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기반 중재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진료팀에 있어 팀워크의 중재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work in the care team)

  • 유병남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1-298
    • /
    • 2012
  • 의료조직의 팀제는 산업계의 팀과는 다르다. 산업계의 팀 구성원들이 팀원으로서 단일의 지위, 책임, 직무를 가지고 있고, 팀장에 의하여 평가받을 것이다. 그러나 의료조직의 진료팀 구성원들은 일반적으로 팀 구성원과 기능적 부문의 구성원으로서 이중의 지위, 책임과 의무를 유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진료팀에 있어서는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더욱 향상된 노력이 필요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합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된 리더십이 필요한 것이다. 실증분석은 대학병원에 소속되어 있는 진료팀 구성원들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정교하게 설계된 팀 전략이 적용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팀 구성원들은 팀 요인이 확인되어야 하고 리더십과 의사소통에 의하여 검토되어야 하는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팀 요인은 필요조건이고 팀 요인에 기반한 팀 과정이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 충분조건이라는 것이다.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Job Demand -Resource Model)

  • 양은옥;구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7-148
    • /
    • 2019
  • 본 연구는 Xanthopoulou 등(2007)의 확장된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양병원 간호사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8월 25일부터 2018년 9월 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Maslach Burnout Inventory,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version II,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및 Thomas & Ganster (1995)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 요구(r=.24, p=.002)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회복탄력성(r=-.43, p<.001)과 사회적지지(r=-.41, p<.001)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회복탄력성(${\beta}=-.28$, p<.001), 사회적 지지(${\beta}=-.20$, p=.016), 직무요구(${\beta}=.17$, p=.016)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2.0%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 예방 및 감소를 위해 직무요구를 줄이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의 수행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영상처리 기반 재활 환자의 헬스케어 개선을 위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 : 예비연구 (Development of Fall Preven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Healthcare in Rehabilitation Patients Based on Image Processing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 강소라;윤중대;유진원;나창호;허성진;김예순;문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87-896
    • /
    • 2018
  • 본 예비연구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재 전, 인천에 위치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190명의 낙상발생빈도를 확인하였다. 낙상의 원인은 환자 보호자 및 치료사의 부주의, 치료사의 업무 부담의 가중, 침상의 높이, 보호자의 부재와 같은 치료실 환경의 문제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PDCA 모델을 통하여 문제점을 인식한 후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구성은 낙상예방교육 동영상을 제작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하였고, 환경개선 및 치료사교육을 2개월 간 수행하였다. 중재 후, 낙상 발생률의 분석은 2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낙상발생률은 중재 전과 비교하여 통증치료실은 34.1~66.7%가 줄었으며, 운동/작업치료실은 21.3~40.8%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입원환자의 낙상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낙상예방 모델 중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아동·청소년 대상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국내 건강관련 중재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 (A Scoping Review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Based Health-Related Intervention Studies for Children & Adolescents in South Korea)

  • 박지영;배진경;원서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24
    • /
    • 2023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based health-related intervention stud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sh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Methods: A scoping review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 Analyses (PRISMA) and the system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digital health intervention 1.0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as applied to analyze how technology was being used to support the needs of the health system. Results: A total of 18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children with a variety of diseases. No studies had used innovative technology platform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robotics. In addi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WHO classification criteria was quite limited. Finally, no intervention study considered technical operational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of website visits and streaming as outcome measurements. Conclusions: Researchers should introduce advanced technology-based strategies to provide customized and professional healthcare services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d continue efforts to integrate innovative ICT for various research purposes, subjects, and environments.

일 도시 청년 인구의 불안 우울 공존 증상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of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 in Young Adult of an Urban City)

  • 박종완;이효철;홍재은;이석범;이정재;김경민;정효석;김도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18-124
    • /
    • 2023
  • 연구목적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는 흔히 공존하며 임상전단계에서도 흔히 공존한다. 본 연구는 일반인구 집단에서 우울장애와 불안장애가 공존시의 복합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중심 증상과 중개 증상을 밝히고자 했다. 방 법 2022년 아산시 청년 정신건강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일반 인구집단 81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PHQ-9과 GAD-7을 이용하여 각각 우울과 불안증상의 정도를 측정하였고, 각 증상에 대해 Isingfit model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였다. 주요 증상 및 중개 증상을 찾기 위해 네트워크 지표 중 강도 중심성과 bridge expected influence를 활용하였다. 결 과 우울한 기분, 안절부절 못함과 초조함이 네트워크에서 가장 높은 강도중심성을 보였으며, 불안증상과 우울증상 간의 높은 중개 역할을 하는 증상은 안절부절 못함과 과민성이었다. 결 론 일반 인구집단에서 우울증상과 불안증상이 공존할 때의 중심증 상과 중개증상을 규명하였고 치료적 중재의 목표가 되면 두 질환의 동반이환율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st-COVID-19 시대 마비말장애 재활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기반의 커뮤니티케어 방안 (A Study on the Digital Therapeutics Based Community Care for Rehabilitation in Dysarthria in the Post-COVID-19 Era)

  • 이상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13-32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COVID-19시대에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마비말장애의 재활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기반의 커뮤니티케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병원, 언어치료기관,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3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에 근거한 디지털 치료제 기반의 커뮤니티케어 모델은 원격진단, 원격치료, 재활훈련 프로그램 제공, 동료지원가들의 지지, 임상적 지원, 의사소통 지원, 심리사회적 중재, 케어플랜 서비스 등 9가지 유형으로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한 보건-복지 연계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와 다학제간 협력에 기반한 공유케어 계획 수립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School Readiness Program)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chool Readiness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김은지;곽보경;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7-1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을 다룬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대상자, 프로그램의 제공자, 기간, 요소 및 결과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를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School readiness" AND ("Occupational Therapy" OR "Rehabilitation"), "학교준비도" AND ("작업치료" OR "재활")을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하여 최종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에는 복합적 기능 훈련, 운동 기술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프로그램들이 있었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복합적 기능 훈련이었다. 프로그램의 제공자는 작업치료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사회복지사, 교육자가 있었고 심리학자가 가장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학업 기능, 운동 기능, 사회적 기능, 부모교육,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업 기능과 사회적 기능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다기능적 기술, 문해력, 양육 기술, 대동작·소동작 기능의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 제공자, 중재 요소, 결과 등을 분석하여 학교 기반 작업치료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최근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들도 학교 관련 재활 분야에서 역할을 정립하여 다양한 학교 기반 작업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성인 뇌 손상 발열 중환자를 위한 체온 중재 지침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Guideline for Fever Management of Critical Adult Patients with Brain Injury)

  • 이정민;조용애;윤지현;최혜옥;김남초
    • 임상간호연구
    • /
    • 제22권3호
    • /
    • pp.265-27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guideline for fever management for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after a brain injury. Methods: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process was done according to the De Novo development Korean Medical Guideline Information Center (KoMGI) and consists of 12 steps. Results: This developed guideline included 3 domains and 19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each domain was 7 on measuring temperature, 9 on managing fever, and 3 on managing shivering. The level of evidence was as follows: 58% were at level I, and 42% at level II. Of the recommendations, 58% were graded as A, 37% as B, and 5% as C.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guideline can be used as a guide for nursing in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with brain injury. This guideline can also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nursing care for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with brain injury.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식: 포커스 그룹 연구 (Nurses' Perceptions of Person-Centered Care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cus Group Study)

  • 장희경;길초롱;김혜진;배한주;양은옥;윤미림;하자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41-4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도와 경상도 내 위치한 요양병원 4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1명이며, 각 병원에 1개씩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총 4개의 포커스 그룹에서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7월 19일부터 7월 30일까지였고 질적 주제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식은 6개의 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으며, 6개의 주제는 "개별 요구 존중하기", "끝까지 동행하기", "남은 꿈 지지하기", "가족과 동반자되기", "집처럼 생활하도록 돕기", "문화 변화시키기"로 나타났다. 간호사가 인식하는 인간중심돌봄은 노인의 선호도에 따라 개별화된 간호를 수행하고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이 삶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었다. 또한 노인뿐만 아니라 이들의 가족 구성원과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의사결정을 공유하며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이 존중받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 및 조직 문화를 형성하는 것을 인간중심돌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인간중심돌봄 문화 형성에 필요한 다각적 요구를 확인하고 인간중심돌봄을 기반으로 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진단검사 전 처치로 실시하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환아 보호자의 인식도와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 (Awareness, Nursing Needs, and Nursing Satisfaction on Conscious Sedation as a Pretreatment for Diagnostic Tests in the Guardians of Hospitalized Children)

  • 서미희;박순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3-581
    • /
    • 2021
  • 본 연구는 환아 보호자를 대상으로 진단검사 전 처치로 실시하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와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를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있는 C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병동에 입원하여 진단검사 전 처치로 의식하 진정요법을 받는 환아의 보호자 120명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2.49±0.83), 간호요구도(4.53±0.40)가 간호만족도(3.81±0.56)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간호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18, p=.048), 간호요구도와 간호만족도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0, p=.033).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대상자의 간호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 정도와 간호요구 영역들을 먼저 확인하여 대상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간호중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