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폐동사무소를 활용한 보육시설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of child care facilities to utilize closed dong offices

  • 투고 : 2020.07.15
  • 심사 : 2020.09.28
  • 발행 : 2020.09.30

초록

전자정부의 시행으로 기존 동사무소에서 인력 및 공간에서 잉여분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서울시와 지방정부에서는 복지, 문화, 고용, 생활체육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동 통폐합계획이 진행하고 있다. 한편, 맞벌이 부부 증가 및 핵가족화로 인해 보육시설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정부는 신축 및 부지매입 등에 많은 예산상에 문제에 따랐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보육시설 수요자 증가에 따른 보육시설 확충의 문제와 전자정부 시행으로 인해 동사무소의 역할이 축소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동사무소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폐동사무소를 활용한 보육시설의 현황 및 실태 조사를 실행하고 공간구문론을 기초로 한 J-graph를 통해 시설 간 공간구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동사무소를 활용할 시 발생되는 공간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서술하였다.

Surplus resources including workforce and space have occurred by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government. In order to utilize these resources for welfare, culture, employment, and sports for all, the plan for merging closed dong offices is going on. Meanwhile, the demand for childcare facilities is increasing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working couples and small-scale families, but the government has underwent many budget problems in processes such as new construction and purchase of the land. In response, this study purposes to present measures to simultaneously solve the problems of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due to the current increase in demand for them and of closed dong offices due to their reduced role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e-government. As a method of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childcare facilities using closed dong offices, and the spatial compositions of the facilities were compared through J-graph based on spatial syntax. Through this method, the types of space generated by the use of the existing dong offices were derived, and th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describ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근옥(2011). 국공립 보육시설 운영유형 비교 연구. 가야대학교 석사논문.
  2. 김선녀(2014). 저출산 시대에 대응한 유아교육.보육시설 현황 분석 및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3(4). 163-189.
  3. 김성덕 외 1명(2017). 도심지역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주거환경 15(3). 237-254.
  4. 김영애 외 3명(2011).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설치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3). 691-711. https://doi.org/10.5934/KJHE.2011.20.3.691
  5. 김재영(2013). 교시설을 활용한 노인요양시설의 유형에 따른 공간계획에 관한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흥순 외1명(2014). 서울시 보육시설의 공급적정성에 관한 연구 : 이용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0(3). 203-213.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3.203
  7. 박정아 외 2명(2011). 보육시설 평면사례분석을 통한 시설규모 별 소요실 및 면적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1). 65-73. https://doi.org/10.6107/JKHA.2011.22.1.065
  8. 성이용(2020). 우리나라 폐교 유형과 활용 현황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7(2). 15-20.
  9. 유복희(2013). 울산광역시 보육시설의 규모별 실내 생활환경의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11). 85-93. https://doi.org/10.5659/JAIK_PD.2013.29.11.85
  10. 김상호(2013).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및 디자인 개선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64. 1-8.
  11. 이민석, 임강륜(2011), 해피차일드 정책지원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보고서
  12. 이범동 외 2명(2020),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분석 경향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5(3). 103-116. https://doi.org/10.35216/KISD.2020.15.3.103
  13. 이정원 외 3명(2018),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국내 보육시설의 유형간 실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0(1). 93-104.
  14. 조용석(2005). 유흥업소 여성의 사회복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최경숙 외 3명(2011). 어린이집 건축계획기준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2). 3-12.
  16. 최재필(2009). 사회통합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유휴동사무소의 용도변환 방안. 대한건축학회학회지. 25(6). 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