additionally, case studies result in the classification of void spaces that are created by geometrical manipulation. Furthermore, to understand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of the void space, the researcher elicited the factors that can affect environment friendly housing from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ir correlation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void spaces that are classified.

인공적 침상보이드의 갭길이 변화에 따른 음향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acoustic emission according to variation gap length on artificial needle shape void)

  • 박재준;김상남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8권4호
    • /
    • pp.495-503
    • /
    • 1995
  • As lengthen gap leng of artificial needle shape void 0.24.rarw.1.5[mm]), the amplitude of AE(Acoustic Emission) pulses was enlarged and number of pulses be generated was few. The longer gap length of void, the shorter breakdown time. As a result of this, I found that existen of void in insulation mate was fatal deterioration of insulation. According to phase angle of applied voltage, time being void was scattered largely in region of phase angle of pulses of origination in phase angle of applied voltage. The result will be used to analysis of void diagnosis.

  • PDF

퍼지 플로킹 기반의 보이드 행동 모델링 (Boids′ Behavioral Modeling based Fuzzy Flocking)

  • 권일경;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95-200
    • /
    • 2004
  • 컴퓨터 게임은 보이드들의 군집 행동 모델링을 위하여 플로킹이라는 지능적인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플로킹은 약간의 컴퓨터 자원만을 이용하여 조류나 물고기와 같은 예측할 수 없는 형태의 군집 행동 패턴을 자연스럽게 모델링 할 수 있다. 단 논문에서 우리는 사실적인 수중 생태계 군집 행동 모델링을 위하여, 포식자 및 먹이로 구성되는 생태계를 구현하였다. 또한 퍼지 논리를 생태계 요소들의 본능적인 욕망을 구현하기 위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모델은 생태계의 파괴를 극복하고, 자연스럽게 생태계 행동을 모델링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상 횡유동을 받는 튜브집합체의 추가질량과 감쇠 (Hydrodynamic Mass and Damping of Tube Bundles in Two-Phase Cross-Flow)

  • 김범식;손갑헌;김병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128-1146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2상 횡유동의 진동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계획의 일환으로 실시된 실험으로 부터 튜브집합체의 추가질량(hydrodynamic mass)과 감쇠 (damping)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험은 튜브배열과 피치 대 직경비(pitch-over-di- ameter:.rho./d)가 상이한 튜브집합체에 대해 2상 유체를 모의한 공기-물(air-water) 혼합물에서 수행하였다. 액체상태로부터 99%의 보이드율까지 변화된 2상 유체의 유량은 튜브가 유체탄성 불안정성 (fluidelastic instability)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보이드 성장을 고려한 재료의 성형한계에 대한 비 국소 해석 (Non-Local Analysis of Forming Limits of Ductile Material Considering Damage Growth)

  • 김영석;원성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7권6호
    • /
    • pp.914-922
    • /
    • 2003
  • In this paper, the strain localization of voided ductile material has been analyzed by nonlocal plasticity formulation in which the yield strength not only depends on an equivalent plastic strain measure (hardening parameter), but also on the Laplacian thereof. The gradient terms in yield criterion show an important role on modeling strain-softening phenomena of material. The influence of the mesh size on the elastic -plastic deformation behavior an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length parameter for localization prediction are also investigated. The proposed nonlocal plasticity shows that the load -strain curves converge to one curve. Results using nonlocal plasticity also exhibit the dependence of mesh size is much less sensitivity than that for a corresponding local plasticity formulation.

과냉 비등류의 실제건도와 보이드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 Quality and Void Fraction of Subcooled Refrigerant Flow)

  • 김종헌;김춘식;김경근;오철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6-43
    • /
    • 1993
  • Real quality and axial void fraction distribution of subcooled refrigerant flow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heat transfer rate and pressure drop in the design of refrigerating system. In the subcooled boiling region, the liquid bulk temperature is still below the corresponding saturation temperature. But beyond the net vapor generation point, bubble detachment is occured actively from the vapor layer formed on the wall. A reliable method to predict the vapor fraction from the liquid bulk temperature is suggested in this paper. And also the actual quality of the subcooled R-113 flow is calculated in the range of 261-1239kg/$m^2$s mass velocity and 10-30K subcoo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