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시설 공간구성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폐동사무소를 활용한 보육시설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of child care facilities to utilize closed dong offices)

  • 성형규;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3호
    • /
    • pp.48-58
    • /
    • 2020
  • 전자정부의 시행으로 기존 동사무소에서 인력 및 공간에서 잉여분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서울시와 지방정부에서는 복지, 문화, 고용, 생활체육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동 통폐합계획이 진행하고 있다. 한편, 맞벌이 부부 증가 및 핵가족화로 인해 보육시설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정부는 신축 및 부지매입 등에 많은 예산상에 문제에 따랐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보육시설 수요자 증가에 따른 보육시설 확충의 문제와 전자정부 시행으로 인해 동사무소의 역할이 축소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동사무소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폐동사무소를 활용한 보육시설의 현황 및 실태 조사를 실행하고 공간구문론을 기초로 한 J-graph를 통해 시설 간 공간구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동사무소를 활용할 시 발생되는 공간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서술하였다.

아파트단지 내 보육시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군포 산본 신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the Childcare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the cases of Sanbon New Town in Gunpo City -)

  • 이민자;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91-98
    • /
    • 2004
  • Low birth rate problem in Korea has been mainly derived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female employment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female. According to the recent report, some other causes of low birth rate are from the difficulty of using childcare facilities with quality services and the relative lack of quantities of the facilities. The basic principle of childcare includes protection, education, nutrition, safety, service to parents, and correlation with community. Childcare has been deemed to be the social system even to guarantee the parents' right of work. Even though a lot of progress has been made in childcare facilities by chang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shows that there are relatively little changes of the space organization of the childcare facilitie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children. Now a days it has been appeared as a social problem that childcare has to be needed as a part of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such an important infant era.

  • PDF

평가인증기준에서 바라본 대전시 보육시설사례의 시설공간구성과 보육실 영역구성 조사 (Analysis of Space Organization and Classroom Zoning of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City by the Childcare Accreditation Criteria)

  • 김영애;최목화;변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5-223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diagrams of space organization and classroom activity zoning through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Criteria, and compares space diagrams with childcare facilities in Daejeon, and looks 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Space diagram from accreditation criteria show the classroom, adjoining toilets, napping areas, and community areas for playing, reading, cooking, teaching and holding materials. Classroom zone diagrams show 8 activity zones for entering, washing and toilet, making art, playing, reading, studying science, resting, playing role and wooden block. Six case studies in Daejeon, Korea were surveyed and classified into big, medium and small size facilities by the number of children. The space organization of case studies are similar to the diagrams, except that outdoor playground and indoor playrooms were not large enough at the small and medium size facilities. Classroom activity zoning was very similar to the conceptions, excluding the playarea from classroom, integrating the rest areas for reading, subdividing art into music and art, science, and into math and science, roleplay into roleplay and wooden block. In conclusion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are designed to the concept diagram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with some flexibility, exclusion, integration, and subdivision of space and activity zones. It has been requested as to make each criteria fit to the facility sizes-big, medium and small.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놀이교육 프로그램 및 공간 기획 연구 - 국내에서 운영중인 유아 보육시설과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y Education and Space Design for Developing Creativity of Children -Focusing on domestic childcare facilities and education program analysis-)

  • 최경란;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659-668
    • /
    • 2015
  • 2011년 5세 유아의 누리과정이 도입된 이후로 국내에서도 창의 교육을 통한 통합적 사고를 갖춘 융합적 인재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보육 수요에 비해 시설과 인력, 예산의 부족으로 인해 국내의 교육 프로그램과 환경은 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창의력 개발을 위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의 구축과 이에 걸맞는 공간 기획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조사와 유아 보육시설 디자인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운영중인 유아 보육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보육 프로그램 구축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둘째, 놀이를 통한 창의 교육을 위하여 유아의 놀이 행태 5가지와 조형원리 5가지를 조합하여 유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레임웍을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앞서 구축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보육공간의 조건과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내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델 및 공간 기획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프레임웍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델이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공간 또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보육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공간구성계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Nurseries - With emphasis on planning of spatial organization -)

  • 정지영
    • 교육시설
    • /
    • 제5권1호
    • /
    • pp.33-43
    • /
    • 1998
  • With increased social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nd with the notion of importance of pre-school childhood on human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nurseries is being emphasized.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into a nuclear family system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traditional child education have also put nurseries as a primal social interest. But, at present, at the end of 1994, only 10% of the children have benefitted from such facilities, the supply not being able to meet demand. Also,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management of such facilities has been unsatisfactory.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nurseries, to investigate and analyse case studies, to suggest standards and reform measures, and based on these, to produce basic information for the formation of an architectural spatial model. We've selected investigation of present conditions and case studies, interviews, and observation as investigative methods and through these we've assessed tangible spatial planning and spatial proportion by parts. 1. The most preferred grouping method is toddler/preschooler type, and the group size and staff-to-child ratios vary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2. The younger children's activity rooms are located in the lower level, and the activity room of the children on the similar development stages are located adjacent to one another 3. Most of the facilities do not have the public spaces(indoor playrooms, dinning rooms, napping rooms, bathrooms, sickrooms) For dinning and napping, activity rooms are being used, and for sickrooms, director's room or staff rooms 4. As for the correlations of the spaces(home bases, activity rooms and its outdoor spaces, day-care-centers and its community), closed plan type is 90% over, and modified open plan is 10% min.

  • PDF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한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 효용성 평가 - 서울시 금천구를 사례로 -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Led by the Local Community through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 A Case in Geumcheon-gu District, Seoul, South Korea -)

  • 강태순;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40-5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체험형 운영방식으로서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의 효용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소의 서울시 유아숲체험장 중 2014년 유일하게 주민자치운영을 한 금천구 유아숲체험장에 대하여 중요도 성취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설문자료는 총 36문항으로 공간 시설영역 20문항, 운영 프로그램영역 16문항(주민자치운영영역 6문항 포함)으로 구성하고, 설문조사는 2015년 1월 12일~19일 동안 실시되었다. 설문대상자는 2014년 본 연구대상지에서 숲교육을 담당했던 숲교육전문가 15명과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19개 보육기관의 당시 인솔교사 50명으로서, 분석자료로 최종 사용된 응답지는 각각 13부, 43부이다. 연구결과, 먼저 공간 시설영역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평균값은 각각 숲교육전문가가 4.07, 3.78로, 보육기관 교사가 4.16, 3.84로 나타났고, 운영 프로그램영역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평균값은 각각 숲교육전문가가 4.38, 4.16으로, 보육기관 교사가 4.44, 4.00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공간 시설영역을 운영 프로그램영역보다 낮게, 중요도보다 성취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중요도 성취도가 높아 '지속적인 노력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 항목들은, 공간 시설영역으로 '접근성', '안전성', '각 공간별 숲길로의 연결성', '개별자연물', '안전시설'의 5개 항목과 운영 프로그램영역으로 주민자치 운영을 통한 '숲교육전문가의 유아행동에 대한 유연성', '숲교육전문가의 진행전문성', 숲프로그램의 '흥미성, 다양성', '유연성', '숲교육전문가의 역할'의 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숲체험활동의 지원'을 포함한 주민자치운영영역의 항목들은 대부분 '중요하다'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지역활성화 노력'을 포함한 몇 개의 항목들이 성취도측면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중요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만큼, 향후 '우선시정'이 된다면 성취도측면에서 높은 평가가 예상된다. 또한 중요도 성취도 모두 높게 평가된 '숲교육전문가의 역할'을 포함한 프로그램영역이 주민자치운영으로 인해 더 실행가능할 수 있었던 항목이었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 주민자치운영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주민자치에 의한 운영은 체험형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유아숲체험장의 운영방식으로서 그 효용성이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운영방식이 '지속적인 노력'과 '우선시정'을 할 수 있는 지속성을 갖출 때,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은 효율적인 체험형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집과 같은 어린이집 모형 제안을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n the Residential Core Model of the Second Home Child Care Center)

  • 김영애;최목화;박정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13
  • Number of children cared by child care centers has getting up almost half of the from zero to five year age group in korea. Home care children' activities are reported more active and natural than those of center care children. So this study seek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residential core model of child care centers as second home in korea. The residential core model by Anita Lui Olds was selected and ten domestic center cases were surveyed for guidelines. Firstly, daily-residential core model is learning by daily life at home, and is equiped with cooking kitchenet and group activity area in group room. Secondly, play-residental core model is learning by playing by self, and is equiped with acting, eating and reading common area clustering two or three group room. Thirdly, eco-residental core model is learning by eco-friendly activities, and is equiped with companying, cooperating and sharing area. Fourthly, project-residental core model is learning by project by self, and is equiped with drawing, experimenting and presenting common area. Fifthly, the space of residential core model is organized with three or four group room and clustering living or common area. The larger the center is, the more the cluster is vertically. Facility area and outdoor playground per child is about 7 and $3m^2$.

공동육아시설을 위한 환경디자인의 개념과 기준 (A Concept and Standard of the Environment Design for the Joint Infant-rearing Facilities)

  • 문금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31-40
    • /
    • 1999
  •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인간의 성장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유아시기의 부모, 온 집안이나 마을 공동체가 함께 키우던 육아 전통의 바탕이 무너져 버렸다. 일하는 엄마들은 아이를 스스로 양육하지 못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전업 주부들도 육아에 자신감이 없고 아버지들은 육아의 책임을 면제받는 대신 아이들과 가정으로부터 소외된다. 따라서 자녀 양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보육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육아와 교육을 위해서 부모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보호와 생활, 교육, 나아가 학교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공동육아가 대안적으로 마련되어 왔다. 공동육아는 기존 보육 제도와는 달리 조합원들이 출자금을 내어 주민 자치적으로 운영할 뿐 아니라 어린이들이 자연의 생명력을 직접 체험하게 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의 보육 제도를 위한 환경. 시설의 기준과는 다른 공동 육아에 적합한 환경디자인에 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육의 개념이 시대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이태리와 스웨덴에서 성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유아 교육의 개념 및 공동육아의 개념을 문헌 조사를 통해 정립하였다. 또한 물리적 환경조성을 위한 기본 원칙과 실제적인 환경디자인을 위한 공간 구성과 환경 조건을 문헌조사 하였다. 그리고 공동육아의 개념과 특성 및 물리적 환경 제안을 조사.정리한 후 공동육아 환경디자인의 개념과 기준 및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였다. 마지막 결론으로 공동육아를 위한 환경디자인의 디자인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돌봄교실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분석연구 - 초등 돌봄교실 길라잡이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Space Configuration in After-School Car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Guidelines of Emementary School Care Classes -)

  • 김소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3-13
    • /
    • 2021
  • Introduced in 2004 as an 'After-School Academy' policy, the 'After-School Care Class' has become a univers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over time. While the concept of public education service has expand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including educational welfa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re classroom has undergone fixed changes within the uniform classroom structure of a standardized schoo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re classroom through chasing and analysing changes in the care class space configuration from 2004 to the pres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lan of the early care classroom wasn't much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mmon classroom, and it was only in 2007 that the kitchen and floor heating appeared for the first time.From the 2015 standard plan, prominent differentiation of the space between learning activities and resting area was shown, b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nothing more than a division that utilizes ready-made furniture.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2018 Seoul care classes are diversity. In the case of the care exclusive classrooms, the division between the support space and the main activity space became more clear using furniture integrated open walls and various floor levels. In the case of a shift classrooms that is used together with common classrooms, it is characterized by flexibility that allows dramatically different classroom configurations for each time period by using a convertible furnishing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