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강토 공법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치환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에 시공된 보강토옹벽의 거동해석 (Analysis of the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Constructed on Soft Ground Using the Replacement Method)

  • 기완서;주승완;김선학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601-613
    • /
    • 2007
  • 연약지반에 보강토옹벽을 시공 시 거동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기본적인 물성뿐만 아니라 보강토옹벽에 의한 하중증가와 압밀기간, 간극수압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과 연약지반의 거동해석에 지반해석 프로그램인 SAGE CRISP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보강토옹벽의 과도변위를 개선하기 위한 치환공법의 거동 개선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두 번째로 치환공법을 적용 후 보강토옹벽의 배면에 보강재 수직설치간격이 지반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치환공법을 적용 시 적정 치환 폭과 깊이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치환공법이 보강토옹벽의 거동 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보강재 수직설치간격은 옹벽상단의 수평변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단의 수평변위와 옹벽배면의 수직변위 개선효과는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환폭의 증가에 따른 수평 수직변 개선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치환폭의 증가는 불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적정 치환깊이는 연약층의 두께에 대한 옹벽높이의 비(H/T)에 따라 옹벽높이에 대한 치환깊이의 비(D/H)로 제안하였다.

절토사면에서 보강토 옹벽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il-Reinforced Retaining Wall for Excavation Slope)

  • 변요셉;류웅렬;이동호;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3-60
    • /
    • 2010
  • 절토공사 현장의 경우에는 환경문제 및 대지경계 등의 이유로 원지반의 절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법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만족하기 위한 많은 공법들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절토사면에 대한 보강토 옹벽의 적용성 확대를 위해 제안한 절토사면 보강토 옹벽의 합리적인 토압산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계측자료, 수치해석을 통하여 토압산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Rankine 토압에 비해 보강토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이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토사면 보호공과 보강토 옹벽을 함께 시공하는 경우에는 보강토옹벽 전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내모형실험에 의한 녹화보강토벽의 거동분석 (Analysis for Behavior of Green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by Laboratory Model Tests)

  • 조용성;김유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1-17
    • /
    • 2003
  • 기존의 지오텍스타일 보강토벽 공법은 대부분 콘크리트 판넬 또는 블록형식의 벽면을 사용하고 있어 미관상의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토 사면 또는 보강토벽의 단점을 보완하여 녹화벽면의 형성이 가능할 경우 기존 보강토 공법의 장점이 극대화되어 이 공법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벽 전면에 녹화가 가능한 연성벽면을 형성, 안정성 측면에서도 강성벽면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법을 고안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실내모형 시험을 실시하여 그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녹화벽면 공법은 그 안정성측면에서도 충분히 새로운 공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강토 교대 하부 H-Pile 수평 거동특성 연구 (An Analysis of Horizontal Behaviour of H-Pile unde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Abutment)

  • 김낙영;전경수;이용준;전진택;심재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47-59
    • /
    • 2008
  • 2002년 이후 미국 펜실베니아를 중심으로 보강토 공법 교대의 적용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보강토 공법 교대는 일반 콘크리트 옹벽 교대에 비하여 공사비 절감 및 공기 단축에 효과적이며 미관이 수려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해외에서 이와같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 보강토 교대의 이론적 배경 및 기존의 설계기준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교량형식에 적합한 보강토 교대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보강토교대를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교량 형식에 따른 상부슈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석한 후 교좌받침보 및 하부말뚝에 대하여 구조 검토한 결과, 거더의 자중이 큰 PSC BOX이외에서는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차원 수치해석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보강토 교대 하부 기초로 적용되는 H-Pile과 보강토 옹벽간의 상호 거동메커니즘을 분석하였으며, 실제 보강토 옹벽현장에서 보강토 옹벽 배면에 H-Pile을 7개소 시험시공을 실시하여 수평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장시험시공 분석결과, 보강토 교대의 하부기초로서 H-Pile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뒤채움 재료는 내부마찰각이 최소 $34^{\circ}$이상인 양질의 뒷채움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쏘일네일과 강재스트립으로 보강된 복합보강토옹벽 시스템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Hybrid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ystem Reinforced by Soil Nail and Steel Strip)

  • 천병식;김홍택;조현수;도종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5-12
    • /
    • 2008
  • 지반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보강토공법은 일반적으로 산악지대에서 시행되는 건설공사에 쓰여지는데, 보강토 옹벽의 높이가 일반 평지의 성토구조물보다 상당히 높아지며, 성토도로의 시공이나 고속철도 등과 같은 높은 상재하중을 지지하여야 할 경우에는 지반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공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또한, 절토공사 현장의 환경문제 및 대지경계 등의 이유로 원지반의 절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법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만족하기 위한 많은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보강토 옹벽의 경우 옹벽 높이의 $60{\sim}80%$정도에 해당되는 보강재 길이가 요구되어 절토현장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용지경계 확보와 성토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등 제한적인 범위에서 적용되던 보강토 옹벽공법이 추가 보강재를 병행, 사용함으로써 절토공사 현장에도 점차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길이를 줄이는 대선에 쏘일네일링 공법과 같은 사면보강공과 연결하여 충분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쏘일네일과 강재스트립으로 보강된 복합보 강토옹벽 시스템의 설계 및 시공사례를 소개하고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계측자료를 통해 복합보강토옹벽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보강토 옹벽 전면블록의 마찰특성 평가 (Assessment of Frictional Characteristic for the Segmental Retaining Wall Unit)

  • 김진만;조삼덕;오세용;이대영;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51-58
    • /
    • 2005
  • 최근 국내에서는 지오그리드를 사용한 블록형 보강토옹벽 및 교대 옹벽등의 시공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보강토 공법 및 블록형 옹벽의 개념은 역사적으로 상당히 오래된 개념으로 기원전 $2,500{\sim}3,000$년경에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현재의 보강토 공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블록형 전면블록은 1960년경에 미국에서 콘크리트 크립(crib) 옹벽시스템으로 소개된 이래 활발히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보강토 옹벽용 전면블록과 지오그리드 사이의 마찰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화강풍화토의 지오그리드보강 특성연구 (Geogrid Reinforced Decomposed Granite Soil)

  • 주재우;박종범;김병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73-182
    • /
    • 2001
  • 보강토공법이란 다양한 보강재를 흙속에 삽입하여 흙이 갖지 못하는 인장력을 보충함으로써 구조물을 안정화시키는 공법이다. 그리고 기존공법에 비해 경제적 구조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들어 전세계적으로 빈발하는 지진에도 그 저항력이 아주 큰 구조물임이 입증이 되어 현재 토목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공법이다. 보강토옹벽의 뒤채움재료로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풍화토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설계에 필요로 하는 이에 대한 데이터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풍화토를 채취하여 대형 인발시험을 실시하였다. 인발시 흙과 보강재 사이의 상호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발변위, 인발력, 삽입보강재의 각 지점에서의 절점변위 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구속응력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이들 응력을 0.2, 0.5, 1.0kg/$\textrm{cm}^2$으로 변화시켜 실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다짐률이 이들 상호거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짐률을 65%, 80%m 95% 등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서로 비교를 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화강풍화토의 보강재와의 상호거동특성을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다짐률은 상호거동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화강토의 경우, 꽤 큰 점착특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콘크리트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보강사면을 복합으로 이용한 보강토의 설계 및 시공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Hybrid Reinforced Geo-Structure using Reinforced Concrete Block and Slope)

  • 김영남;채영수;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7-56
    • /
    • 2005
  • 산업의 발달에 따라 효율적인 부지의 활용이 요구되면서 옹벽의 사용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옹벽 중 지오그리드를 보강재로 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전면판으로 사용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dry cast modular block wall, MBW)은 그 시공의 편이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1980년대 초부터 꾸준히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토압이론에 기초하는 특성상 양질의 사질토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비하여 보강사면(reinforced soil slopes, RSS)은 $70^{\circ}$ 이하의 경사를 갖는 보강토체로서 공사에 사용되는 흙이 블록식 보강토 옹벽보다는 훨씬 광범위하다. 또한 본 공법은 양질의 사질토 구득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고, 개발되는 부지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지의 경계면에서 일정 높이의 수직으로 축조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고 그 위에 보강사면을 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공법의 장점을 활용한 복합식 보강토체를 설계하고 시공한 결과에 대하여 설계 및 시공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강재지주 전면판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Analysis of Reinforced Retaining Wall with Steel Supported Face)

  • 김기일;김병일;이영생;이순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C호
    • /
    • pp.75-82
    • /
    • 2011
  • 최근 콘크리트 블록을 전면판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는 달리 경량의 강재를 지주로 이용하여 전면판의 자중을 감소시켜 안정성을 높이고 시공이 쉬운 보강토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크기의 현장시험을 수행하여 전면판에 발생하는 수평변위, 수평토압, 그리고 옹벽의 침하량 등을 계측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현장시험결과와 수치해석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현장계측결과 전면판 최대수평변위는 46mm(0.009H), 최대침하량은 21.5mm로 나타나 FHWA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계측결과를 수치해석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새로운 보강토 공법은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