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교사적성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 Aptitude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Efficacy of Child Ca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배문조;박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85-494
    • /
    • 2013
  •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적성이 교사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ptitude of ChildCare Teacher on their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17-32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보육전공 학생들의 보육교사 적성이 교사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시에 소재한 예비보육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면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보육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보육교사 적성에서는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과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교사전문성 인식에서는 사회적 필요성과 직업윤리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교사 적성, 교사전문성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교사 적성의 하위요인이 교사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보육전공 학생들의 보육교사 적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올바르고 긍정적인 보육교사 적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교사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of Child Care Trainees on the Stress Coping)

  • 박세정;배문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07-5211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보육교사에 대한 자질 및 적성이 재논의 되고 보육실습생의 실습관련도 재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보육실습생의 보육교사적성이 보육실습스트레스 및 스트레스대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실습생 26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결과, 첫째, 보육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는 학년에 따른 차이만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적성의 하위변인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이 낮을수록 어린이집원장 및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적성 하위요인 가운데 창의성과 자기개발, 적극성, 긍정성이 높을수록 보육실습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 김헤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58
    • /
    • 2014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적성,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297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보육교사적성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보육교사의 적성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 가치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자체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적성과 과학태도를 살펴본 결과,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대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 대해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의 사회적 가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가시켜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과학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 of Self-esteem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정원;전선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영유아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 중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과 관련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적성의 하위요인들 중 특히 수용성 및 민감성과 관련된 교직적성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교직적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교직적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비유아교사의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 임명희;박윤조;김성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5-1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NCS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 적성 및 DISC 행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대학의 예비보육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측정검사', '교직 인 적성 검사도구', 그리고 'DISC 행동유형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성의 성격요인은 수리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의 성격요인은 자기개발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의 요인은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요소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특성은 문제해결력/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지식/정보력, 계획성, 성실/책임감과 같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난 반면에서 안정성은 문제해결력. 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성실/책임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Ap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 김혜경;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21-24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n ap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ATCCT) and to analyze it in terms of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in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1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7 factors and 56 items which were selected from 121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seven factors were as follows;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ies, receptiveness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 creativity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ability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 ability to supervise child safety, the sense of duty, and positive emotions. The four factors were related to social relationship.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he ATCCT and the TSES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Cronbach's ${\alpha}$ = .94)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also established (r = .53).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groups according to both relative levels of education and courses taught.

보육교사의 직업적성 및 책임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7-7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59 teachers in ECEC were recruited from 19 daycare cent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s,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PSS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the number of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education levels. Second, all degrees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ir teaching efficacy were higher than the median points. Second, teachers' efficacy relating with running class was affected most by the ability of safe management in vocational aptitude, and teaching methods in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eachers' efficacy relating to teaching, acceptability/sensitivity in vocational aptitude and motivation had the most impact. The implication was discuss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ways to increase teachers'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